權謨術數(권세권, 꾀할 모, 재주 술, 셀 수) 1.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남을 교묘하게 속이는 모략이나 술수, 2.상황에 따라 능수 능란하게 대처하는 수완
나에게 상을 주고픈 날이다. 매일 외우기 시작한 사자성어가 오늘 100개가 되었다.
1 |
苛斂誅求 |
가혹할 가, 거둘 렴, 베다 주, 구할 구 가렴주구 : 세금을 가혹하게 걷어 백성을 못살게 구는 일 |
2 |
刻舟求劍 |
새길 각, 배 주, 구할 구, 칼 검 각주구검 : 사리판단이 없고 융통성이 없음 |
3 |
艱難辛苦 |
어려울 간, 어려울 난, 매울 신, 쓰다 고 간난신고 : 갖은 고초들 당하여 매우 힘들고 괴로움 |
4 |
肝膽相照 |
간 간, 슬개 담, 서로 상, 비추다 조 간담상조 : 마음을 터놓고 진실하게 사귐 |
5 |
興盡悲來 |
일다 흥, 다할 진, 슬프다 비, 오다 래 흥진비래 : 기쁜일이 다하면 슬픈일이 온다. |
6 |
傾國之色 |
기울 경, 나라 국, 갈 지, 빛 색 경국지색 : 한나라를 대표하는 미인 |
7 |
季布一諾 |
끝 계, 베 포, 한 일, 허락할 낙 계표일낙 : 한번한 약속을 끝까지 지킨다는 말 |
8 |
牽强附會 |
끌 견, 강하다 강, 붙이다 부, 모이다 회 견강부회 : 이치에 맞지 않는 말을 억지로 끌어다 붙임 |
9 |
衆口難防 |
무리 중, 입 구, 어려울 난, 막다 방 중구난방: 여러사람들의 말은 막기가 어려움 |
10 |
堂狗風月 |
집 당, 개 구, 바람 풍, 달 월 당구풍월 : 서당개 삼년이면 풍월을 읖는 다는 뜻으로, 무식한 사람도 유식한 사람과 사귀면 견문이 넓어 짐 |
11 |
矯角殺牛 |
고치다 교, 뿔 각, 죽이다 살, 소 우 교각살우 : 뿔을 고치려다 소를 죽인다는 뜻으로 작은 일에 힘쓰다가 큰 일을 망친다는 뜻 |
12 |
燈下不明 |
등잔 등, 아래 하, 아니 불, 밝을 명 등하불명 : 등잔밑이 어둡다는 뜻으로 가까이 있는 것을 도리어 잘 모름 |
13 |
南柯一夢 |
남녁 남, 자루 가, 한 일, 꿈 몽 남가일몽: 덧없이 지나간 한때의 부귀나 행복 |
14 |
百年河淸 |
일백 백, 해 년, 강 하, 맑을 청 백년하청 : 중국의 황하가 항상 흐려 맑을 때가 없다는 말로 아무리 기다리고 바래도 실현될 가능성이 없음을 이르는 말 |
15 |
水魚之交 |
물 수, 물고기 어, 갈 지, 사귈 교 수어지교 : 물고기가 물을 떠나서 살 수 없다는 뜻으로 서로 떨어 질 수 없을 만큼 친분이 깊은 사이 |
16 |
去者日疎 |
갈 거, 놈 자, 날 일, 성기다 소 거자일소 : 죽은 사람이나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에 대히서는 날이 갈수록 점점 잊어 버린게 된다는 뜻 |
17 |
寤寐不忘 |
잠깰 오, 잠잘 매, 아니 불, 잊을 망 오매불망 : 자나 깨나 잊지 못함 |
18 |
塞翁之馬 |
변방 새, 늙은이 옹, 갈 지, 말 마 새옹지마 : 한때의 화가 훗난 복이 될 수 있고 오늘의 이가 훗날의 해가 될 수 있듯이 세상일이란 헤아리기가 무척 어렵다는 말. |
19 |
同價紅裳 |
같다 동, 값 가, 붉을 홍, 치마 상 동가홍상 : 같은 값이면 좋은 것을 선택한다는 말. |
20 |
優柔不斷 |
넉넉할 우, 부드럽다 유, 아닌가 부, 끊을 단 우유부단 : 유약해서 결단성이 없음 |
21 |
龍頭蛇尾 |
용 용, 머리 두, 뱀 사, 꼬리 미 용두사미 : 처음 시작은 야단스럽게, 끝은 보잘것 없이 흐지 부지 되는 것 |
22 |
兎死狗烹 |
토끼 토, 죽을 사, 개 구, 삶다 팽 토사구팽: 토끼가 죽고나면 토끼를 잡던 사냥개도 필요가 없게 되어 삶아 먹히게 된다는 뜻 즉, 필요할 때는 쓰고 필요 없으면 버린다는 뜻 |
23 |
進退維谷 |
나아갈 진, 물러날 퇴, 바 유, 막히다 곡 진퇴유곡 : 앞으로 나아갈 수도, 뒤로 물러난 수도 없는 궁지 어려운 일을 당하여 꼼짝도 못하는 것 |
24 |
粉骨碎身 |
가루 분, 뼈 골, 부수다 쇄, 몸 신 분골쇄신 : 뼈는 가루가 되고 몸은 부수어 지도록 목숨을 걸고 있는 힘을 다함. |
25 |
一網打盡 |
한 일, 그물 망, 치다 타, 다할 진 일망타진 : 한번 그물을 쳐서 많은 물고기를 깡그리 잡는다는 뜻, 어떤 무리를 한꺼번에 다 잡음. |
26 |
夫唱婦隨 |
지아비 부, 부르다 창, 지어미 부, 따르다 수 부창부수 : 남편이 부르면 아내가 이에 따른다는 뜻, 부부의 도리를 이름 |
27 |
識字憂患 |
알다 식, 글자 자, 근심 우, 근심 환 식자우환 : 학식이 있는 것이 도리어 근심을 사게 된다는 말. |
28 |
感之德之 |
느끼다 감, 갈 지, 덕 덕, 갈 지 감지덕지 : 몸시 고맙게 생각 함. |
29 |
甘呑苦吐 |
달다 감, 삼킬 탄, 쓰다 고, 토할 토 감탄고토 : 달면 삼키고 쓰면 뱃는다는 뜻으로 신의를 돌보지 않고 사리를 꾀한다는 뜻 |
30 |
亡羊之歎 |
망할 망, 양 양, 갈 지, 한숨쉴 탄 망양지탄 : 도망한 양을 쫒는데 갈림길이 많아서 양을 잃어버리고 탄식한다는 뜻으로 학문의 길이 다방면이어서 진리를 깨닫기 어려움을 한탄 |
31 |
望洋之歎 |
바랄 망, 바다 양, 갈 지, 한숨쉴 탄 망양지탄 : 넓은 바다를 보고 감탄한다는 말로, 다른 사람의 위대함을 보고 자신의 미흡함을 부끄러워 한다는 뜻. |
32 |
隱忍自重 |
숨길 은, 참을 인, 스스로 자, 무거울 중 은인자중 : 괴로움을 참고 몸가짐을 조심함. |
33 |
輾轉反側 |
돌아누울 전, 구르다 전, 돌이키다 반, 곁 측 전전반측 : 근심으로 인하여 이리 저리 뒤척이며 잠을 이루지 못함. 사랑때문에 괴로워하는 젊은이의 안타까운 모습. |
34 |
陰德陽報 |
그늘 음, 덕 덕, 볕 양, 갚다 보 음덕양보 : 남모르게 덕을 쌓은 사람은 반드시 뒤에 복을 받는다는 뜻. |
35 |
十目所視 |
열 십, 눈 목, 바 소, 보다 시 십목소시 : 여러 사람이 다 같이 보고 있는 것. 세상 사람을 속일 수 없음을 가르키는 말. |
36 |
臨渴掘井 |
임할 임, 목마르다 갈, 파다 굴, 우물 정 임갈굴정 : 목이 말라서야 우물을 판다는 뜻으로 준비없이 갑자기 일을 당하여 허둥 지둥하는 태도. |
37 |
至誠感天 |
지극할 지, 정성 성, 느끼다 감, 하늘 천 지성감천 : 정성이 지극하면 하늘도 감동 함. 즉 지극한 정성으로 하면 어려운 일도 이루어지고 풀림 |
38 |
咸興差使 |
모두 함, 일다 흥, 어긋날 차, 하여금 사 함흥차사 : 심부름을 간 사람이 깜깜 무소식이거나 회답이 더딜때의 비유. |
39 |
邯鄲之步 |
고을이름 한, 조나라 서울 단, 갈 지, 걸음 보 한단지보 : 한단의 걸음 걸이라는 뜻으로, 제 분수를 잊고 무턱대고 남을 흉내내다가 이것 저것 다 잃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40 |
紅爐點雪 |
붉을 홍, 화로 로, 점찍을 점, 눈 설 홍로점설 : 크나큰 일에 작은 힘이 조금도 보람이 없음을 가르키는 말. 사욕이나 의욕이 일시에 꺼져 없어지고 마음이 탁 트여 맑음을 일컫는 말. |
41 |
含哺鼓腹 |
머금다 함, 먹다 포, 북 고, 배 복 함포고복 : 배 불리 먹고 즐겁게 지내는 것. |
42 |
汗牛充棟 |
땀 한, 소 우, 가득할 충, 용마루 동 한우충동 : 소일 실으면 소가 땀을 흘리고, 방에 쌓으면 들보에 까지 가득 찰 정도로 많은 책. |
43 |
表裏不同 |
겉 표, 속 리, 아닌가 부, 같다 동 표리부동 : 마음이 음흉하여 겉과 속이 다르거나, 말과 행동이 다름을 가르키는 말 |
44 |
狐假虎威 |
여우 호, 거짓 가, 범 호, 위엄 위 호가호위 :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빌어 다름 짐승을 놀라게 한다는 뜻으로 남의 권세를 빌어 위세를 부림을 비유 |
45 |
畵蛇添足 |
그림 화, 뱀 사, 더할 첨, 발 족 화사첨족 : 뱀을 그리고도 발을 덧 붙인다는 뜻으로, 하지 않아도 될 쓸데 없는 일까지 덧 붙여 결국에는 일을 그르친다. |
46 |
錦上添花 |
비단 금, 위 상, 더할 첨, 꽃 화 금상첨화 : 비단위에 꽃을 더한다는 뜻으로 좋은 일 위에 좋은 일이 더하여 지는 것. |
47 |
雪上加霜 |
눈 설, 위 상, 더할 가, 서리 상 설상가상 : 난처한 일이나 불행한 일이 계속해서 일어남, 엎친데 덮친격이다. |
48 |
首鼠兩端 |
머리 수, 쥐 서, 둘 양, 단정할 단 수서양단 : 쥐가 의심이 많아서 나갈까 말까 망설이고 있음. 어느 쪽으로도 마음을 정하지 못하고 의심하여 주저 하는 것. |
49 |
守株待兎 |
지키다 수, 그루터기 주, 기다릴 대, 토끼 토 수주대토 : 그루터기를 지켜보며 토끼가 나오기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낡은 관습만을 고집하여 지키고, 새로운 시대에 순응하지 못하는 것. |
50 |
安貧樂道 |
편안할 안, 가난할 빈, 즐길 낙, 길 도 안빈낙도 : 구차하고 궁색하면서도 그것에 구속되지 않고 편안하게 즐기는 마음으로 살아감. |
51 |
間於齊楚 |
사이 간, 어조사 어, 가지런할 제, 초나라 초 간어제초 : 약자가 강자의 틈에 끼여서 괴로움을 받음을 이르는 말. |
52 |
南橘北枳 |
남쪽 남, 귤 귤, 북쪽 북, 탱자 지 남귤북지 : 남쪽땅의 귤나무를 북쪽에 옮겨 심으면 탱자나무로 변한다는 뜻으로 사람도 그 처해 있는 곳에 따라 악하게도 됨을 이르는 말. |
53 |
車載斗量 |
수레 거, 실다 재, 말 두, 헤아릴 량 거재두량 : 수레에 싣고 말로 될 수 있을 정도라는 뜻으로 물건이나 인재등이 아주 흔함을 이르는 말. |
54 |
累卵之勢 |
묶을 누, 알 란, 갈 지, 형세 세 누란지세 : 알을 쌓아 놓은 듯한 형세, 즉 매우 위태로운 형세 |
55 |
吾鼻三尺 |
나 오, 코 비, 석 삼, 자 척 오비삼척 : 내 코가 석자, 곧 곤경에 처하여 자기 일도 감당 할 수 없는데 어찌 남을 도울 수 있겠는가의 뜻 |
56 |
易地思之 |
바꿀 역, 땅 지, 생각 사, 갈 지 역지사지 : 처지를 서로 바꾸어 생각함이란 뜻으로 상대방의 처지에서 생각해 봄 |
57 |
走馬看山 |
달릴 주, 말 마, 볼 간, 뫼 산 주마간산 : (수박겉핥기) 말을 타고 다니면서 산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바빠서 자세히 살펴 보지 않고 대강보고 지나감을 이르는 말. |
58 |
格物致知 |
격식 격, 물건 물, 이를 치, 알 지 격물치지 : 사물의 이치를 구명하여 자기의 지식을 확고하게 함. |
59 |
斷機之戒 |
끊을 단, 틀 기, 갈 지, 경계할 계 단기지계 : 학문을 중도에 그만두는 것은 마치 짜던 베의 날을 끊어버리는 것과 같이 아무공이 없다는 뜻. |
60 |
姑息之計 |
시어머니 고, 쉬다 식, 갈 지, 꾀 계 고식지계 : 근본 해결책이 아닌 임시로 편한것을 취하는 계책, 당장의 편안함을 꾀하는 일시적 방편 |
61 |
見蚊拔劍 |
볼 견, 모기 문, 뽑다 발, 칼 검 견문발검 : 모기를 보고 칼을 뺀다는 뜻으로, 1.보잘것 없는 작은 일에 지나치게 큰 대책을 세움, 2.조그마한 일에 화를 내는 소견이 좁은 사람. |
62 |
日就月將 |
날 일, 나아갈 취, 달 월 장수 장 일취월장 : 날로 달로 성장하고 발전한다는 뜻 |
63 |
我田引水 |
나 아, 밭 전, 끌 인, 물 수 아전인수 : 자기 논에만 물을 끌어 넣는다는 뜻으로, 자기의 이익을 먼저 생각하고 행동, 또는 억지로 자기에게 이롭도록 꾀함을 이르는 말. |
64 |
錦衣夜行 |
비단 금, 옷 의, 밤 야, 다닐 행 금의야행 : 비단옷을 입고 밤길을 나간다는 뜻으로, 아무 보람없는 행동을 비유 또는 입신 출세하여 고향으로 돌아가지 않음을 이르는 말. |
65 |
登高自卑 |
오를 등, 높을 고, 스스로 자, 낮을 비 등고자비 : 높은 곳에 오르려면 낮은 곳에서 부터 시작해야 함. 곧 모든 일은 순서를 밟아야 함. 지위가 높아 질수록 스스로를 낮춘다는 말 |
66 |
沙上樓閣 |
모래 사, 위 상, 다락 누, 집 각 사상누각 : 모래위에 세운 다락집이란 뜻으로 기초가 약하여 무너질 염려가 있을 때나, 실현 불가능한 일을 두고 이르는 말. |
67 |
白面書生 |
흰 백, 낯 면, 글 서, 날 생 백면서생 : 한갖 글만 읽고 세상일에 어두운 사람. 세상일에 조금도 경험이 없는 사람. |
68 |
好事多魔 |
좋을 호, 일 사, 많을 다, 마귀 마 호사다마 : 홍는 일에는 방해 되는 일이 많음. |
69 |
愚公移山 |
어리석을 우, 공평 공, 옮길 이, 뫼 산 우공이산 : 우공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어떤 큰일이라도 끊임 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루어 짐을 비유 |
70 |
欲速不達 |
하고자할 욕, 빠르다 속, 아닌가 부, 통달할 달 욕속부달 : 서두르면 도리어 목적에 도달하지 못하게 된다는 것을 뜻함. |
71 |
漁父之利 |
고기잡을 어, 아버지 부, 갈 지, 이롭다 리 어부지리 : 둘이 다투는 틈을 타서 엉뚱한 제3자가 이익을 가로챔을 이르는 말 |
72 |
昏定晨省 |
어두울 혼, 정할 정, 새벽 신, 살필 성 혼정신성 : 저녁에는 잠자리를 보아드리고 아침에는 문안을 드린다는 뜻으로 자식이 아침 저녁으로 부모의 안부를 물어서 살핌을 이르는 말. |
73 |
溫故知新 |
따뜻할 온, 옛 고, 알 지, 새로울 신 온고지신 : 옛 것을 익혀 새것을 앎. |
74 |
群鷄一鶴 |
무리 군, 닭 계, 한 일, 학 학 군계일학 : 무리지어 있는 닭 가운데 있는 한마리의 학이라는 뜻으로 여러 평범한 사람들 가운데 있는 뛰어난 한 사람을 이르는 말. |
75 |
孤掌難鳴 |
외로울 고, 손바닥 장, 어려울 난, 울다 명 고장난명 : 왼손뼉은 울릴수 없다는 말로 서로 같으니까 싸움이 난다는 말 상대없이 싸울수 없고 혼자서는 일을 이룰 수 없다는 말. |
76 |
耕當問奴 |
밭갈 경, 마땅하다 당, 묻다 문, 종 노 경당문노 : 농사일은 머슴에게 물어야 한다는 뜻으로, 일은 항상 그 부분의 전문가와 상의하여 행하여야 한다는 뜻. |
77 |
一罰百戒 |
한 일, 벌할 벌, 일백 백, 경계할 계 일벌백계 : 한가지 죄와 또는 한사람을 벌줌으로써 여러 사람의 경각심을 불러일으킴 |
78 |
絶長補短 |
끊을 절, 긴 장, 기울 보, 짧을 단 절장보단 : 긴것을 잘라 짧은 것에 보태어 부족함을 채운다는 뜻 장점으로 단점을 보충함 (節長補短) |
79 |
遠禍召福 |
멀다 원, 재앙 화, 부르다 소, 복 복 원화소복 : 화를 멀리하고 복을 부른다 |
80 |
切磋琢磨 |
끊을 절, 갈다 차, 다듬을 탁, 갈다 마 절차탁마 : 옥돌을 자르고 줄로 쓸고, 쪼고, 갈아 빛을 내다라는 뜻으로 학문이나 인격을 갈고 닦음. |
81 |
赤手空拳 |
붉을 적, 손 수, 비다 공, 주먹 권 적수공권 : 맨손과 맨주먹이란 뜻으로 곧 아무것도 가진 것이 없슴. |
82 |
快刀亂麻 |
쾌할 쾌, 칼 도, 어지러울 난, 삼 마 쾌도난마 : 헝클어진 삼을 잘드는 칼로 자른다는 뜻으로 어지러운 일을 시원스럽게 처리함을 비유 |
83 |
佳人薄命 |
아름가둘 가, 사람 인, 엷을 박, 목숨 명 가인박명 : 아름다운 사람은 명이 짧다라는 뜻으로 여자의 용모가 아름다우면 운명이 기박하고, 명이 짧다르는 말. |
84 |
含憤蓄怨 |
머금을 함, 분할 분, 모을 축, 원망할 원 함분축원 : 분을 품고 원한을 쌓음 |
85 |
換骨奪胎 |
바꿀 환, 뼈 골, 빼앗을 탈, 잉태하다 태 환골탈태 : 옛사람의 시나 문장을 근거로 자신의 글을 짓되 그 형식을 조금 바꿈 2.얼굴이나 모습이 이전에 비해 몰라보게 좋아 졌음을 비유하여 일컫는 말. |
86 |
針小棒大 |
바늘 침, 작을 소, 막대 봉, 큰 대 침소봉대 : 바늘 만한 것을 몽동이만하다고 말함이란 뜻으로 곧 작은 일을 크게 과장하여 말함을 이름. |
87 |
菽麥不辨 |
콩 숙, 보리 맥, 아니 불, 분별하다 변 숙맥불변 : 콩인지 보리인지 분별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곧 사물을 잘 분별하지 못하는 어리석고 못난 사람을 가르킴. |
88 |
阿鼻叫喚 |
언덕 아, 코 비, 부르짓다 규, 부를 환 아비규환 : 여러 사람이 비참한 지경에 처하여 그 고통을 헤어나려고 비명을 지르며 몸부림 침을 형용해 이르는 말. |
89 |
過猶不及 |
지나다 과, 오히려 유(움직일 요), 아니 불, 미칠 급 과유불급 : 모든 사물이 정도가 지나치면 도리어 안한 것만 못함. |
90 |
刮目相對 |
긁다 괄, 눈 목, 서로 상, 대할 대 괄목상대 : 눈을 비비고 상대방을 본다는 뜻으로 남의 학식이나 재주가 놀랄 만큼 갑자기 향상됨을 일컫는 말. |
91 |
囊中之錐 |
주머니 낭, 가운데 중, 갈 지, 송곳 추 낭중지추 : 주머니속에 있는 송곳이란 뜻으로 재능이 아주 빼어난 사람은 숨어 있어도 저절로 남의 눈에 드러난다는 비유적의미 |
92 |
塗炭之苦 |
진흙 도, 숯 탄, 갈 지, 쓰다 고 도탄지고 : 진흙이나 숯불에 떨어 진것과 같은 고통이라는 뜻으로 가혹한 정치로 말미암아 백성이 심한 고통을 겪는 것. |
93 |
綠陰芳草 |
초록 녹, 그늘 음, 꽃다울 방, 풀 초 녹음방초 : 나무가 푸르게 우거진 그늘과 꼬다운 풀이란 뜻으로 여름의 아름다운 경치 |
94 |
桑田碧海 |
뽕나무 상, 밭 전, 푸를 벽, 바다해 상전벽해 : 뽕나무 밭이 푸른 바다가 되었다라는 뜻으로 세상의 변화가 매우 심한 것을 이르는 말 |
95 |
天攘之判 |
하늘 천, 흙덩이 양, 갈 지, 판단할 판 천양지판 : 하늘과 땅 사이와 같이 엄청난 차이 |
96 |
見利思義 |
볼 견, 이로울 리, 생각 사, 옳을 의 견리사의 : 눈 앞에 이익을 보거든 먼저 그것을 취함이 의리에 합당한 지를 생각하라는 말. |
97 |
敬而遠之 |
공경 경, 말 잇다 이, 멀 원, 갈 지 경이원지 : 공경은 하되 그것을 멀리한다는 말(줄여서 경원이라 함) |
98 |
兼人之勇 |
겸할 겸, 사람 인, 갈 지, 날쌜 용 겸인지용 : 혼자서 능히 몇 사람을 당해 낼 만한 용기 |
99 |
口蜜腹劍 |
입 구, 꿀 밀, 배 복, 칼 검 구밀복검 : 입으로는 달콤함을 말하나 뱃속에는 칼을 감추고 있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친절하나 마음속은 음흉한 것. |
100 |
權謀術數 |
권세 권, 꾀할 모, 재주 술, 셈 수 권모술수 : 1.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남을 교묘하게 속이는 모략이나 술수. 2. 상황에 따라 능수 능란하게 대처하는 수완 |
|
첫댓글 열방님 덕분에 베가스도 똑똑한척 하며 살아볼렵니다..오우케이...바리?.
하루에 한개씩이라도 외울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