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2025 V리그 여자부 미디어데이
전력 균형 팀, 챔프전행 가능성 설문 투표서 1위
김연경 건재 흥국셍명 '여전히 우리 목표는 우승'
GS칼텍스 측면, 페퍼저축은행은 높이 강점 복병
도드람 2024~25 V리그 여자부가 19일 수원 실내체육관에서 열리는
현대건설과 흥국생명의 개막전을 시작으로 6개월 장기 레이스에 돌입한다.
오프시즌 동안 주전급 선수 이동이 많았고, 수준급 외국인 선수도 많아 가세했다.
새 사령탑을 체제로 도약을 노리는 팀도 있다.
그 어느 시즌보다 치열한 순위 경쟁이 예상된다.
7개 팀 사령탑들과 대표 선수들은 시즌 개막을 사흘 앞둔 16일 서울 서초구 더케이호텔 서울에서
미디어데이 행사를 통해 각오를 전했다.
'디펜딩 챔피언' 현대건설은 지난 6일 폐막한 한국배구연맹(KOVO)컵에서도 정관장을 껶고 정상에 오르며
V리그 통합 2연패 전망을 벍혔다.
16일 미디어데이에선 각 팀을 대상으로 '육각형 지표(공격.수비.채력.체격.팀워크.전략)'가 가장 균형을 이루는 팀,
챔피언결정전(챔프전) 진출할 것 같은 팀을 사전 설문해 발표했다.
총 14표 중 현대건설이 각각 가장 많은 7표를 얻었다.
현대건설은 리그 정상급 미들블로커 양효진과 이다현으로 '트윈 타워'를 구축했다.
또한 내부 자유계약선수(FA) 정지윤.지난 시즌외국인 선수 모마 바소코와 위파이 시롱 등
주축 공격수들과 모두 재계약하며 측면 화력을 유지했다.
강성형 현대건설 감독은 '7개팀 모두 전력이 좋아졌지만, 우리 선수들이 지난 시즌 정상에 오른 경험을 바탕으로
잘 해나갈 것'이라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동안 '배구 여제' 김연경이 소속된 것만으로 우승 후보로 평가받았던 흥국생명은 이제 도전자 입장이다.
주전 미들블로커였던 이주아가 FA 자격을 얻은 뒤 IBK기업은행으로 이적했고, '맏언니 리베로' 김혜란은 은퇴했다.
2024 KOVO컵에서도 예선 탈락할 만큼 전력이 약해졌다.
하지만 김연경이 건재한 것만으로 흥국생명은 여전히 높은 평가를 받는다.
챔프전 진출 전망 설문에서도 현대건설 다음으로 많은 4표를 받았다.
마르첼로 아본단자 흥국생명 감독은 '여전히 우리 목표는 우승이다.
김연경도, 나도 100%를 다할 것'이라며 출사표를 전했다.
2024년 스토브리그에선 유독 많은 선수가 유니폼을 바꿔입었다.
GS칼텍스 에이스였던 강소휘는 한구도로공사와 계약했고, 구가대표 레프트 이소영도 IBK기업은행으로 이적했다.
두 팀 모두 지난 시즌 에이스급 국내 레프트 부재 때문에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했다.
이번 시즌엔 취약 포지션을 강화했다.
김연경과 함께 '연봉킌(총보수 8억원)'에 오른 강소휘는 '올 시즌 봄 배구 진출을 목표로 뛸 것'이라는 각오를 전했다.
이소영도 '내년 미디어데이에서는 (상위 3팀이 자리하는) 더 높은 단상에 앉아 보고 싶다'라고 말했다.
GS칼텍스는 이영택 감독 체제로 새출발한다.
최근 3시즌 연속 최하위에 그친 페퍼저축은행도 한국 여자배구 레전드미드블로커 장소연 전 SBS스포츠해설위원을
새 사령탑으로 선임했다.
이영택 감독은 '우리가 약체라는 평가를 듣고 있지만, 방심한 상대의 틈을 파고 들겠다,
팀에 변화가 많은 만큼 성장하는 시즌을 만들 것'이라고 했다.
장소안 감독은 '두려워하지 않고 끝까지 덤비는 몽구스라는 동물이 있다.
우리 산수들이 그런 모습을 보여주길 바란다'고 라고 했다.
GS칼텍스는 지난 시즌 득점 1위 지젤 실바가 버티고 있는 측면 공격이 강점이다.
페퍼저축은행은 1m97cm 장신 미들블로커 장위(중국)를 아시아쿼터 선수로 영입, 높이를 끌어올렸다.
두 팀 모두 올 시즌다크호스로 평가받고 있다. 안희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