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난 4월 미 국방부가 노스롭그루먼에 IBCS 제작을 승인한 것으로 언론에 보도된 바 있다. 어떤 내용인 지 그리고 IBCS는 어떤 시스템인지 설명해 주십시오.
▷ 노스롭그루먼은 미 육군으로부터 자사의 통합 공중 및 미사일 방어 전투 지휘체계(Integrated Battle Command System)의 최초운용능력(Initial Operational Capability, IOC)를 획득한 이후, 곧이어 지난 4월 체계양산을 승인받았습니다. 체계 양산 결정이 승인됨에 따라 미 육군에서 방공 작전 부대에 IBCS를 전력화 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중에 있습니다. IBCS는 전 세계 전장에서 통합방공작전을 수행하는 전영역 지휘통제 역량을 제공합니다.
▷ IBCS는 미 육군의 공중 및 미사일 방어 현대화 전략의 핵심으로, 기존의 공중 및 미사일 방어 지휘통제 체계를 단일 체계로 대체하는 사업을 진행중에 있습니다. IBCS 체계는 엄격한 기준의 시험평가와 다수의 시험비행을 완료했습니다. 이러한 평가 과정에서 IBCS는 통합 네트워크를 통해 지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화력통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입증하여, 상황인식 정보를 제공하고 의사결정 시간을 단축시켰습니다.
▷ IBCS는 모듈, 군, 영역에 관계없이 전장에서 사용 가능한 방공 자산을 통합 화력통제 네트워크에 연동하는 모듈식 개방형 아키텍처를 구현합니다. IBCS의 아키텍처는 현재 와 미래 체계의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통합을 가능하게 하며, 센서와 발사체간의 의존성을 감소시켜 대응 가능 영역을 확장합니다. 이러한 고도의 네트워크 통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IBCS는 정확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합니다. 수많은 개발, 운용시험 및 시연을 통해 IBCS는 전군의 센서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융합하여 시연하고, 다양한 요격체에 연동하는 능력을 입증하였으며, 이는 합동전영역지휘통제체계를 구현하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2. 북한 핵미사일 위협이 급속도로 고도화함에 따라 한국은 KAMD 체계를 발전시키고 있으며 IAMD(통합 방공미사일 방어) 체계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IBCS가 한국의 KAMD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나? KTMO 등과 연동될 수 있나?
▷ 노스롭그루먼은 대한민국 군과 지속적인 협력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IBCS의 주요 장점은 모듈 및 개방형 아키텍처로 설계되었다는 것으로, 다양한 센서, 요격체 및 방공체계를 통합할 수 있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 노스롭그루먼은 전 세계 여려 국과와 IBCS에 관해 논의 중에 있습니다. IBCS는 상호운용성 및 네트워크 통합 구축 성능을 통해 전장에서의 뛰어난 상황인지능력 및 신속한 의사 결정을 지원합니다.
▷ 대한민국은 현재 IAMD(Integrated Air and Missile Defense) 역량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에 노스롭그루먼은 IBCS를 KTMO(Korea Theater Missile Operation)와 연동하고, 다중 영역 대응 전략을 강화하고자 합니다. 대한민국이 여러 신규 체계를 개발하여 방공 및 미사일 체계를 현대화함에 따라, 노스롭그루먼은 한국 기업들과의 적극적인 파트너십을 통해 이를 논의하고 있습니다.
▷ IBCS는 미군의 방공 및 미사일 방어 현대화 전략하에 통합 미사일 방어 능력을 증명한 바 있으며, 데이터 중심의 기능 확장성을 기반으로 미 본토 방공 작전을 포함한 여러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바 있습니다.
▷ 최근 미국에서 진행된 두 번의 시연에서 IBCS의 개방형 아키텍처를 통해 Sentinel, Avenger 및 NASAMS(National Advanced Surface-to-Air Missile System) 등과 같은 기존의 미 육군 및 공군 센서 및 요격체를 신속하게 연동하는 능력을 검증한 바 있습니다. 특히, 마지막 시연에서는 제 263 공중미사일방어사령부(263rd Air and Missile Defense Command) 소속 부대원이 IBCS와 JTMC(Joint Track Management Capability)를 통해 해군 센서 정보를 통합해 미 수도권 지역에 걸쳐 방어 범위를 크게 확장하기도 했습니다.
▷ 이와 같은 성공적인 시연은 IBCS가 센서와 요격체를 통합하여 군이 우위를 선점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합니다.
3. IBCS의 해외 판매 사례를 설명해 주십시오.
▷ 폴란드는 자국의 공중 및 미사일 방어 현대화의 전략의 일환으로 IBCS를 채택한 바 있으며, 이외에도 미국 뿐만 아니라 미국의 주요 동맹국들이 IBCS를 채택함에 따라, IBCS는 연합군의 상호 운용성 및 네트워크 통합 역량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이와 더불어, 지난 9월 폴란드의 제 37 방공대대(37th Air Defense Squadron)는 폴란드의 비스와 방공 프로그램(WISŁA Air Defense Program)의 일환으로 노스롭그루먼의 IBCS를 배치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4. ‘서울 ADEX 2023’에서 선보일 노스롭그루먼의 통합 바이퍼 전자전 체계(IVEWS)의 특징과 차별점은?
▷ IVEWS는 모듈식 개방형 디지털 시스템 설계 원칙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IVEWS는 타 체계에 비해 상당한 이점을 제공합니다. IVEWS는 확장된 주파수 탐지 범위 뿐만 아니라 광대역 증폭 처리기를 통해 데이터 처리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차세대 센서 및 무기를 탐지, 식별, 위치 파악 및 대응이 용이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IVEWS는 미 공군 F-16에 채택된 차세대 전자전 체계로, 전 세대 F-16 항공기에 장착되어 운용될 수 있습니다.
▷ IVEWS는 첨단 전자전 체계로, 개방형 구조와 초광대역(Ultra-wideband, UWB) 설계로 항공기의 현재 및 미래 위협에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한 솔루션입니다.
▷ 또한, IVEWS는 미공군 연구소 지능 검증 에뮬레이터(LIVE) 테스트를 완료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IVEWS는 현대 전장의 RF(Radio Frequency)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입증하였습니다.
▷ 더불어, 노스롭그루먼은 대한민국 공군에 더 발전된 전자전 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한국 기업들과 협력하고 있습니다.
5. ‘서울 ADEX 2023’에서 선보일 ARRGM은 기존 한국군의 HARM 미사일과 어떤 차이가 있는가? ARRGM-ER은 ARRGM에 비해 어떤 점이 개량됐나?
▷ AARGM은 적 방공망 제압 및 파괴(Suppression / Destruction of Air Defense, S/DEAD)를 수행할 수 있는 첨단 공중발사 전술 미사일입니다. AARGM 시스템은 이탈리아 공군과 국제협력을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으로, 기존 AGM-88 고속대레이더미사일(High-speed Anti-radiation Missile, HARM)을 개량하고 보완한 체계입니다. AARGM의 체계개발 및 시연(System Development and Demonstration, SD&D) 사업을 통해 새로운 유도부(Guidance Section)를 설계 및 생산하고, 기존의 제어부(Control Section)를 보완하며, 이를 기존 HARM 로켓 모터와 탄두와 결합시킵니다.
▷ AARGM의 기본 기능에는 다양한 표적 탐지, 셧다운(shutdown) 전술 대응, 향상된 신호 처리를 통한 개선된 표적 탐지 및 위치 파악, 미사일 회피 지역 설정을 돕는 지리정보 기반 운영 및 전투 피해 평가 정보 지원 등이 포함됩니다.
▷ AARGM-ER(Advanced Anti-Radiation Guided Missile Extended Range)은 2016년 새롭게 시작된 프로젝트로, AGM-88E AARGM 능력을 확장하여, 생존성 및 미래 위협에 대한 대응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수정 통합했으며, F/A-18E/F 및 EA-18G에 적용될 예정입니다.
▷ AARGM-ER은 AARGM의 대레이더 유도미사일 센서와 전자 제어부는 물론, 사거리 연장을 위한 추진체, 개량형 탄두가 적용되어, 군에 필수적인 대공체계 제압 역량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원거리에서 적의 방공체계를 탐지 및 제압할 수 있으며, 항공기의 위협 노출을 최소화합니다.
▷ 2021년 9월 초도 저율 생산(LRIP) 승인 이후, AARGM-ER의 주 계약 업체인 저희 노스롭그루먼은 필요한 전투 역량 개발 및 적용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노스롭그루먼은 현재 올해안에 최초운용능력(Initial Operational Capability, IOC) 확보를 목표로 생산 계약을 체결한 바 있으며, 2021년 12월 노스롭그루먼은 2차 AAGM-ER LRIP 계약을 체결한 바 있습니다.
6. 한국도 독자적으로 대레이더 미사일을 개발할 계획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한국에 기술지원 의향이 있는가?
▷ 구체적인 프로그램에 대해 언급하기는 어려우나, 새로운 솔루션 지원을 위한 대한민국 고객 및 기업들과의 지속적인 협력 및 공동 개발의 기회를 기대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