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6070 낭만길걷기 원문보기 글쓴이: 미션
◇트럼프 관세가 밀어올린 금값…2900달러 돌파
◇시장 불확실성에 안전자산 인기
◇각국 중앙銀, 사모으기도 한몫
◇작년 4분기 매입량 333t 달해
◇"3000弗 돌파 시간문제" 중론
◇JP모간은 "연말 2950달러"...향후 금값 전망 엇갈려
2. 서울 대학가 원룸 평균 월세 61만원
→ 이화여대 인근 74만원으로 최고.
1년 새 6.1% 올라.
보증금 1000만원, 원룸, 전용면적 33㎡ 이하 기준.
관리비 평균도 7만 8000원으로 1년전 대비 8.1% 올라.(서울)
3. ‘심상찮은’ 남성2030 보수화 결집
→ ‘서울서부지법 난입 사태’로 체포된 현행범 절반 이상이 2030 청년.
탄핵심판 관련해서는 ‘헌재를 신뢰하지 않는다’는 2030 비중이 53%(신뢰 한다 40%)로 ‘신뢰한다’가 절반이 넘은 40∼60대와는 정반대.(문화)
■ 가짜뉴스와 사회 불신이 부른 극단화
전문가들은 혼란한 사회 속에서 유튜브와 같은 온라인 채널을 통해 가짜뉴스나 선동적인 내용이 빠르게 퍼져나가는 상황을 문제로 꼽았습니다.
김윤태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는 “기술 변화로 유튜브가 일상을 지배하는 상황에서 실시간으로 소식이 퍼지고 알고리즘에 의해 편향적인 채널만 계속 노출이 된다면 이를 보는 이들까지 모두 ‘집단지성’이 아닌 ‘집단착각’에 빠지게 된다”고 분석했습니다
◇유권자 중 젊은층 비중은 주는데 선거 영향력은 더 커져… ◇높아진 투표율로 ‘캐스팅 보트’
◇대선 최대 관전 포인트는 2030 선택… ‘4050과 동맹’이냐 ‘6070과 연합’이냐에 결과 갈려
4. 우리나라가 첫 석유 탐사지는 충북 진천?
→ 일제강점기인 1939년 민간인들이 충북 진천에서 석유 광구를 출원해 지하 20m까지 뚫었지만 성과는 없었다.(문화) 1
5. 트럼프 맞춤형 3선 개헌안?
→ 최근 공화당 앤디 오글스 의원(테네시주), 대통령 임기 관련 헌법 수정 결의안 제출.
‘3선 금지'라는 골자는 같지만 첫 임기를 마친 뒤 연임을 하지 않은 대통령은 3선이 가능한 것으로 수정, 트럼프 맞춤 조항이라는 평가.(아시아경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측근으로 불리는 앤디 오글스 미 공화당 하원의원. AP=연합뉴스
6. 젊을 때 떠나자... ‘작은 은퇴’ 유행
→ 최근 미국 Z세대(1990년대 중반~2010년대 초반 출생)를 중심으로 '마이크로'(micro) 은퇴 유행...
번아웃 극복 등을 위해 경력 중간에 일을 그만두고 해외여행 등 충분한 휴식을 취한 뒤 다시 일자리를 찾자는 풍조 확산.(아시아경제)
7. 하루 임대료 1000원, '천원주택' 등장
→ 인천시, 신혼부부 대상 ‘천원주택’ 예비 입주자 모집 공고.
시가 매입한 임대주택 또는 입주자들이 직접 물색한 전세 임대주택을 하루 1000원(월 3만원)에 빌려주는 인천형 주거복지정책.
연간 1000가구 계획.(아시아경제 외) ▼
8. 같은 서울 아파트... 한쪽에선 1억원 떨어질 때 한쪽에선 3억 상승
→ 집값 양극화 심화.
서울 1분위(하위20%)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고점이던 2022년 7월(5억 8195만원)보다 1억원 가까이 하락.
반면 같은 기간 5분위(상위20%) 아파트는 27억 3666만원으로 3억원 가까이 올라.(헤럴드경제)
9. ‘2% 이자’보다 ‘4% 배당’을 노려라
→ 저금리 시대 주목 받는 ‘출자금 통장’...
단위농협·새마을금고·신협 등에 조합원(주주)으로 가입하고 출자 후 매년 경영성과에 따라 배당금을 받는 것.
배당률은 통상 3~5% 수준으로 시중은행 예금금리보다 높다.
그러나 금고 파산시 보호장치 없고 중도 인출도 다음 해 총회 이후 가능한 것도 단점.(헤럴드경제)
10. ‘탈 났다’의 ‘탈’은 한자? 우리말?
→ 본래 순우리말이지만 한자로 ‘頉’(탈날 탈)로 쓰기도 했다.
즉 이 글자는 한자를 쓰던 시절 문자생활 편의를 위해 우리 조상들이 만든 국산 한자이다.
당연히 중국어 사전에나 일본어 사전에는 없다.(최태호의 재미있는 우리말)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