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돌모임 여름여행
태안반도 일대(2014.8.22.~24)
셋째 날(8.24.SUN)
간월암~개심사~해미읍성

2박3일의 여정(旅程) 중
마지막 날 이른 아침~
마을 근처 해안가를 찾았다.
(05:40)
동백이가 주동이 되어
파랑새 엉아 부부~
선홍 할머니도 함께하신
가벼운 산책길이다.

샛노란 달맞이꽃~
얼마나 기다리다 꽃이 됐나
달 밝은 밤이 오면 홀로 피어
쓸쓸히 쓸쓸히 미소를 띠는
그 이름 달맞이꽃
아~아~아~서산에 달님도 기울어
새파란 달빛아래 고개 숙인
네 모습 애처롭구나~
♩♬♪
애절함의 상징인 달맞이꽃
노래가 흥얼흥얼~
절로 나온다. ♩♬♪


역시~ 산책보다는
바닷고동을 잡는 삼매경에 빠진
동백이와 형수님들~
만보는
이리저리 돌아다니며
풍경을 담는 재미가 쏠쏠하다.


바다 안개가 흐르는 이른 아침~
황금빛 태양이
서서히 그 모습을 드러내며
바다와 몸을 맞대기 시작한다.
잔잔하던 물결도 황금빛에
물들어 일렁이며
자연이 그려내는 거대한
화폭이 되고 있다.

바닷고동 잡기 -끝-(1시간 30분 소요)

만대회수산에서 가족이 함께 먹을
꽃게를 구입하고~ 오늘의 첫 여정지인
간월도~ 간월암으로 향한다.


아침~해우리횟집~영양굴밥



왼쪽에 보이는▲간월암~



간월암
서산 간월도리에 있는
작은 섬에 자리 잡고 있으며
조선 태조 이성계의 왕사였던
무학대사가 창건한 암자이다.
무학이 이곳에서 달을 보고
깨달음을 얻었다고 해서
간월암이라는 이름이
유래하였다.

역시~ 분주한 동백이~
간월암을 대충 휙~ 둘러보고
고동 줍기에 여념이 없다.
개심사▼가는 길~

와우~
푸른 언덕에 방목 소떼들이 장관이다.
정치인 김종필씨가 1960년 대 후반
자신의 고향인 서산시 운산면 일대에
조성한 초지로 규모만 440만㎡.
현재 농협중앙회가 관리 운영하고
있다고 한다.
그 끝 지점에 자리한▼개심사~

본사인 수덕사의 말사로 개심사는
뜻 그대로 '마음을 여는 절'이다.

대웅보존▲(보물 143호)
대웅전은 석가모니 불을 모셔놓은
건물을 말한다.




개심사 탐방 -끝-
이제는 이번 2박3일의 여행에서
'유종의 미'를 거둘 마지막 여정지인
해미읍성으로 향한다.

해미읍성▼국가사적 제116호


해미읍성▲객사
위패를 모시고 국왕에 대한
예를 올렸으며 상부에서 파견된
관원 및 귀빈들의 숙소로도
사용했던 곳이다.

동 헌
병마절도사를 비롯한 현감겸영장의
집무실로서 관할지역의 일반 행정업무와
재판 등이 행해지던 건물이다.




청허정(淸虛亭)
청허라는 뜻은 '잡된 생각이 없어
마음이 맑고 깨끗하다'는 뜻이다.
청허정은 해미읍성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해
이곳에 올라서면
천수만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과거 시회를 하거나 문인들이 시를
읊었던 곳이다.






조선시대 민가로
말단관리인 서리의 집~
부엌1칸~방2칸으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서산지역의
3칸 초가집이다.

옥 사
해미읍성은
천주교와 깊은 연관이 있는 곳으로
교도들을 투옥하고 문초하였던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터만 남아 있던 옥사를 발굴 작업 뒤
복원~ 재현하였다.

회화나무(300년 이상으로 추정)
1790~1880년대에 이곳 옥사에
수감된 천주교 신자들을 끌어내어
이 나무의 동쪽으로 뻗어있던
가지에 철사줄로 머리채를 매달아
고문하였으며
철사줄이 박혀있던 흔적이
현재까지도 희미하게 남아 있다.



해미읍성은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선조 12년(1579) 군관으로
잠시 근무했던 곳이기도 하다.
여기까지
흰돌모임 태안반도 일대
여름여행(2박3일)
-끝-
카페 게시글
│…………국내★여행│
태안반도(간월암~개심사~해미읍성)
만보
추천 1
조회 192
14.09.10 19:58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