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과 01학번 오정태
***************************Weber에 의한 권한의 유형************************
1) 카리스마적 권한
카리스마적 권한은 지도자가 그의 개인적인 특질로 인해 지배하게 될 때 발생한다. 이 때, 지배의 정당성은 피지배자가 자신들의 지도자에게 이를테면, 예언자, 영웅, 혹은 선동가로서 부여하게 되는 신념에 근거하게 된다 이러한 지배양식하에서의 관리기구는 매우 비조직적․비구조적이며, 불안정적이고, 대개 소수와 추종자들이 중개인들의 활동을 통해 운영된다.
적용사례====================================================================
북한의 김정일 정권이 대표적인 사례이다.과거 김일성 정권에도 그랬듯이 북한인민들에게 마치특정한 능력을가진자로 묘사를 하며 사회주의에 대한 신념을 세뇌시키며, 김정일을 둘러싼 소수의 추종자들이 조직을 운영하고있는 카리스마적권한의 사례이다.
2) 전통적인 권한
전통적인 권한은 지배할 수 있는 권력이 전통이나 과거에 대한 존중에 의해 보장될 때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지배에의 정당성은 관습이나 전통적인 관례의 “당연함”에 대한 느낌에 의해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람들은 흔히 군주체제나 그밖의 가족승계체제에서와 같이 세습된 지위에 의해 권력을 보유하게 된다. 이 지배양식하에서의 관리기구는 일반적으로 가부장적 혹은 중세적인 두가지형태를 띤다. 전자의 경우에 관리나 행정가는 대개 하인, 친족, 혹은 가까운 사람들로 구성되는 개인적인 수하인들이며, 그들은 지배자의 의존하고 그의 의해 보수를 받는다. 후자의 경우에는 관리들이 어느 정도 독립성을 보유할 수가 있다. 지배자에 대해 그들의 충성을 맹세한 대가로 그들은 대개 특정한 영역 내에서는 자율성을 인정받으며, 그 보수와 생계를 위해서도 지배자에 대해 직접적으로 의존하지는 않는 것이다.
적용사례====================================================================
현재는 아니지만 과거 우리나라나 혹은 주변국에서 행해졌던 왕위세습정치가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우리나라의경우도 왕의 아들이 "의례적으로" 왕위를 세습함으로써 권력을 물려받았고 또한, 고위관리나 중요관직은 대부분 친족이나 가까운사람이 점유함으로 권력을 유지하였다.이는 권력을 가진자가 어떤 특정한 능력이나 합법적과정을 걸쳐서 얻게된 권력이아닌 전통적 권한이라 할 수있다.
그리고 과거는 물론 현재 우리나라 사회에서도 행해지고있는 가부장적 사회도 전통적권한의 사례라 할 수있다.
3) 합법적-법적 권한
합법적-법적 지배양식하에서 권력은 법률이나 규칙, 규제, 그리고 절차 등에 의해서 정당화되어진다. 따라서 지배자는 지배자의 선출방식을 규명해 놓은 법적인 절차들은 준수함에 의해서만 정당한 권력을 획득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바로 그 규칙에 의해 권력이 공식적으로 제한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 지배양식의 전형적인 관리기구는 관료제이며, 이 구조 속에서 공식권한은 조직위계의 상층부에 집중하게 된다. 중세적인 관리기구와는 대조적으로, 관료제하에서는 관리수단이 관료들에게 속해 있지 않다. 즉 그들의 지위는 세습되거나 매매되어질 수 없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적 및 사적 수입과 재산, 생활에는 엄격한 구분이 존재한다.
막스 베버는 이러한 권한에 기초를 둔 관료제 모형이 근대사회의 대규모 조직을 설명하는 데 가장 적합한 것이라고 하였다.
적용사례====================================================================
합법적 권한의 적용사례는 우리주변의 합법적인 어떠한 절차를 거쳐 얻게된 권한이라면 모두해당 되는데,우리나라의 "대통령"이나 "국회의원"이 대표적인예 이겠다.대통령이나 국회의원은 우리나라국민들의 "투표" 라는 합법적 절차를 거쳐 얻게된 권한으로 세습이나 매매가 불가능하다.
정인서 교수님 수고하십니다^^ 제가 쓴내용이 너무 주관적인것 같아서 맞는 내용인지잘모르겠습니다.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