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월드타워로 초대된 ‘라인프렌즈’, 핼러윈에 물들다

공공미술의 메카로 자리 잡은 롯데월드타워가 10월 한 달 동안 팝 아티스트 작품과 함께 핼러윈 파티장으로 변한다. 롯데월드타워가 핼러윈을 맞아 3일부터 31일까지 ‘안녕! 라인프렌즈 × 크레이그 앤드 칼’ 전시를 진행한다. 하이 스피릿(HI, SPIRIT-안녕, 핼러윈)을 테마로 글로벌 캐릭터 브랜드 ‘라인프렌즈’와 팝 아티스트 듀오인 크레이그 앤드 칼(CRAIG & KARL)이 협업한 이번 프로젝트는 핼러윈 마법의 캔디 성에 초대된 대형 아트벌룬을 선보인다. 총 22개의 작품이 월드파크 잔디광장에 설치돼 방문객들이 더욱 가까이에서 즐길 수 있으며 광장을 둘러싼 롯데월드몰 외벽에는 대형 캐릭터들이 래핑되어 거대한 핼러윈 타운을 이루고 있다.

롯데월드타워 아레나 광장에 설치된 하우메 플렌자의 작품 ‘가능성’. 타워를 찾는 사람들이 일상에서 예술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열린 구조이며, 희망과 도전의 메시지도 담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세계 최초로 선보이는 라인프렌즈의 초대형 작품을 만날 수 있다. 캐릭터 중에서도 가장 인기 있는 브라운과 샐리가 12m 규모의 아트벌룬 작품으로 변신한다.

롯데월드타워 로비 입구 상부에 설치된 체코 아티스트 그룹 라스빗의 ‘다이버’.
뉴욕과 런던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아티스트 듀오인 크레이그 앤드 칼은 구글, 애플, 키엘 등 다국적기업과 컬래버레이션을 진행해 온 신흥 아티스트로, 이번 핼러윈을 맞아 롯데월드타워만을 위한 신작을 선보이는 것이다.

롯데월드타워 입구에 설치된 전준호 작가의 ‘블루밍’.
크레이그 앤드 칼은 28일부터 ‘10월의 마지막 밤’인 31일까지 롯데월드타워 외벽에 핼러윈을 패턴으로 재해석한 경관 조명도 연출한다.

롯데월드타워 아레나 광장에 설치된 김주현 작가의 ‘라이트 포레스트’.
전시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진행되며, 오후 6시부터는 야간 조명이 작품들을 비춰 핼러윈 분위기를 더욱 살릴 예정이다. 주말에는 총 3회(오후 1시, 3시, 5시)에 걸쳐 라인프렌즈 브라운 인형이 롯데월드몰 곳곳에 출몰하며, 핼러윈 분장을 한 연기자들이 함께 사진을 찍어주는 이벤트를 진행한다. 구매 고객 대상으로는 라인프렌즈 한정판 풍선을 증정하고, 온라인에서 판매하는 다양한 캐릭터 상품의 수익금은 네이버 해피빈에 연계 기부한다.

롯데월드타워 월드파크에 설치된 노준 작가의 ‘라이프 애즈 마시멜로즈’
롯데물산 박현철 대표이사는 “황금연휴로 시작한 10월에는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고 있는 라인프렌즈와 함께 롯데월드타워의 축제를 즐기시기 바란다”며 “해마다 특색 있는 핼러윈 페스티벌을 전개해 관광객들에게 핼러윈을 즐기기에 가장 좋은 곳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전시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진행되며 오후 6시부터는 야간조명이 12m 규모의 초대형작품들을 비춰,
핼러윈의 분위기를 더욱 살린다.
핼러윈이란?
매년 10월 31일 유령이나 해골, 좀비 등 기괴한 복장을 하고 즐기는 축제
매년 10월 31일 다양한 분장을 하고 즐기는 축제다. 켈트 문화에서 유래한 것으로 현재는 미국 전역과 일부 국가에서 행한다. 10월 31일은 모든 성인 대축일 전날로, 죽은 사람의 영혼이 이승으로 돌아오는 시기로 여겨진다. 핼러윈(Halloween)이란 ‘모든 성인 대축일 전야제(All Hallows’ Day evening)’의 줄임말이다 핼러윈에 사람들은 죽은 이들의 영혼을 쫓기 위해 귀신이나 괴물 등 기괴한 복장을 한다. 또한, 길가나 집 앞에는 ‘잭오랜턴(Jack-O’-Lantern)’이라 불리는 호박등을 설치한다. 미국에서는 유령이나 마녀 등으로 가장한 어린아이들이 잭오랜턴이 켜진 집에 들어가 과자나 사탕을 받아가는 문화가 있다
유래와 역사
삼하인 축제
핼러윈은 고대 브리튼과 아일랜드에 거주했던 켈트족의 문화에서 유래했다. 켈트족은 한 해에 네 번 축제를 열었는데 매년 10월 31일에 열리는 삼하인(Samhain) 축제’가 그중 하나다. 켈트족 달력에서 11월 1일은 한 해의 시작이자 겨울이 시작되는 첫 날이었다. 켈트족은 이 날을 기점으로 저승의 문이 열려 죽은 자의 영혼과 악마들이 이승을 올라온다고 믿었다.
삼하인 축제에 켈트인들은 죽은 이들을 위해 제사를 지냈으며, 악령과 악마들이 사람들을 구분하지 못하도록 기괴한 모습으로 자신을 꾸몄다. 또한, 악령들을 놀라게 할 목적으로 언덕 꼭대기에 거대한 모닥불을 피우기도 했다. 집 앞에는 죽은 이들이 집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집 앞에 음식을 놓아두었다.
한편, 이날은 악마의 도움을 간청할 수 있는 날로 여겨져 결혼이나 행운, 건강, 죽음에 관한 점을 치기도 했다.
기독교의 영향
삼하인 축제는 그리스도교가 아일랜드에 전파된 후 6세기 무렵에 그리스도교에 흡수되었다.
835년경 교황 그레고리오 4세는 모든 성인 대축일을 5월 13일에서 11월 1일로 정식 변경했으며, 이후 핼러윈은 모든 성인 대축일 전날에 치르는 축제로 굳어졌다. 로마 가톨릭교에서 11월은 세상을 떠난 이들의 영혼을 기억하며 기도하는 ‘위령성월’로 전통적인 삼하인 축제와도 연결되는 측면이 있다. 모든 성인 대축일 다음 날인 11월 2일은 위령의 날’로 죽은 이들을 기리며 연옥에서 고통받는 이들을 위해 기도한다
미국으로의 전파 현재의 핼러윈 문화가 정착한 것은 20세기 초반부터다. 이전까지는 미국으로 이주한 소수의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출신 이민자들이 벌이는 작은 행사에 불과했다. 그러나 19세기 중반부터 아일랜드 출신의 이민자가 급증하자 전통 축제인 핼러윈도 미국에서 빠르게 퍼지기 시작했다. 1930년대 이후부터는 아이들이 분장하고 집마다 돌아다니며 사탕과 과자를 얻는 풍습도 자리잡았다. 핼러윈의 상징색은 주황색과 검은색이다. 주황색의 상징물로는 호박의 속을 파서 악마의 얼굴 모습을 새기고 그 안에 불이 켜진 초를 고정시킨 ‘잭오랜턴(호박등)’이 있다. 잭오랜턴은 아일랜드 민담에 등장하는 구두쇠 잭(Jack)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민담에서 잭은 악행을 일삼아 천국에도 지옥에도 가지 못하고 호박에 불을 담아 이승을 떠돈다. 과거 스코틀랜드에서는 순무를 사용했으나 미국에서는 토산물인 호박으로 대치되었다. 잭오랜턴은 호박의 속을 파내고 눈, 코, 입 모양으로 껍질을 잘라 만든다.
장난이냐 과자냐(Trick or Treat)
핼러윈에 아이들은 유령이나 괴물, 마녀 등으로 분장하고 집집마다 다니며 과자를 얻는다. 집 앞에 잭오랜턴이 켜진 집에만 들어가 문을 두드린 후 “트릭 오어 트릿(Trick or Treat)”이라 외친다. ‘과자를 주지 않으면 장난을 치겠다’는 의미다. 아이들의 방문을 받은 집에서는 사탕이나 초콜릿 등의 간식을 준다. 아이들의 방문을 원하지 않는 집에서는 문 앞의 잭오랜턴을 꺼놓으면 된다.
분장
핼러윈에는 아이들뿐 아니라 어른들도 분장하고 축제를 즐긴다. 유령이나 괴물, 마녀 등 전통적인 복장 이외에도 유명인사나 만화 캐릭터 등 창의적이고 독특한 복장으로 꾸미는 경우가 많다. 미국의 경우 지역마다. 핼러윈 퍼레이드를 포함한 다양한 행사를 진행한다. 한국에서도 2000년대 이후 놀이공원이나 일부 거리에서 핼러윈 축제를 열고 있다..

잭오랜턴(Jack-O’-Lante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