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뱃살빼기에 좋은 보리, 뼈 건강에도 도움
코메디닷컴 |김 용 | 입력 2014.12.28 13:29
통곡물(whole grain)은 밀, 보리, 귀리 따위를 도정하지 않고 겉껍질만 벗긴 상태의 곡물을 말한다. 세계 각국의 식품 전문가들이 다이어트 음식으로 꼭 추천하는 식품이 통곡물이다.
미국의 건강포털 웹 엠디는 운동과 함께 통곡물을 먹으면 뱃살을 빼는데 최고의 음식이 될 수 있다고 소개했다. 미국 임상영양학저널에 따르면 정제되고 가공한 곡물보다는 통곡물이 열량을 조절하고 허리둘레를 관리하는데 효과가 좋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특히 통보리는 다이어트에 좋은 베타글루칸 함량이 높다. 수용성 식이섬유소인 베타글루칸은 몸 안에서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흡수를 막아주고 배설을 촉진시켜준다. 보리를 자주 먹으면 건강에 나쁜 혈중 콜레스테롤의 수치가 떨어지고 지방이 덜 쌓이는 이유다. 혈중 콜레스테롤이 저하되면 자연스럽게 심장질환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다. 베타클루칸은 도정한 보리쌀에도 거의 소실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있는 특성이 있다.
보리는 식이섬유소가 풍부하다. 100g당 2.9g으로 쌀에 비해 3배나 많다. 식이섬유소는 열량이 없고 대장의 운동을 원활하게 해준다. 변이 내장을 통과하는 시간을 짧게 해 변비 예방과 장 건강에 좋다.
보리의 새싹도 영양소의 보고다. 보리 새싹에는 나트륨의 배설을 증가시켜 혈압을 떨어뜨리는 칼륨이 우유의 55배, 시금치의 18배 정도 들어 있다. 뼈 건강에 좋은 칼슘 함량도 우유의 11배가 넘는다. 철분도 시금치의 5배 가까이 들어 있다. 비타민 C의 경우 보리 새싹 100g에 338.8mg이나 함유돼 있다. 이는 시금치의 3배, 사과의 60배에 해당한다.
뱃살을 빼려면 음식도 중요하지만 꾸준한 운동이 중요하다. 통보리나 보리 새싹은 다이어트에 최적인 음식일 뿐이다. 여기에 술이나 트랜스지방 음식, 패스트푸드, 청량음료를 자제하면 금상첨화다.
------------------------------------------------------------------------------
보리(barley)
1. 개요
벼과(―科 Poaceae/Gramineae) 보리속(―屬 Hordeum)에 속하는 곡류로서 학명 Hordeum vulgare L. 이다. 월년생 초본으로서 식량작물로는 가장 오래된 작물 중의 하나로 서기전 7,000년 전에 야생종이 재배되었으며 세계의 다양한 기후 조건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
보리는 한자로 대맥(大麥), 모맥(麰麥), 굉맥(麥+廣 麥), 준실(樽實)이라고 하며 보리속은 4개의 아속(亞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재배되는 보리는 모두 보리아속(Cerealia)에 속한다. 이 아속에는 3종이 속하는데, 그중 보리( Hordeum vulgare)는 씨알이 6줄로 배열하는 여섯줄보리(6조종. 六條種)로 이삭축에 V자 모양으로 이삭이 달리며 각 마디에는 작은 이삭이 3개씩 붙어 있고, 작은 이삭에는 씨알이 되는 작은 꽃이 달린다. 두줄보리(2조종. 二條種. H. distichum)는 씨알이 2줄로 배열되는 보리로 이삭의 중앙에 있는 작은 꽃이 씨알이 되고 주위에 있는 곁꽃은 불임성이다. 6조종(六條種)과 2조종(二條種)은 유전자의 차이(2조 VV, 6조 vv)이기 때문에 동일한 조상으로부터 분화발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부제보리( H. irregulare)는 가장 적게 재배되는 보리로, 중앙에 있는 작은 꽃은 생식능력이 있고 주위의 곁꽃은 생식능력이 있거나 없다.
또한 자방벽에서 분비되는 점액 물질의 유무에 따라 껍질이 분리되지 않는 껍질보리(covered barley, 皮麥)와 껍질이 분리되는 쌀보리(naked barley, 稞麥, 裸麥)로 구분할 수 있으나 과성(稞性)도 과성열성유전자(nn)에 의해서 결정 되므로 분화발전하는 과정에서 껍질보리로부터 유래한 변종으로 알려져 있다.
보리의 발생지는 중동지방에 집중되어 있는데, 껍질보리의 야생종은 터키·이스라엘·이란·시리아·이라크·에티오피아에서, 쌀보리는 인도 북부, 네팔, 중국 남부지역에서 그 분화발달과정을 볼 수 있다.
6줄보리는 아프리카 서북부지역과 티베트의 타오프, 라사 지역이, 두줄보리는 홍해의 동쪽, 코카서스지역 그리고 카스피해 지역이 원산지이다.
보리의 키는 품종에 따라 50∼100㎝ 정도이며 줄기는 마디 사이의 절간 속은 비어 있고 상부로 갈수록 길어지며 이삭 밑의 제1절간이 가장 길며 가늘다. 잎은 어긋나며 피침형으로 길이는 5∼20㎝, 꽃은 10∼15㎜가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4월 말에서 5월 상순에 꽃이 피고, 그 후 30∼40일이면 성숙하는데 과실은 영과(穎果)이다.
보리는 춘·추파성(봄·가을에 씨를 뿌리는 정도) 및 내한성의 정도에 따라서 겨울보리와 봄보리로 구분되는데, 우리 나라는 겨울보리가 대부분이지만 맥종별로 안전 재배한계선을 고려하여 지역에 맞는 품종 중에서 내한성과 성숙기를 감안하여 재배하는 것이 중요하다.
겉보리의 안전 재배한계선은 밭에서 재배할 경우 1월 최저기온 평균 -9℃ 이남지역과 논 재배시에는 -6.5℃ 이남지역이 가능하고, 쌀보리의 경우 -5℃ 이남지역에서 표고가 250m 이상 중산간지 지역을 제외한 밭에서 재배가 가능하고, 맥주보리는 -3℃ 이하 이남지역이 안전 재배한계선이다.
보리는 춘파성 정도에 따라서 1∼7등급으로 품종을 분류하는데, 1·2는 고도의 춘파성 품종으로 극남부 및 제주도를 포함한 도서지역에서 재배되는 맥주보리가 이에 속한다. 기타 장려품종은 3∼5등급으로 분류되며 재래종·재래백·재래육각·영월육각 등 재래종들은 5∼7등급에 속하기도 한다.
대체로 춘파성이 높은 품종들은 남부에서 재배되는데 내한성은 약한 편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1906년 이후부터 도입육종과 순계분리육종이 시작되었다. 교배육종은 1921년부터 시작되어 1932년 최초로 수원4호·수원6호 등이 육성 보급되었다.
가을 겉보리는 육종 목표가 조숙·내한·다수성 이어서 이러한 목표에 맞추어 선발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식미향상을 위하여 찰쌀보리의 육성에 힘쓰고 있다.
현재까지 육성된 주요 겉보리 품종 중에서 내한성 정도는 새강보리·서둔찰보리·탑골보리·새올보리·찰보리·올보리·알보리·큰알보리·새알보리·오월보리 순이다. 성숙기에 있어서는 오월보리·알보리·서둔찰보리·새올보리·올보리·밀양겉보리·찰보리의 순으로 빠르다.
최근 들어 육성된 찰성 겉보리로는 찰보리와 서둔찰보리가 있으며, 다수성 품종으로는 올보리·강보리·탑골보리·새올보리·알찬보리 등이 있다.
가을 쌀보리로는 과거에 백동·청맥·죽하와 방주 등 일본에서 도입된 품종과 재래종 중에서 선발된 논산과1∼6, 교배육종으로 육성된 광성·무안보리 등이 주로 재배되었지만, 최근의 육종 성과로 많은 품종이 육성되었다.
1980년대 이후부터 최근까지 육성된 주요 품종으로는 늘쌀보리·새쌀보리·무등쌀보리·긴쌀보리·진광보리·흰쌀보리·올쌀보리 등이 있다. 주요 장려 쌀보리 품종의 내한성 정도는 찰쌀보리·내한쌀보리·늘쌀보리·긴쌀보리·두원찹쌀보리 순이다.
조숙 정도는 올쌀보리·춘추쌀보리·새찰쌀보리·늘쌀보리·찰쌀보리 순이며, 최근에 육성된 찰쌀보리 품종으로는 찰쌀보리·흰찰쌀보리·새찰쌀보리·두원찹쌀보리가 있다.
맥주보리 품종은 1966년까지 도입 품종인 황금보리가 주로 제주도 및 경상남도 해안지대에서 재배되어 왔으며, 1966년에 일본에서 사스키2조를 도입하여 시험한 뒤 1973년에 향맥으로 명명하여 보급하였다.
교배육종은 두산농산주식회사가 경상남도 사천에 맥주보리 육종장을 설치하면서 본격화되었고 이곳에서 사천2호·사천6호·두산8호·두산12호가 육성되었다.
1980년대 후반 이후 최근까지 육성된 주요 품종으로는 두산 29호·삼도보리·제주보리·진양보리·남향보리 등이 있으며, 성숙기의 빠르기는 제주보리·사천6호·진광보리·진양보리·두산29호·남향보리·두산8호·삼도보리 순이다.
보리가 생육하는 온도는 최저 3∼4.5℃, 최적 20℃, 최고 28∼30℃이며, 서서히 온도가 하강할 경우 내한성 품종들은 영하 17℃의 추위에도 견딘다.
토양은 유기질이 풍부한 양토나 식양토가 좋고 토양산도는 pH 7∼7.8 정도, 토양수분은 최대 용수량의 60∼70%가 적당하다.
파종은 중부지방의 경우 10월 상순, 남부지방은 10월 하순경이며 파종량은 10a당 9∼13㎏이나 재배양식에 따라서 다소 가감된다. 파종량은 중부·남부지방을 기준하여 휴폭(畦幅) 대 파폭(播幅)이 60×30㎝인 광파재배에는 10a당 10㎏ 정도, 40×80㎝인 협파재배에는 11㎏ 정도, 30×5㎝인 휴립드릴파 재배는 10㎏ 정도가 알맞다.
벼 뒷그루로 논에서 부정지파(不整地播)나 휴립광산파(畦立廣散播)를 할 경우는 파상이 고르지 못하여 발아율이 낮을 경우가 많으므로 파상의 상태에 따라 10a당 12∼14㎏ 내에서 조정하여 파종하도록 한다. 시비량은 기후·토양의 비료분 잔존량, 품종의 내비성 등에 따라 다르나 10a당 퇴비 1,000㎏, 질소 10㎏, 인산 6㎏, 칼리 6㎏ 정도를 주면 된다.
토양의 산도가 높을 경우에는 석회를 주어서 토양을 중화하고 붕사를 0.5∼1㎏ 정도 함께 사용하여 임실을 좋게 한다. 추비 시용(試用) 후에는 중경제초를 하고 도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흙넣기를 실시한다.
맥주보리는 종자의 단백질 함량이 8∼11% 정도이고 곡피비율도 낮아야 좋은 품질의 맥주를 생산할 수 있으므로 질소비료의 시용에 특히 조심해야 한다.
보통 토양 내의 비료 잔존량이 문제가 되나, 대체로 보아 질소 8㎏, 인산 12㎏, 칼리 8㎏이 적당하다. 대부분 논에서 벼의 후작으로, 밭에서 여름작물인 콩·옥수수·수수·고구마 등의 후작으로 재배되기 때문에, 무상기간이 긴 중남부지역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으며, 충청남도 이북지역에서는 이모작의 재배가 곤란할 경우가 많다.
2. 내력
선사시대에 에티오피아 고지대와 남동 아시아에서 재배가 시작되어 BC 5000년에 이집트로, BC 3500년에 메소포타미아로, BC 3000년에 유럽 북서부로, BC 2000년에 중국으로 퍼져나간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에서 보리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삼국유사(三國遺事)에 고구려의 시조 주몽(朱蒙)이 부여의 박해를 받아 남쪽으로 내려올 때 부여에 남은 그의 생모 유화(柳花)가 비둘기 목에 보리씨를 기탁하여 보냈다는 기록으로 보아 우리 나라는 중국에서 서기전 1세기경에 전래된 것으로 보인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고구려 산상왕 25년(221)과 신라 지마왕 3년(114), 내해왕 27년(222)에 우박이 내려 콩과 보리의 피해가 많았다는 기록이 보이고 있다. 삼국시대에 신라나 고구려에 보리가 보급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경기도 여주군 점동면 흔암리에서는 BC 5~6세기 것으로 추정되는 겉보리가 발견되었다.
이때의 재배방법은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춘삼월 우박 맥묘상 하사월 대수(春三月雨雹麥苗傷夏四月大水)”라는 기록이 있고 “추칠월 퇴상살숙(秋七月 隤霜殺菽)”이란 기록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가을에 보리를 파종하여 다음해 여름에 수확하고 다시 콩을 파종하여 가을에 수확하는 1년 2작의 발전된 방법을 취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16세기 동안 보리는 히브리·그리스·로마·유럽의 많은 지역에서 빵을 만드는 주재료였다.
3. 재배 적지
보리는 다른 곡류보다 다양한 기후에 적응할 수 있는데 각기 온대·아북극·아열대 지방에 알맞은 변종들도 있다. 보통 적어도 90일간의 생육기간을 필요로 하지만 때로는 더 짧은 기간에 생장해 성숙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히말라야의 경사지에서는 수확량이 다른 곳에 비해 적기는 하나 그보다 더 짧은 기간에 재배할 수도 있다. 보리는 다른 작은 곡류보다 건조한 열에 더 강해서 북아프리카의 사막 근처에서도 잘 자라는데, 여기서는 주로 가을에 씨를 뿌린다. 봄에 씨를 뿌리는 종류는 특히 유럽 서부나 북아메리카 같이 차고 습기가 많은 곳에 적당하다.
4. 재배 상황과 용도
1970년대말 보리의 1년수확량은 전세계적으로 9,955만 6,200㏊에서 약 1억 8,000만t이었다. 보리는 우리의 주곡으로 예전에는 중요한 식량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그 생산량이 감소하여 쌀보다 드문 곡식이 되었고 건강을 위하여 특별히 먹는 밥이 되었다. 수확량의 반 정도는 가축의 먹이로 쓰고 나머지는 사람이 먹거나 엿기름을 만든다. 대부분의 맥주는 맥아로 만드는데, 이 맥아는 전세계 생산량의 10% 이상이 맥주를 만드는 데 쓰이며 그외에 증류한 음료를 만들기도 한다. 이 밖에 싹이 튼 맥아는 엿기름이라 하여 곡물을 당화시키는 재료로 이용된다. 이 맥아는 강장제 및 각기병의 치료제로 이용되기도 한다. 보리는 견과(堅果)와 비슷한 맛이 나고 탄수화물이 많이 들어 있으며, 단백질·칼슘·인은 중간 정도, 특히 보리에는 비타민 B1과 비타민 B2의 함량이 쌀보다 많아 각기병 등을 예방하는데 좋다. 또한 β-glucan이라는 식이섬유가 매우 풍부하여 당뇨병 환자나 과체중인 사람들의 건강식으로 매우 좋다. 비타민 B는 소량 들어 있다. 끈기가 있는 단백질인 글루텐이 거의 없어 구멍이 많이 뚫린 빵을 만드는 가루로는 쓰이지 않고, 주로 북아프리카와 아시아 일부 지역의 주된 식량인 발효시키지 않은 플랫빵과 포리지를 만드는 데 쓰인다. 정백(精白)보리는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종류로, 바깥 껍질과 겨층을 찧어서 없앤 순수한 낱알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프로 만든다. 보리는 짚이 부드러워 주로 가축의 깔깃과 거친 사료로 쓴다. 한국을 비롯한 동양에서는 주로 식량으로 쓰며 그밖에 소주·맥주·된장·고추장을 만들고 있다. 또한 엿기름으로 감주를 만들어 먹고, 보리를 볶아서 보리차로 이용한다.
------------------------------------------------------------------------------
love handle 아랫배의 군살
spare tire 허리둘레의 군살
potbelly 올챙이배, 배불뚝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