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리스 포인트를 잡는 법
상체동작을 하체 여러 종류의 투구폼의 동작이 안정을 해주는가
스리쿼터, 오버핸드 극단적 오버핸드 간에 팔꿈치 올리는 것에 주의하고
디딤발앞에서 던진다는 느낌으로 던진다면 어느 정도 제구가 될 것이다
허리허전각도, 상체의 정면을 바라봐야 하는 내용 상체가 뒤로 더회전해야한다는 기타 여러 내용은 투구 폼의 과정이라 생각하면 된다. 투구 폼의 정석은 없다
하체의 안정이 좋아야 한다. 하체사용법도 많다 여러 가지로 여러 상체투구폼과 여러 하체의 투구 폼을 바꾸어 보면서 이렇게 던지면 공이 어떻게 되드라를 알고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야 하는 것이다
핵심 어느 투구폼이던간에 디딤발앞에서 던진다는 느낌으로 던진다.
투수 오버핸드스로와, 스리쿼터투구동작에서의 스트라이드 길이와 상체 기울 림(파워포지션에서스틱포지션 및 릴리스 포인트에 대하여
1.오버핸드스로와 스리쿼터는 스트라이드의 길이에 따라 파워포지션에서 스틱포지션 및 릴리스 포인트에서의 왼쪽어께의 기울 림에서 제구의 차이가 있다
2.파워포지션에서 스틱포지션 및 릴리스 포인트의 투구폼 과정에서 어께의 기울림없이 제구를 하면 팔꿈치가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투구폼에 어께의 기울림없이 투구가 가능하다)
.
5.스리쿼터의 릴리스 포인트는 흔히들 눈앞에서 던져주라고 삼호미디어파워 야구 교본에 나와 있습니다. 내용 중 팔꿈치가 어께 밑으로 떨어져서는 안 된다고 나와 있습니다.
스리쿼터는 스트라이드가 오버핸드처럼 너무 길면 상체의 불안정으로 팔꿈치가 떨어져 제구가 잘 안 됩니다 즉 전 진력이 상체가 따라가 주어야 하는데 상체의 투구 폼이 (파워포지션에서 스틱포지션 및 릴리스 포인트 동작중) 상체의 하체는 동작이 끝나지 않았는데(블라인드)상체는 투구동작을 끝나는 러프가 발생해서 상체가 안정이 안 되어 상체가 앞으로 무너져 버리는 것입니다 이로 인해 팔꿈치가 떨어지고 상체가 숙여지는 증상이 발생합니다.
6.오버핸드스로와, 스리쿼터투구동작을 해보면 스리쿼터가 릴리스 포인트시 상체의 전 진력과 허리의 허전 량이 오버핸드와 비교해서 오버핸드는 정면을 바라보는 느낌이 더 들며 스리쿼터는 눈앞에서 릴리스 포인트가 되기 때문에 왼쪽어께가 뒤로 더 돌아갔다는 느낌을 받을 것이다
눈앞에서 릴리스포인트를 하였는데 공이 왼쪽으로 빠진다면
팔꿈치가 떨어져서 나타나는 증상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눈앞보단 오른 어께의 끝부분을 릴리스포인트 위치를 잡고 던지면 제구가 어느 정도 안정이 된다
즉 어께의 기울기 각도에 의해 릴리스포인트 위치도 달라질 수 있다
이와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게시글 내용에서 확인하세요
스리쿼터는 오버핸드보다 조금 더 눈앞에서 던지기 때문에 상체의 전 진력과 어께의 오버핸드보다 더 돌아갔다는 느낌으로 타자에 더 가까이 오버핸드보다 릴리스 포인트를 했다는 느낌이 될 것이다
중요-
눈앞에서 릴리스포인트를 하였는데 공이 왼쪽으로 빠진다면
팔꿈치가 떨어져서 나타나는 증상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눈앞보단 오른 어께의 끝부분을 릴릴스포인트 위치를 잡고 던지면 제구가 어느 정도 안정이 된다
즉 어께의 기울기 각도에 의해 릴리스포인트 위치도 달라질 수 있다
이와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게시글 내용에서 확인하세요
스리쿼터 오버 핸드와 같이 팔꿈치가 왼 어께의 기울 림에 의해 올라간다는 과정에서 릴리스 포인트를 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 떨어지는 느낌으로 한다면 상체가 무너지고 있다는 증상으로 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