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댓글 "일제의 침략을 폭로하기 위해"...이 부분이 틀렸습니다. 민족주의사학이 일제의 침략성을 폭로하는 쪽이구요...진단학회는 순수학문(문헌고증) 중심입니다. 더 자세한거는 검색해보세요...나오네요...
실증주의는 역사를 위한 역사연구에 매달렸기때문에 일제 침략성 폭로쪽과는 거리가 멀어요^^
너무 감사해요... 님들 꼭 합격하실꺼예요^^
민족주의 사학 : 한국사 발전의 주체가 우리 민족임을 강조, 식민주의 사학의 허구성을 밝히는 데 노력
박은식 : ‘한국 통사’, ‘한국 독립 운동지혈사’ 저술 → 일제의 불법적 침략 규탄 /(2) 신채호 : ‘조선 상고사’, ‘조선사 연구초’ 저술 → 우리 고대 문화의 우수성과 독자성 강조, 식민주의 사관 비판 (3) 정인보, 문일평, 안재홍, 남궁억 : 민족주의 사관 계승, 식민주의 사관 비판
2. 사회 경제 사학(1930년대) : 백남운 등, 한국사의 세계사적 보편 강조 → 식민주의 사관의 정체성 이론 반박
3. 실증주의 사학 : 진단 학회 중심 → 개별적인 사실을 객관적으로 밝히려는 학술 활동
4. 민속학 연구 - 손진태, 우리 문화재 보존과 국외 유출 방지 - 전형필
첫댓글 "일제의 침략을 폭로하기 위해"...이 부분이 틀렸습니다. 민족주의사학이 일제의 침략성을 폭로하는 쪽이구요...진단학회는 순수학문(문헌고증) 중심입니다. 더 자세한거는 검색해보세요...나오네요...
실증주의는 역사를 위한 역사연구에 매달렸기때문에 일제 침략성 폭로쪽과는 거리가 멀어요^^
너무 감사해요... 님들 꼭 합격하실꺼예요^^
민족주의 사학 : 한국사 발전의 주체가 우리 민족임을 강조, 식민주의 사학의 허구성을 밝히는 데 노력
박은식 : ‘한국 통사’, ‘한국 독립 운동지혈사’ 저술 → 일제의 불법적 침략 규탄 /(2) 신채호 : ‘조선 상고사’, ‘조선사 연구초’ 저술 → 우리 고대 문화의 우수성과 독자성 강조, 식민주의 사관 비판 (3) 정인보, 문일평, 안재홍, 남궁억 : 민족주의 사관 계승, 식민주의 사관 비판
2. 사회 경제 사학(1930년대) : 백남운 등, 한국사의 세계사적 보편 강조 → 식민주의 사관의 정체성 이론 반박
3. 실증주의 사학 : 진단 학회 중심 → 개별적인 사실을 객관적으로 밝히려는 학술 활동
4. 민속학 연구 - 손진태, 우리 문화재 보존과 국외 유출 방지 - 전형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