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시 상인연합회는 지난 26일 울산 전통시장지원센터 4층 교육장에서 지역 중소상인 2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복합쇼핑몰 및 아울렛 현황과 피해사례를 주제로 `전통시장 및 상점가 상인 워크숍`을 열었다. |
|
중구 혁신도시에 들어설 신세계 복합쇼핑몰 입점 저지 운동이 본격화 되고 있다.
신세계 백화점은 당초 이곳에 백화점 건립을 목표로 진출했으나 지난 2월말 쇼핑몰 건설로 계획을 변경한바 있다.
이후 지역 중소상인 단체는 전통시장 보호를 이유로 신세계 쇼핑몰 건립을 반대해 왔다.
울산 시민연대와 울산 중소상인 살리기 네트워크는 최근 울산 남구 신정동 전통시장지원센터 4층 교육장에서 울산시 상인연합회 주관 `전통시장ㆍ상점가 상인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지난달 30일 밝혔다.
이날 워크숍에는 지역 전통시장 회장단 등 200여명의 지역 중소상인이 참가했다.
인태연 한국 중소상인 자영업자 총연합회 회장은 `지역경제 파괴자 복합쇼핑몰과 아울렛`이라는 주제 강연에서 "재벌기업의 자영업시장 진출과 수탈체계는 자영업의 몰락을 촉진하고 있다"며 "대기업 복합쇼핑몰이 지속적으로 진출하면 향후 3년 안에 300만명의 자영업자가 몰락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인 회장은 이어 재벌기업 쇼핑몰이 들어서면서 지역 중소상인이 피해를 입은 사례로 서울 강서지구 공항시장과 김포 장기동, 판교, 하남시, 고양시 등을 꼽았다.
특히 수원 롯데 몰은 입점하면서 4년간 160억원의 상생기금을 지급하기로 지역 상인들과 합의했지만 점포당 매월 돌아오는 금액은 7만5천원에 그쳤고 롯데몰이 입점한 뒤 매출이 평균 30% 가량 떨어졌다고 지적했다.
이정식 회장은 "대기업 쇼핑몰 입점 저지를 위한 부산지역 중소상인들의 운동과 지방자치단체가 나서서 재벌 쇼핑몰 출점을 백지화한 전북 전주시와 경북 구미시 사례를 들고 복합쇼핑몰은 지자체 차원에서 백지화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복합쇼핑몰은 백화점과 대형마트의 성장한계 때문에 법과 제도를 피해 등장했다"며 "지자체가 복합쇼핑몰 백지화에 나설 수 있도록 지방선거에 맞춰 울산지역 전통시장 상인들의 조직된 힘을 보여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워크숍을 주관한 이창경 울산시 상인연합회 회장은 "복합쇼핑몰의 영향권은 반경 15킬로미터로 범위가 매우 넓고 사실상 울산지역 대부분의 전통시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며 "워크숍에서 제시된 해법과 전통시장 상인들의 의견을 모아 이번 지방선거에서 강력하게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지난 3월 6일 혁신도시 신세계 복합쇼핑몰 입점 계획 취소를 위한 기자회견을 연 울산중소상인살리기네트워크는 이번 전통시장 상인 워크숍에 이어 지방선거 직전 신세계 복합쇼핑몰 입점 저지를 위한 토론회를 열 계획이다.
이승진 네트워크 사무국장은 "지역 중소상인 운동 출범 10주년과 지방선거 직전 토론회에서 지역 상인들의 입장을 정리한 뒤 단체장 후보들에게 공식 답변을 확인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신세계는 지난 2013년 울산 우정 혁신도시 특별계획구역에 백화점 출점을 목적으로 2만4천 300㎡의 부지를 매입했다. 정종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