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이재명 일극체제 때리며 '조기 대선' 예열
안녕하세요. 일요서울입니다.
친문계(친문재인계) 적자로 불리는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이재명 일극체제를 때리며
'조기 대선' 국면의 예열에 나선 모양새입니다.
김 전 지사는 29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친명계(친이재명계)를 겨냥해
"일극체제, 정당 사유화라는
'아픈 이름'을 버릴 것"을 주문했습니다.
김 전 지사는 29일 자신의 SNS에
'과거의 매듭을 풀고 함께 미래로 갑시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는데요.
그는 "내란세력을 압도하지 못하는
제반 여론조사 지표는
우리에게 큰 숙제를 주고 있다.
국민의 마음을 읽고 우리 스스로부터
책임과 원인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김 전 지사는
"이 대표는 최근 정치보복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집권 세력의 핵심적인 책임과 의무는
통합과 포용이라고 강조했다"며
이 대표의 '통합과 포용' 원칙이 당내에서
먼저 적용돼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김 전 지사는
▲지난 총선 과정에서 당을 떠난 이들에 대한 사과
▲노무현·문재인 전 대통령 비하 및
폄훼 발언 당사자들의 반성과 사과
▲당내 일극체제 문화의 변화 촉구 등을
제안했답니다.
김 전 지사는
"2022년 대선 이후 치러진 지방선거와
총선 과정에서 치욕스러워하며
당에서 멀어지거나 떠나신 분들이 많다"며
"진심으로 사과하고,
기꺼이 돌아오실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답니다.
이는 지난 22대 총선 과정에서 벌어진
'비명횡사' 공천에 대한 반성의 뜻으로 해석됩니다.
이어서 일부 강성 친명계를 향해
"노무현 전 대통령을 모욕하고
문재인 전 대통령을 일방적으로 폄훼했던 언행들에 대해서는
발언 당사자의 반성과 사과는 물론
당 차원의 재발방지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지난 대선 패배의 책임을
당내에서 서로에게 전가하는 모습은 옳지도
바람직하지도 않다"며
"마녀사냥하듯 특정인 탓만 하고 있어서는
후퇴할지언정 결코 전진하지 못한다"고
꼬집었답니다.
김 전 지사는 당내 이 대표 독주 체제를 겨냥해
"일극체제, 정당 사유화라는
아픈 이름을 버릴 수 있도록
당내 정치문화를 지금부터라도
바꿔나가야 한다"고 비판했답니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 탄핵 국면 이후
민주당 지지율이 국민의힘에 뒤처지는
여론조사 결과가 이어지자 당내 비명계 잠룡들은
이 대표 일극체제를 비판하며 존재감을 키우고 있습니다.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은
지난 24일 자신의 SNS를 통해
"이 대표 혼자 모든 걸 다 잘 할 수는 없다"며
"민주당 안팎에는 국정운영 경험과
능력을 가진 자산들이 많다"고 강조했습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지난 28일 SBS 유튜브
'정치컨설팅 스토브리그'에 출연해
"민주당이 국민의 신뢰를 잃고 있고
민심이 떠나는 것에 위기의식을 가져야 한다”며
“정권의 쟁취에 너무 성급함을 보이는 모습이거나
또는 수권 정당으로서의
모습을 보이지 못하는 것에 대해서
민주당이 성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답니다.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지난 24일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민주당의 지지율 하락세는
"민주당에 대한 따끔한 경고"라고 꼬집었습니다.
김 전 총리는
"다수당인 민주당이 국정 운영에
책임을 보여야 한다는 기대가 있었는데
강공 일변도의 태도에 대한
국민적 피로감이 있는 것 같다"고 해석했답니다.
▼ 기사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