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레나룻 염(髥,髯)자는 의부(義符)로 머리털 드리워질 표(髟)자에 성부(聲符)로 나아갈 염(冄,冉)자를 했습니다. 나아갈 염(冄,冉)자는 멀 경(冂)자 안에 두 이(二)자를 해서 먼 곳으로 오락가락하는 것을 표시하였습니다. 이쪽과 저쪽을 왕래한다는 뜻의 글자입니다. 그러니, 나아간다는 뜻이 생겼지요. 나아갈 염(冉)자는 나아갈 염(冄)자와 같은 글자입니다. 처음 글자는 염(冄)자였는데, 나중에 염(冉)자로 변했다고 생각합니다. 나아갈 염(冄,冉)자는 털을 그린 글자입니다. 걸을 때 날리는 털을 그려서 나아간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나아갈 염(冉)자는 걸을 때 다리를 벌리는 모양을 상형(象形)한 글자로 보기도 합니다. 염삼척식령감(髥三尺食令監) 염소(髥昭) 염수삼척식내령공(髥雖三尺食乃令公) 염형(髥型) 은염(銀髥)
불 댕길 염(焰)자는 의부(義符)로 불 화(火,灬)자 변에 성부(聲符)로 함정 함(臽)자를 했습니다. 함정 함(臽)자는 구덩이와 모양이 같은 절구 구(臼)자 위에 사람을 표시해서 구덩이에 바진 사람을 나타냈습니다. 이문 염(閻), 불 댕길 염(燄)자를 했습니다. 염천(焰天) 화염(火焰) 불광염(佛光焰) 기염만장(氣焰萬丈) 염초(焰硝) 홍염(紅焰)
이문 염(閻)자는 의부(義符)로 문 문(門)자에 성부(聲符)로 함정 함(臽)자를 했습니다. 함정 함(臽)자는 구덩이의 모양과 같은 절구 구(臼)자 위에 사람 인(人)자를 해서 사람이 구덩이에 빠진 모양을 했습니다. 함정이란 사람이 빠지도록 만든 구덩이입니다. 불 댕길 염(焰), 불 댕길 염(燄)자는 함정 함(臽)자가 들어 있어서 ‘염’으로 읽습니다. 염부(閻浮) 염왕(閻王) 염립체(閻立體) 염유문(閻維文) 염라대왕(閻羅大王) 염마(閻魔)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