윤 대통령, 국군의 날 기념사
현무-5 첫 공개하고 시가행진
윤석열 대통령은 국군의 날인 1일 '북한이 핵무기 사용을 기도한다면, 우리군과 한미 동맹의 결연하고
압도적인 대응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며 '그날이 바로 북한 정권 종말의 날이 될 것'이라고 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열린 건군 76주년 국군의 날 기념식에서 이같이 밝혔다.
기념식에는 재래식 무기이지만 전술핵에 버금가는 파괴력을 갖춘 국산 탄도미사일 현무-5가 처음 모습을드러냈다.
미국의 3대 핵우산 전략 자산 중 하나로 한미 동맹의 상징과 같은 전략폭격기 B-1B 랜서도 미 본토에서 서울공항
상공으로 전개됐다.
윤 대통령은 이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남북 관계를 '적대적 두 국가' 관계로 규정하고 도발을 거듭하는 데 대해
'쓰레기 풍선, GPS 교란 공격과 같은 저열한 도발을 자행하더니 급기야 통일마져 부정하고 있다'며
'불법 무기 거래로 국제사회의 규범에 역행하며 한반도와 세계 평화를 위협하고 있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4월 워싱턴 선언을 거점으로 한미 동맹이 명실상부한 핵 기반 동맹으로 업그레이드됐다'며
'굳건한 한미 동맹을 기반으로 한. 미. 일 안보 협력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했다.
또 '강력한 전투 역량과 확고한 대비 태세를 바탕으로 북한의 도발을 즉각 응징할 것'이라며
'북한 정권은 지금이라도 핵무기가 자신을 지켜준다는 망상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해 '킬 체인(Kill Chain)' 등 한국형 3축 체계를 총괄하는 전략시령부를 출범시키고,
'적의 선의에 기댄 가짜 평화는 신기루에 불과하다.
적이 넘볼 수 없도록 우리의 힘을 키우는 것이 평화를 지키는 유일한 길'이라고 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창설된 전략사령부 진영승 초대 사령관에게 부대기를 수여했다. 김경필 기자
북 지휘부 겨냥한 현무-5...헤즈볼라 떄린 벙커버스터 위력(지하 100M 구조물 파괴 가능)의 10배
국군의 날에 군 무기 체계 총출동
'괴물 미사일' 현무-5, 탄두 무게 8t
전술핵에 버금가는 파괴력 갖춰'
탄두 줄이면 사거리 3000km 이상
미 택사스서 B-1B 랜서' 날아와
김정은 이 가장 두려워하는 병기
'굳건한 한미동맹의 상징적 장면'
북핵 억제 '3축 체계' 무기 선보여
L-SAM 미사일.F-35A 전투기...
테러 작전 활용되는 로봇개 눈길
제76주년 국군의 날을 맞아 1일 서울 공항에서 열린 기념행사에는 '괴물 미사일' 현무-5를 비롯해
유사시 북한을 제압할 우리 군 무기 체계가 총출동했다.
미국의 최첨단 전략 자산 초음속 전략폭격기 B-1B 랜서도 모습을 드러냈다.
B-1B가 국내 행사에 동원된 건 처음으로 '한미 동맹의 굳건함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면'이라고 군 관계자는 말했다.
괴물 미사일 '현무-5' 처음 공개
이날 처음 공개된 현무-5는 재래식단거리 탄도미사일이지만 전술 핵에 버금가는 파괴력을 갖추고 있다.
통상 탄도미사일 탄두는 1t 수준인데 현무는 탄두 무게가 8t에 달한다.
재래식 무기로는 최강급 파괴력을 지녔고, 지하100m 이하에 있는 적 구조물도 타격할 수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북한 지휘부가 은신한 지하 벙커 및 지하 핵 시설 파기에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최근 이스라엘이 헤즈볼라 타격에 활용한 벙커 버스터(BLU-109)는 탄두 중량 870kg으로 지하 60m 속 구조물 파괴가 가능한데,
현무는 탄두 중량만 놓고 보면 이의 10배에 달하는 위력을 가진 것으로 평가된다.
이날 공개된 현무-5는 9축18륜 이동식 발사 차량(TEL) 위에 미사일이 탑재된 원통형 발사관(캐니스터)이 얹힌 형태였다.
발사 차량 길이는 20m 미만으로 추정되는데 , 미사일 발사 시 차량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발사 후
공중에서 점화되는 '콜드 론치' 방식을 적용됐다.
해당 차량은 운전석이 전면을 바라본 채로 타이어 만을 돌려 대각선으로 이동하는 측면 기동 능력을 선보였다.
바퀴 18개가 모두 같은 각도로 기울어 일종의 '개걸음' 처럼 보였다.
이날 행사에서 군은 '현무는 북한 전 지역에 대해 초정밀.초고위력 타격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국회 국방위워노히 소속 국민의힘 유용원 의원에 따르면 8t 탄두의 현무-5는 사거리 30km 수준이나 탄두 중량을 1t으로
줄이면 사거리 3000km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형 3축 체계 무기 총출동
이날 우리 군은 북한 핵, 대량 살상 무기를 억제하는 '한국형 3축 체계' 무기를 대거 공개했다.
3축 체계는 미사일 발사 징후를 사전에 포착해 발사 전에 제거하는 킬 체인(Kill-Chain), 한국형 미사일 방어(KAMD),
대량 응징 보복(KMPR)을 더한 개념이다.
현무-5와 함께 군은 KMPR의 다른 한 축인 '타우러스' 미사일도 공개했다.
F-15K 전투기에 탑재하면 대전 상공에서도 북한 평양을 정밀 타격할 수 있다.
작년 국군의 날에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됐고, 올해 전력화를 마친 장거리 지대공 유도미사일(L-SAM)은 2년 연속 모습을
드러냈다.
L-SAM은 고도 40km 이상에서 적 탄도미사일을 요격하는 미사일로 KAMD 핵심 자산으로 꼽힌다.
한국형 패트리엇 '천궁-2'도 모습을 나타냈다.
킬 체인 핵심 전력 중 하나인 스텔스 전투기 F-35A도 편대를 이뤄 서울공항 상공을 비행했다.
국산 초음속 전추기 KF-21과 지난 6월 국내에 도착해 전력화된 해군의 P-8A 포세이돈 해상 초계기도 국군의 날 기념식에
처음 등장했다.
이 밖에도 네 발로 이동하는 개 모습의 대터러 작전용 다족 보행 로봇도 등장했다.
시속 4km 이상으로 움직이며 20cm 높이 계단 등 수직 장애물을 오를 수 있다.
미 본토서 전략폭격기 전개
이날 오전 기념식 분열의 마지막은 미국 추음속 전략폭격기 B-1B 랜서와 이를 호위한 우리 공군 F-15K 2기가 장식했다.
이날 B-1B는 통상 한반도 전개 시 출발하던 괌 앤더슨 기지가 아닌 미국 본토 텍사스 다이스 공군 기지에서 날아온 것으로
알려졌다.
B-1B는 전략폭격기 B-52보다 음밀하고 신속하며, 스텔스 전략폭격기 B-2의 3배 이상 폭찬을 장착할 수 있다.
적 종심을 융단폭격할 수 있는 폭장량을 갖췄고, 북한 공군력과 방공망으로는 사실상 요격 등 대응이 불가능해
북한 김정은이 가장 두려워하는 병기로 꼽힌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괌 앤더슨 기지에 순환 배치된 B-1B가없더라도 유사시 미국 본토에서 B-1B가 출격해
북한을 응징할 수 있다는 작전 능력을 과시함과 동시에 미국의 대북 확장 억제 의지를 보여준 것'이라고 설명했다. 양지호 기자
K9 자주포.K2 전차.천궁2,,,방산 전시장 된 서울 도심
수출 논의 중 수리온 헬기도 등장
1일 열린 국군의 날 행사에는 'K방산' 수출의 대표 주자들이 대거 출동했다.
방산 기업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생산하는 K-9 자주포는 지난 7월 수출 계약을 체결한 루마니아를 비롯해
세계 총 10국에서 운용 중인 베스트셀러다.
전 세계 자주포 시장에서 약 60%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누적 수출액만 13조원이 넘는다.
K-9 자주포는 최근 국산 엔진 개발에 성공해 성능과 경제성을 더 향상시켰다.
이날 등장한 K-2 전차는 현재 북한이보유한 전차 대부분을 파괴할 수 있는 화력을 갖췄다.
현대로템이 생산하는 무기로 폴란드에 수출하고 있다.
이 밖에 K-10탄약보급장갑차와 남미 페루에 수출되는 차륜형 장갑차 백호도 모습을 드러냈다.
'한국판 패트리엇'으로 불리는 중거리 지대공 유도 무기 체제 '천궁-2'도 위용을 과시했다.
천궁은 지난달 이라크에 28억달러(약 3조7000억원) 규모의 수출 계약을 체결하면서 아랍에미리트(UAE),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주요 3국이 모두 운용하는 무기가 됐다.
또 대전차 유도 무기인 현궁과 다연장로켓 천무, 전투기 KF-21, FA-50도 시민들 앞에 모습을 드러냈다.
이날 행사에 참여한 공군 기동 헬기 수리온도 수출 논의가 진행 중이다. 박순찬 기자
6.25 용사, 목함지뢰 용사 등 호국영웅 첫 '카 퍼레이드'
윤 '핵 사용땐 북 종말'
윤 대통령은 '우리 군이 미래 전장을 주도할 수 있도록 국방 연구.개발 분야를 더욱 강화하고,
무기 체계 개발과 도입 절차를 획기적으로 단축하겠다'고 했다.
또 '장병들이 군복에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국가를 위한 헌신에 합당한 처우를 보장할 것'이라고 했다.
군은 이날 서울에서 지난해 국군의 날 에 이어 2년 연속 시가행진은 1984년 이후 40년 만이다.
시가행진에서는 최초로 호국 영웅과 유족 8명의 카 페레이드가 이뤄졌다.
류재식(92) 6.25 참전 용사, 북한 목함지뢰 도발로 두 다리를 잃은 하재헌 예비역 중사, K-9 자주포 개발을 주도하다 과로로
순직한 김동수 박사의 아들 김상만씨, 천안함 피격 사건으로 전사한 박경수 중사의 딸 박가빈씨 등이 무개차에 탑승했다.
이들이 단상 앞에 도착하자, 윤대통령은 중앙 계단 아래로 내려가 이들과 악수한 뒤 함꼐 단상에 올랐다.
장비 및 도보 부대 행진 이후 대통령은 호국 영웅 및 국민들과 함께 광화문 월대까지 대형 태극기와 함께 행진했다.
대형 태극기는 공군 불랙이글스가 하늘로 솟구치는 비행을 함과 동시에 풍선에 매달려 광화문 위로 떠올랐다.
대통령실은 '6.25전쟁 발발 이후 북한에 빼앗겼던 서울을 1950년 9월 28일 해병대가 수복하고 태극기를 게양했던
서울 수복을 재연하는 퍼포먼스'라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시가행진을 마무리하는 격려사에서 '여러분의 땀과 헌신을 국가가 충분히 뒷받침할 수 있도록
지원과 처우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한 국군, 국민과 함께'라는 주제로 열린 이날 시가행진에는 병력 3000여 명과 80여 대의 장비가 참여했다. 김경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