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럼은 왜 깰까
부럼은 정월 보름날에 부스럼을 다스리기 위해 먹는 밤, 호두, 은행, 땅콩 등을 이르기도 하고, 그런 견과류를 먹는 풍습을 가리키기도 한다. 이 풍속을 다른 말로 ‘부스럼(부럼) 깨물기’라고도 하고 ‘부럼 먹는다’고도 한다. 보름날 아침에 부럼을 먹으면서 ‘부스럼 깨자’라고 외치며 일년 내내 부스럼 없기를 기원하였다.
이를 보면, 지난날 부스럼이 얼마나 사람들을 괴롭혔는가를 알 수 있다. 임금이 종기로 죽는 일까지 있었으니 일반인들이야 오죽했으랴. 변변한 약이 없던 그 시대에는 부스럼이 큰 골칫거리였다. 50년대만 하더라도 부스럼 없는 아이가 거의 없을 정도였다. 머리부터 발끝까지 부스럼투성이의 아이도 많았다. 부스럼을 예방하기 위해 부럼을 먹는 것은 그만한 이유가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보름에 부럼을 먹는 것은 보름과 부럼이라는 두 말이 지닌 음의 유사성에 기인한 것 같다. 그리고 부럼도 부스럼과의 소리 유사성에서 유래된 것 같다. 지금도 부럼을 부스럼의 뜻으로 쓰는 이가 있어서, 사전에도 부럼은 부스럼의 잘못이라고 적혀 있음을 봐도 그것을 알 수 있다.
부스럼의 옛말은 브스름이다. 브스름은 ‘붓다’의 고어 ‘븟다’에서 온 말이다. 부스럼이 나면 붓기 때문이다. 그리고 브스름은 우리말의 음운 변화 법칙인 ㅅ>ㅿ>ㅇ의 과정을 거쳐 변해 왔다. 즉 브스름>브름>브으름으로 변해 왔다. 이 브으름이 브름으로 줄어지고, 이 말이 부럼으로 바뀌게 된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큰 의문이 드는 것은 부스럼을 깨는 데 왜 하필이면 부럼 즉 견과류를 먹었느냐는 것이다. 먹기 좋은 딴 음식을 다 제쳐두고 왜 그 먹기 어려운, 껍질이 단단한 견과류를 택해 먹었을까?
이를 상고하기 위하여 부럼에 대한 옛 기록을 문헌에서 찾아본다.
우리나라의 세시 풍속에 대한 대표적 기록인, 홍석모(洪錫謨)의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부럼을 작절(嚼癤)이라 하고, 김매순(金邁淳)의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에는 교창(咬瘡)이라 하였다. 또 유만공(柳晩恭)이 1843년에 편찬한 세시풍요(歲時風謠)에서는 ‘작옹(嚼癰)’이라 적고 있다. 이는 모두 부스럼을 깨문다는 뜻이다.
그런가 하면 이와는 좀 다른 내용의 기록이 보인다. 1882년에 간행된 김려(金鑢)의 담정유고(藫庭遺藁)에는 “호두와 밤이 어금니를 단단하게 하니, 오이처럼 부드럽게 부럼을 깨무네.”라는 시구가 보이며, 양뇌아(養牢牙)라는 말도 보인다. 양뇌아는 이를 튼튼하게 기른다는 뜻이다. 또 홍석모(洪錫謨)의 도하세시기(都下歲時紀) 속시(俗詩)에는 고치지방(固齒之方)이란 말이 보이는데, 이는 ‘이를 튼튼하게 하는 처방’이란 뜻이다.
또 동국세시기의 다른 곳에는 “의주(義州) 풍속에 젊은 남녀들이 새벽에 엿을 깨무는 것을 치교(齒交)라고 한다.”는 기록이 있다. 여기의 치교는 ‘이 내기’로써 누구 이가 튼튼한지를 겨룬다는 뜻이다.
이러한 기록을 통해서 볼 때, 부럼은 민간에서 부스럼 예방과 이를 단단하게 하는 처방이란 두 가지 목적으로 행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이 두 가지 생소한 목적이 처음부터 아울러 행해졌을까?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미루어 생각건대, 고치지방(固齒之方) 즉 이를 튼튼하게 하려는 습속이 부스럼 예방보다 앞서 행해졌을 것이다. 왜냐하면, 이를 가꾸는 것이 생존이라는 구극적 면에서 볼 때 부스럼 문제보다 훨씬 앞서기 때문이다. 이의 건강은 생존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다. 이가 건강해야 먹이를 잘 섭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려면 단단한 껍질도 잘 부수고 그 안에 있는 내용물을 쉽게 섭취할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은 아득한 원시시대 때부터 인류가 가졌을 원초적 본능에 속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니 부럼의 풍습은 먼 옛날에 시작된 것이라 하겠다.
게다가 부럼과 비슷한 이웃나라의 고대 기록을 살펴봐도 그것을 짐작할 수 있다.
부럼깨기 풍속은 중국과 일본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중국의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 이르기를, “설날에 도소주와 교아당(膠牙餳)을 올린다.”는 기록이 그것이다. 교아당은 엿기름으로 만든 딱딱한 엿을 말하는데, 정초에 이것을 올린다는 것은 곧 엿을 깨물어 이의 강함을 겨루는 것을 가리킨다. 동국세시기에 적힌 우리의 치교(齒交) 습속과 유사하다.
또 일본에서는 정초에 하가타메(齒固め)라는 풍속이 전해오는데, 이것은 ‘이 강하게 하기’ 습속이다. 이것은 조정과 민간에서 두루 행해졌다.
이러한 면에서 볼 때, 부럼깨기는 부스럼을 깨물어 그것을 예방한다는 목적으로 행해지기 전에, 본디 이를 튼튼하게 한다는 실용적 목적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면 이를 튼튼하게 하기 위한 습속이 왜 부스럼 방지를 위한 주술적 방법으로 쓰이게 되었을까? 이것은 ‘부럼’이 두 가지 뜻을 갖게 된 데서 연유한다. 부럼이라는 말은 원래 굳은 껍질의 과일이란 뜻이었다. 그런데 앞에서 말한 것처럼 후대에 부스럼이 부럼이란 말소리로 변하여 쓰였다. 두 말이 같은 음, 다른 뜻을 가진 동음이의(同音異義)에서 비롯되었다. 이것은 정월대보름 민속인 다리밟기[踏橋]와 비슷하다. 다리(橋)를 밟으면 다리(脚)가 튼튼해진다는 습속의 의미와 같다. 이는 교량을 뜻하는 다리와 인체 기관의 다리가 음이 같다는 데서 연유한다. 부럼을 깨물면 부스럼(=부럼)이 없어진다는 일종의 유감주술(類感呪術 homeopathic magic)적 작용에 의한 것이다.
유감주술이란 모방주술(模倣呪術)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닮은 것은 닮은 것을 낳는다든가 결과는 그 원인을 닮는다고 하는 유사율(類似律)에 그 바탕을 두는 것이다. 이를테면, 석불(石佛)의 코를 떼어 먹으면 아들을 낳을 수 있다고 믿는 것 등이 이에 속한다. 석불의 코와 남성의 성기를 유감한 것이다.
그럼 여기서 부럼을 깬다는 의미는 무엇일까를 생각해 본다.
말 그대로 부스럼을 깨는 것이다. 부스럼을 깨뜨려 없애버린다는 의미다. 앞에서 인용한 담정유고의, ‘종기의 약한 부분을 깨물어 부수는 것’이란 기록도, 바로 그러한 사실을 가리킨 것이다. 그런데 이런 민속이 생기게 된 그 근저에는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 딱딱한 견과류는 부스럼에 비유하고, 깨는 것은 부스럼을 깨뜨려 없애는 것을 빗댄 것이다. 이것은 아마도 지난날의 부스럼 치료법과 관련하여 유추된 것으로 보인다. 마땅한 약이 없던 과거에 부스럼을 치료하는 유일한 방법은, 부스럼을 터뜨려(깨뜨려) 그 속에 박힌 고름 덩이를 제거하는 것이었다. 민간에서는 이를 가리켜, ‘해를 빼낸다’고 하였다.
담정유고에 종기를 말하면서, “호두와 밤을 깨무는 것은 바가지를 깨는 것처럼, 종기의 약한 부분을 깨물어 부수는 것이다. 신령의 소리를 흉내 내어, 용한 의원이 침을 놓는다는 주문(呪文)을 외우며 깨문다.”라 적힌 것은 바로 그것을 말한 것이다. 또 여기서 ‘침’을 이야기한 것도 그러한 치료법과 관련이 있는 것이다. 침으로 종기를 찔러 깨뜨리는 것이다.
이럴 때 함께 썼던 대표적인 약이 고약(膏藥)이다. 고약은 부스럼을 깨뜨려 고름을 빼내는 약으로, 6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부스럼 치료용으로 널리 쓰였다. 부럼 깬다는 말은 이런 사연을 그 속에 안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