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석장리미술관 관광투어(1박2일) -상시 진행-
1. 석장리미술관
도착 - 공원산책, 작품감상 및 작품설명 - 만들기 + 그리기체험 - 모닥불과 감자, 고구마구이 -
석식 : 훈제바베큐 + 계절별 별미 만찬+ 불꽃놀이 - 황토방투숙
2. 조식(해장국) - 34Km - 태풍전망대 견학 - 18Km - 동막골 유황천 - 24.3Km -
중식(임진강 참개장 + 장어구이 + 매운탕) - 10.9Km - 임진강 황포돛배 - 귀가
참고 : 상기스케쥴은 개인적 취향에따라 가감이 가능합니다.
예상경비(1인)
작품설명 - 무료 만들기 그리기체험 - 10,000원 석식 - 20,000원 조식 - 5,000원 동막골 유황천 - 4,000원(찜질용의상 :1,000원) 중식(어부의집) - 20,000원 황포돗배 - 성인: 8,000원 / 소인: 6,000원
예상경비(단체) 모닥불 (기본30,000원 추가 20,000원) 감자 고구마 - 무료 불꽃놀이 (기본 30,000원) 황토방 (큰둥지 100,000만원, 작은둥지 50,000원, 카페 250,000원) * 카페는 특별한 경우에 한합니다. 태풍전망대 - 무료
배경설명
1. 석장리미술관 1999년 제1회 민통선예술제를 시작으로 예술가들이 직접만들고 가꾸는 조각공원은 생태보고지역인 최전방에 위치한 자연과 어우러지는 순수문화공간입니다. 자연을 존중하며 지켜온 17년세월속에 계절별로 느낄 수 있는 감동이 있습니다. 2.. 태풍전망대 경기도 연천군 중면(中面) 중사리에 있는 북한 전망대. 휴전선과 가장 가까운 국군 전망대로서, 비끼산 최고봉인 수리봉에 자리잡고 있다. 1991년 12월 3일 육군 태풍부대가 개관하였다. 높이는 264m이며, 전망대에서 휴전선까지 800m, 북한군이 있는 초소까지 1,600m 떨어져 있다. 군대 초소에 신분증을 제출하면 둘러볼 수 있다. 서울특별시에서 약 65㎞, 평양에서 약 40㎞ 떨어져 있다.
전망대가 위치한 지역은 삼국시대부터 역사적으로 전략적 중요성을 지닌 요지였으며, 6·25전쟁 때는 북한군이 의정부·서울 방향으로 공격할 때 경유하던 곳이고, 치열한 전투 후 국군이 북한군으로부터 수복하였다.
남방한계선과 북방한계선은 원래 6·25전쟁 직후에는 임진강 군사분계선을 기점으로 남쪽 2㎞ 지점에 있었지만, 1968년 북한군이 휴전선 가까이로 철책을 옮겨오자 국군도 1978년 철책을 부분적으로 옮기면서 이 전망대가 38선과 가장 가까운 전망대가 되었다.
전망대에서는 북한농장이 내려다보이며 맑은 날에는 개성 부근까지 볼 수 있다. 전망대 내에는 장병들의 종교 집회장소인 교회·성당·성모상·법당·종각 등이 있고 실향민들의 망향비와 전적비가 세워져 있다. 전망대에서 2km 떨어진 필승교는 임진강이 최초로 남한 지역으로 유입되는 곳인데, 이곳에 자리한 전시관에는 1985년 이후 강으로 떠내려오는 북한의 생활필수품, 일용품, 간첩의 침투장비 등이 전시되어 있다.
3. 동막골 유황천 폭넓은 온천테마로 가족들과 어울리며 즐길 수 있는 3.000여평의 테마유황천. 최전방의 자연환경으로 쌓인 피로와 스트레스를 풀기에 적합한 공간이다. / 연중무휴 / 24시영업 / 문의 : 031-834-7000
4. 어부의집
백학저수지에 위치한 전문 매운탕집으로 임진강에서 직점 어획한 물고기로 요리합니다. 깊은맛과 깔끔함을 자랑하기에 적극 추천하는 공간입니다. 특별히 참개장과 장어구이를 매운탕과함께 맛볼 수 있도록 하였다. 문의 : 031-835-8700
5. 임진강 황포돗배 체험
조선시대 주요 운송수단이였던 황포돛배를 재현하여
최초로 임진강 두지리 선착장에서 고랑포구까지 승선하여 내려온다. 강변을 따라 60만년전에 형성된 붉은색 수직바위가 장관을이룬 "임진강 적벽" 과 괘암 / 호루고루성 / 고랑포 여울목을 감상할 수 있다. 운항시간 : 오전10시~오후6시 / 문의 : 031-958-2557~8
주변볼거리 : 정발장군묘 / 영원부원군묘 / 숭의전 / 김신조침투로 /
경순왕릉 / 호루고루성지 / 재인폭포 전곡 구석기유적지
한탄강유원지(조성중) 등이 있습니다.
석장리미술관 문의 및 예약 : 011-9915-6073 / 031-835-2859

사진: 석장리 미술관 전경
 |
 |
 |
구파발.통일로-문산-적성-백학-'군남' 표지판-동중리.석장리 표지판-석장리 자유로-문산-적성-백학-'군남' 표지판-동중리.석장리 표지판-석장리 의정부-덕정사거리-적성-백학-'군남' 표지판-동중리.석장리 표지판-석장리
모든 길은 '적성'을 경유하여 백학면사무소를 지나는 순간 '군남' 쪽으로 가는 도로표지판을 보고 진행하시면 바로 동중리.석장리 표지판이 보여서 쉽게 찾을 수 있으며, 길 중간중간에 '발'작품으로 만든 표지판을 만날 수 있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