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 분 |
화 재 |
구 조 |
구 급 | |||||
건수 |
사망 |
부상 |
피해액 |
건수 |
인원 |
건수 |
인원 | |
일 계 |
97 |
0 |
3 |
367 |
1,177 |
228 |
4,487 |
4,590 |
누 계 |
24,358 |
151 |
1,017 |
166,047 |
157,252 |
45,103 |
824,913 |
845,779 |
❖가뭄지원: 6개시‧도 12시‧군 152회
1,055톤, 소방력 88명 59대 ➡ 식수(15톤)
❖생활안전: 818건/위해동물 포획281, 벌집제거189, 갇힘사고98, 전기‧가스
안전4, 기타246
❖AI조류독감: 2회/급수량 6톤, 동원인원 2명, 차량 1대, 급수지점 1개소, 소방관서 1개소
❖임야화재:
1건 / 0.165ha 소실, 동원인원 25명, 차량 10대
◇ 화재진압
활동
▲ (주택) 서울 종로구 신영동『단독주택(1/0) 공가』
-
12:50~13:29, 외부에 쌓아 둔 폐지에서 발화, 15㎡ 및 집기류 소실(250만원)
* 인명대피
2명(인근주택)
▲ (학원) 서울 중랑구 상봉동『수학학원(4/1) 2층』
-
13:48~14:05, 강의실에서 발화, 경상 2명(연기흡입), 10㎡ 및 집기류 소실(1백만원)
* 인명구조(2명) : 302호
거주자(여/34세), 306호 거주자(남/52세)
▲ (아파트) 대전 동구 가양동『큰솔아파트(11/2)
3층』
- 14:19~14:38, 책상 주변에서 발화, 33㎡ 및 가재도구 소실(30백만원)
* 인명구조 7명
및 자력대피 70명
▲ (공장) 경북 구미시 봉산리『자동차부품생산(1/0)』
-
15:34~15:58, 기계적요인, 경상 1명(남/29세,인도네시아), 33㎡ 및 집기류 소실(12백만원)
* 주조기1호 작동 중
유압호스 파열로 비산된 유압유가 용광로(650℃)에 착화(추정)
◇ 구조・구급
활동
▲ (교통사고) 경기 의정부시 가능동『울대고개 부근』
- 09:30, 오토바이가
신호대기 중인 트럭(15톤) 추돌, 사상 2명(사망1, 경상1), 응급처치 병원이송
▲ (안전사고) 경기 화성시
천천리『라디에이터생산(1/0)』
- 17:47, 라디에이터 용접작업 중 냉매 폭발, 중상 1명(남/60세), 응급처치
병원이송
■ 해양경비 안전 활동
상황
◇ 활동총괄
구 분 |
외국어선 단속 |
주요
해양사고 |
오염방제 | ||
나포 |
검문 |
차단․퇴거 | |||
일 계 |
0 |
0 |
0 |
2 / 10 |
1 / 확인중 |
누 계 |
209 |
535척 |
3,630척 |
872 / 8,099 |
131 / 247㎘ |
◇
해양사고
▲ (침수선박) 통영, 통영시 손덕항 계류 침수선박 발생
- 06:25,
급수선(35톤) 선미침수, 122구조대 에어밴트 봉쇄(오염없음), 18:05 해상크레인 이용 인양
▲ (해양오염)
통영, 삼천포 항내 해양오염 방제완료
- 07:36, 유막(벙커A) 200m×10m 분포, 함선6척(해경5,관공선1)
동원 및 유흡착제(170kg) 이용 방제
▲ (선박예인) 여수, 소리도 해상 추진기 장애선박
예인
- 08:30, 어선(9.77톤,3명) 추진기 어망감김, 131정 서고지항 예인
▲
(익수자) 제주, 한림항 내 익수자 구조
- 23:00, 한림항 해상으로 뛰어든 익수자(여,48세) 일행이 신고,
한림안전센터 경찰관 출동 구조
▲ (변사자) 부산, 송도 앞 해상 변사자 인양
-
06:26, 남항안전센터 순찰중 변사자(남,34세) 발견ㆍ인양, 형사계 수사중
▲ (미출수) 통영, 갈도 해상
미출수 스쿠버다이버(1명) 구조
- 13:48, 다이버 동호회 활동중 1명(남,45세) 미출수, 일행 신고 ,
18:10 조업선 발견ㆍ구조
▲ (응급환자) 인천ㆍ서귀포ㆍ목포ㆍ여수, 응급환자(5명) 이송
-
05:40, 인천대교 인근 해상 화물선 선원(남,44세,미얀마) 작업중 팔목골절, T07정 이송
- 19:00, 우도 관광객(남,20세)
뇌진탕, 우도출장소장 편승 민자선 이용 이송
- 20:50, 임자도 주민(남편,72세/부인,68세) 두부 함몰ㆍ골절, P35정
이송
- 22:56, 거문도 주민(여,44세) 두통ㆍ고혈압, 517함ㆍP76정 연계 이송
7월 7일 06:00 기준.
자료 : 국민안전처
소방방재신문
원문보기 http://www.fpn119.co.kr/sub_read.html?uid=38928§ion=sc72§ion2=안전관리 일일 상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