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3년여 만에 최대 증가폭
새달 DSR 2단계 시행 전 수요 겹쳐
5대 은행 금리 인상하며 속도 조절
기업대출도 7개월 연속 증가 추세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이 7월 한달간 7조원 넘게 불어났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부동산 거래량이 늘어난 데다 9월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2단계 시행을 앞두고
'대출 막차' 수요가 겹친 영향으로 풀이된다.
1일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5개은행 가계대출 전액을 취합한 결과
지난달 가계대출 잔액은 715조7383억원으로 6월 (708조 5723억원)보다 7조 1660억원 늘었다.
2021년 4월(9조2265억원 증가) 이후 3년 3개월 만의 최대 증가폭이다.
지난달 18일 기준 잔액이 712조 1841억원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2주도 안 돼 3조5000억원 넘게 붗어난 셈이다.
가계대출 증가폭도 매달 커지고 있다.
가계대출 증가액은 지난 4월 4조4346억원, 5월 5조2278억원, 6월 5조 3415억원으로 집계됐다.
최근 4개월 동안 월편균 5조5000억원 넘게 증가해 온 것이다.
특히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이 가계대출 증가를 견인했다.
주담대 잔액(559조7501억원)은 6월(552조1526억원) 대비 7조5975억원이 늘어나 전체 가계대출 증가액보다 많았다.
반면 신용대출 잔액은 1713억원 줄었다.
은행 관게자는 '수도권 중심으로 부동산 거래가 되살아난데다 시장금리가 내려가 이자 부담이 줄었다'며
'스트레스 DSR 2단계가 시행되는 9월 전 대출 수요가 몰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스트레스DSR 2단계가 시행되면 고정금리가 아닌 경우 은행에서 빌릴 수 있는 한도가 더 줄어든다.
가계대출이 급증세를 보이자 금융당국은 가계빛 관리 강화에 나섰다.
시중은행들은 주담대 금리를 잇따라 인상하며 대출 공급을 조절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2일부터 주담대 5년 고정금리를 (0.15~0.30% 포인트 인상하며 신한은행도 오는 7일부터 주담대와
전세대출 금리를 각각 0.3% 포인트, 0.1~0.3% 포인트 올린다.
한편 가입대출도 7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 가고 있다.
5대 은행의 기업대출 잔액은 지난달 818조 2285억원으로 6월 (811조 3482억원)보다 6조 8803억원 늘었다.
6월 증가액(8조250억원)에 비해 증가폭은 줄었지만 올해 들어 7개월 연속 증가 추세다.
은행 관계자는 '고금리에는 기업들이 회사채 발행보다 은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려는 수요가 늘어난다'며
'여기에 정부가 가계대출을 죄면서 은행들이 기업대출로 눈을 돌린 영향도 있다'고 말했다. 손지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