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6~7세용 책을 하나 하고 있는데
유명한 사람들의 일대기를 요약한 내용이랍니다.
제가 맡은 건 헨리 포드에 관한 건데
내용은 무지무지 쉬워요... 근데
헨리 포드가 공장 노동자들에게 제시한 생활 수칙이 있다는데
1. Do not spit on the floor
2. Use plenty of soap and water
3. Do not buy goods on credit
4. Go to school to learn English(if foreign born)
5. Do not take in lodgers
이렇게 다섯 가지랍니다.
1~4는 알겠는데
마지막 5번이 좀...
뜬금없이 하숙을 치지 말라는 게 무슨 소리죠?
공장을 하숙집처럼 쓰지 말라 머 그런 소릴까요?
예전에 미국 경제 역사에 대한 글을 번역하다가 비슷한 내용을 읽은 적이 있습니다. 당시 경제 상황이 몹시 좋지 않아서 결혼을 해도 부모와 같이 사는 이들이 급증하고 주택 건설은 거의 이뤄지지 않아서 집은 있는데 사정이 좋지 못한 사람들은 하숙을 쳐서 경제적으로 약간의 도움을 받곤 했다고 합니다.
첫댓글 take in lodgers = 하숙인을 두다 (지금 열려있는 네이버 사전에 글케 나왔네요... 뭐 별다른 뜻도 있을라나.... 몰겠네요) 공장 노동자들이 직원이 아닌 다른 사람들을 데려와 같이 지내지 못하게 한다는 뜻 아닐까요?
그런 뜻일까요... 만약 그런 뜻이라면 더더욱 설명하기 힘드네요. 꼬마들한테...^^ 혹시 일은 안 하고 세 받아서 돈 벌 생각 말라 그런 뜻은 아닐까요?
^^그럴지도 모르겠네요. 당시 (경제) 상황이 어떤지 또 포드가 노동자들에게 어떤 생활환경을 제공해 주었는지 몰겠으니.. 뭐라고 더 말하기는 힘들지만.. 주어진 일만 열심히 하면 생활할 수 있는 돈은 충분히 주었던 모양이죠?
당시 다른 공장 노동자와 비교해 두 배의 일당을 지급했다고 하네요. 일 안 하고 돈 벌 생각 말라... 정도가 아닐까 싶네요...
예전에 미국 경제 역사에 대한 글을 번역하다가 비슷한 내용을 읽은 적이 있습니다. 당시 경제 상황이 몹시 좋지 않아서 결혼을 해도 부모와 같이 사는 이들이 급증하고 주택 건설은 거의 이뤄지지 않아서 집은 있는데 사정이 좋지 못한 사람들은 하숙을 쳐서 경제적으로 약간의 도움을 받곤 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하숙을 치면 아무래도 하숙생 신경써줘야지, 눈치보이지, 눈에 안보이는 갈등도 생기지... 여러가지 갈등 요소도 생기고 그리 평안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그냥 "경제적으로 궁핍해도 네 집에서 네 가족들과만 살아라" 정도가 아닐까요? 말이 좀 이상하긴 하지만...
ㅎㅎㅎ 그런 배경이 있었군요. 근데... 그 말을 꼬마들이 알아들을 수 있는 말로 바꿀 자신이 없네요. 그리고 생활 수칙으로 보기에도 어폐가 있는 것 같기도 하구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