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www.aramegil.kr/index.php?MenuID=10&PHPSESSID=e5dd55e441affa7f5d076a476da6798d
유적지 위에 마우스를 올려놓으면 사진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유기방가옥
여미리석불입상
선정묘
전라산 입구
용현계곡 입구
강댕이미륵불
서산마애삼존불상
보원사지
개심사
해미읍성입구
도지정 민속자료 제23호
충남 서산시 운산면 여미리 203
서산지역 전통 양반가옥으로서 야산을 뒤로하고 ‘U'자형으로 토담을 두른 후 동측에 사랑채공간과 서측에 안채공간을 토담으로 구분하였다.
안채는 ‘ㅡ’자형으로 부엌, 방, 대청마루, 건넛방으로 구성되어 있고, 뒷마당에는 석축위로 장독대를 설치하여 장독마다 박석을 깔아 놓은 것이 이채롭다.
안채 앞으로 원래 중문채가 있었다. 하나 후대(1980년대)에 헐어내고 현재의 목조주택을 건축하였다.
행랑채는 안채 좌측에 위취하여 있고 중앙칸에 협문을 달아 외부로 드나들 수 있도록 하였으며 굴뚝이 뒤로 흐르는 배수로 위를 지나도록 설치한 기법이 눈여겨 볼만하다.
사랑채는 ‘ㄴ’ 자형으로 들문을 설치하여 필요시 사랑방에서 마루까지 한 공간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하였고, 사랑채 앞에는 ‘ㄱ’ 자형 사랑채대문이 자리하고 있어 전체적으로 마당을 중심으로 ‘ㅁ’ 자형으로 배치되었다.
전체적으로 전형적인 전통양반가옥의 배치를 따르고 있으며 보존상태가 양호하여 조선후기 주택사의 학술적 가치가 높은 건물이다.
조선조 제2대왕인 정종대왕의 제4왕자인 선정군의 후손인 이창주(1567~1648)가 이곳에 입향하면서 여러대 세거해 왔고 이정방, 이진백, 이택 등 훌륭한 인물들이 배출된 연고로 조선조 말경 당초 경기도 파주지역에 있었던 선성군사당을 여미리168번지에 이건 위패를 모시었는데 매년 춘기에는 전국에 있는 후손들이 모여 제향한다고 한다.
충청남도 지정 유형문화재 제132호이다. 높이 3.2m, 폭 0.76m의 크기의 고려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미륵이며 그 모습이 너무 아름다워 1998년에 편찬된 서산시지에서는 서산시의 자랑으로 수록되었다. 이 미륵은 1970년대 역천이 범람했을 때 전라산 주변 하천에서 발견된 것을 전 마을주민이 이곳으로 옮겨 세웠다고 한다.
도지정 민속자료 제22호
야산을 배정으로 ‘U’형으로 토담을 두른 후 동측에 안채동간과 서측에 사랑채 공간을 막들담장으로 구분하였다. 1925년 소유주의 선친 유상묵(구한말 종5품)이 명당이라 전해지는 현재 위치에 서울의 운현궁을 본떠서 건축하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고풍리에서 용현2리 강당계곡으로 들어가는 입구 마을에 미륵불이 있다. 이곳에 있는 미륵불은 원래 고풍리에 있었는데 1973년 고풍저수지가 축조되어 수몰되게 되자 이곳으로 옮겨 온 것이다.
중앙에 본존인 석가여래입상, 좌측에 제화갈라보살입상, 우측에 미륵반가사유상을 배치한 마애여래삼존상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마애불 중 가장 뛰어난 백제후기의 작품으로 백제인의 온화하면서도 낭만적인 기질을 엿볼 수 있습니다. 빛이 비치는 방향에 따라 웃는 모습이 각기 달라져 빛과의 조화에 의하여 진가를 보이도록 한 백제인의 슬기가 놀랍습니다.
백제계의 양식기반 위에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초기의 석탑양식을 고루 갖춘 5층 석탑과 통돌을 장방형으로 만든 석조, 고려시대에 법인국사의 제자들이 그의 사리를 안치하기 위하여 만든 보승탑, 법인국사의 생애가 기록된 보승탑비 및 큰 불교행사가 있을 때 불기나 행사기를 다는 당간을 세우기 위해 만든 화강석의 당간지주를 볼 수 있습니다.
사적 제116호
태종18년(1418)부터 세종2년(1420)에 축조된 평지에 쌓은 석성으로 조선시대 읍성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성곽길이 1800m, 성곽높이 5m, 면적 20만㎡의 규모로 조성되었습니다.
업체명 | 연락처 | 위치 | 업체명 | 연락처 | 위치 |
---|---|---|---|---|---|
자연농산식당 | 041-688-9999 | 운산면 | 돌밥집 | 041-663-4654 | 운산면 |
효정가든 | 041-663-4547 | 운산면 | 운산가든 | 041-669-6060 | 운산면 |
읍성뚝배기부대보쌈 | 041-688-0020 | 해미면 | 황우숯불갈비 | 041-688-0599 | 해미면 |
(주)백광소재 서산(하)휴게소 | 041-688-8814 | 해미면 | (주)백광소재 서산(상)휴게소 | 041-688-8815 | 해미면 |
업체명 | 전화번호 | 위치(소재지) |
---|---|---|
백제의미소 | 041-663-0890 | 서산시 운산면 고풍리 164-2 |
거북장여관 | 041-688-2149 | 서산시 해미면 읍내리 247 |
테마모텔 | 041-668-1801 | 서산시 해미면 읍내리 312-3 |
첼로모텔 | 041-688-8889 | 서산시 해미면 읍내리 249 |
미르장 | 041-688-1819 | 서산시 해미면 읍내리 126-2 |
자연산장민박 | 041-688-2272 | 서산시 해미면 산수리 50-1 |
고향민박 | 041-664-3529 |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65 |
국립용현자연휴양림 | 041-664-1971 |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산2-37 |
명보장 | 041-663-4852 | 서산시 운산면 용장리 406-14 |
별장집 민박 | 041-664-8636 |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46 |
산수가든민박 | 041-663-4567 |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7 |
산천초목민박 | 041-663-3550 |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67-1 |
서울민박 | 041-664-6336 |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40-5 |
수림가든민박 | 041-663-3557 |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4-1 |
숲속민박 | 041-662-2121 |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45-2 |
신성동민박 | 041-669-3392 |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61 |
예원가든민박 | 041-669-2353 |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40-1 |
용천골민박 | 041-669-1269 |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39-2 |
운산장 | 041-663-3868 | 서산시 운산면 용장리 442-7 |
원경가든민박 | 041-669-0005 |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3 |
청솔가든민박 | 041-669-6717 |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70 |
푸른산장민박 | 041-664-1715 |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68-2 |
황토민박 | 041-662-0129 |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78 |
황토숯가마(찜질방) | 041-664-8889 | 서산시 운산면 용장리 76 |
구분 | 출발지 | 정보 |
---|---|---|
자가운전(승용차) | 서울, 경기 | 서해안고속도로 목포방면 → 서산IC → 운산방면 → 운산우체국 지나서 좌측 방면 → 운암로 따라 1.05km 진진후 좌측 방면 → 이문안길 따라 756m 전진 → 유기방가옥 |
대전 | 당진상주고속도로 당진방면 → 당진분기점 → 군산,서산 방면 → 서산IC → 운산방면 → 운산우체국 지나서 좌측 방면 → 운암로 따라 1.05km 진진후 좌측 방면 → 이문안길 따라 756m 전진 → 유기방가옥 | |
목포, 군산 | 서해안고속도로 서울방면 → 서산IC → 운산방면 → 운산우체국 지나서 좌측 방면 → 운암로 따라 1.05km 진진후 좌측 방면 → 이문안길 따라 756m 전진 → 유기방가옥 | |
고속(시외)버스 | 서울강남터미널 | 첫차 06:30 (20분 간격), 총 46회 운행 |
대전고속버스터미널 | 첫차 07:00 (40분 간격), 총 24회 운행 | |
인천고속버스터미널 | 첫차 07:00 (40분 간격), 총 24회 운행 | |
군산시외버스터미널 | 첫차 07:20 (1시간 간격), 총7회 운행 |
구분 | 구간/업체 | 연락처/비고 |
---|---|---|
시내버스 | 서산터미널 ~ 운산 | ![]() |
콜택시 | 까치콜택시 | 041-666-1818 |
서산콜택시 | 041-666-1000 | |
해피콜택시 | 041-667-1000 | |
서령콜택시 | 041-666-1177 |
서산대표 재래시장 - 동부시장(서산버스터미널 1분거리)
서산 동부재래시장은 인근점포를 포함해 모두 800여 개의 크고 작은 점포들이 만물상을 연상케 할 정도로 충남 서북 권역에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한다.
ㆍ동부시장 번영회 : 041-665-5478
ㆍ위치 : 충청남도 서산시 동문동 900
타우린 함유가 높은 오징어는 피로회복에도 좋다. 회 뿐만 아니라, 말려서 먹거나 튀김, 젓갈등으로 이용된다. 고단백질식품이기도 한 오징어는 학계에서는 몸의 세포활동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핵산'이 들어있어 노화를 방지하는 약리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 또 오징어먹물은 강력한 항균작용 및 항암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서해안지방의 대표적인 특산물인 꽃개는 찜, 탕, 게장 등으로 조리하며, 게장은 6월에 알이 찬 암게로 담근 것을 최고로 친다. 껍데기에는 아스타산틴(astaxanthin)이라는 물질이 있어 단백질과 결합하여 다양한 색을 내는데, 가열하면 결합이 끊어져 본래의 색인 붉은색을 나타내기 때문에 삶으면 껍질이 붉은색을 띠게 된다.
서해안 서산지방의 굴은 자연산 굴로써 정조실록에도 맛과 영양가가 뛰어나 궁중에 진상되었다고 평가한 기록이 있다. 또한 서산 토종 굴에 소금을 삭혀 고춧가루를 버무려 담근 서산지방의 전통 음식인 어리굴젓은 맛이 독특하고 영양분이 풍부한 자연식품로 손꼽힌다.
서산육쪽마늘은 한지형으로 고유의 재래종이며 - 매운맛이 강하고 향이좋으며 육질이 견고하고 저장성이 강하다 또한, 항암효과가 탁월해 국내에서 가장 권위 있는 한국식품개발연구원의 마늘 성분 비교 분석결과 위암 등 암세포를 죽이는 치사율이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맛과 향이 독특하며 매운맛이 적고, 수막염이나 식중독을 일으키는 유해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하는 알리신(allicin) 함량이 풍부하다.
서산생강은 발이 적고 육질이 단단하며, 저장성이 강하고, 고유의 매운 맛과 향기가 강하여 향신 식품으로 으뜸이다. 전국 총생산량의 33%를 차지하는 명실공히 전국 최대 생강 주산단지인 서산 생강은 타 지역에서 생산되는 생강보다 발이 굵고 육질이 연하여 새콤한 감칠 맛이 있다.
서산생강한과는 서산대표건강특산물로써, 하나하나 손으로 집적 만들어 어머님의 손맛과 정성이 깃든 식품이다. 전통한과제조기법에 생강을 첨가하여 그 맛이 상큼하고 향이 좋아 부모님의 효도상품 및 어린이의 간식품으로 인기가 높다
인삼은 옛부터 신비의 영약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많은 전설이 함께 내려 오고 있다. 특히 서산 인삼은 대부분 4년 근 이상 된 5~6년 근을 시장에 출하하기 때문에 상품가치가 높고 효능이 좋아 금산 등 국내 인삼시장에서 서산인삼 품질의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뜸부기는 농약과 비료사용으로 오염된 논에서는 살 수 없는 환경 친화적인 여름철새입니다. 따라서 “뜸부기와 함께 자란 쌀”은 육묘 단계부터 수확전까지 키토산ㆍ목초액등 친환경농자재를 사용하여 농약과 질소비료 사용량을 대폭 감축시켜 재배된 고품질 친환경 쌀입니다. 또한 유기물이 수천년 동안 퇴적된 청정간척지에서 밥맛좋은 품종만을 엄선하여 농협과 전량 계약재배하고 1등품이상만 수매하여 품종별로 구분 저장한 후 가공된 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