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hibition |
포스터를 클릭하면 상세정보가 새 창으로 연결됩니다. 코로나 범유행으로 온라인 전시 진행 및 전시장 방문 가능 여부를 꼭 확인하세요! |
|
| | 흔적 Trace: 김현식·신미경 2022-02-17 ~ 2022-04-16 | 갤러리JJ 02-322-3979 | galleryjj.org 두 작가는 특히 작업의 근간을 이루는 고유의 질료에 대한 끈질긴 탐구와 수행적 태도를 같이하며 매체적 관습이나 일상과 예술, 동서양, 시공간의 경계 위에서 사유한다. 신작을 중심으로 묵직한 두 작가의 작업이 한 공간에서 빚어내는 색다른 변주는 무척 기대되는 일이다. |
| | MZ세대의 후기 아날로그적 경향들전 2022-01-04 ~ 2022-04-17 | 오산시립미술관 031-379-9940 | osan.go.kr/arts VR/AR, 동영상과 같은 디지털 문화가 활성화 되는 이 시기에 젊은 작가들의 ‘아날로그적’ 언어에 주목하여 80년대 생인 초대작가 6인의 회화나 조각과 같은 전통적 미술 장르에 게임, 동영상, 그래픽 등 자신이 성장한 디지털 환경을 표현하거나, 모더니즘을 비롯한 기성세대의 조형언어를 새롭게 해석하여 작품을 선보인다. |
| | 그리고 봄, 그리다展 2022-03-15 ~ 2022-04-16 | 스튜디오 끼 031-8071-8822 | instagram.com/studiokki Pandemic의 시기를 각자의 방식으로 관통하며 작가들은, 그 시간 속의 파편들을 캔버스 위에 촉감있는 위로를 담아 담대하게 그려냈다. |
| | 이한범 전: 더 나은 세상을 향한 전언들 2022-04-06 ~ 2022-04-11 | G&J갤러리 02-737-0040 | hanlee.kr 의인화된 동물이나 삼국지의 인물은 대중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팝아트와 비슷한 구석도 있어서 마치 트럼프 카드에 등장하는 잭, 퀸, 킹, 조커와도 같이 친숙하게 다가온다. 그러나 환경의 파괴, 역병의 유행, 무능한 정치 등을 외면하지 않고 날선 비판을 적극적으로 포함시킨다. |
| | 칸딘스키, 말레비치 & 러시아 아방가르드: 혁명의 예술 2021-12-31 ~ 2022-04-17 |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02-399-1153 | 러시아 아방가르드는 퇴폐 예술로 낙인이 찍혔으나 50년 뒤 미니멀 아트로 부활한 역설적 창조의 예술이었다. 1910-20년대 러시아의 전위적 예술운동은 한국의 추상미술관 단색화의 탄생에도 영향을 끼쳤다. 21c "문명사전 전환기"에 러시아 아방가르드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