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르고뉴(버건디 Burgundy) 와인 이해하기
신의 물방울로 유명해진 프랑스 부르고뉴(Bourgogne = 영어로 버건디 Burgundy)지방의 레드 와인들은 피노누아(Pinot Noir)라는 한가지 포도품종을 가지고 다양한 스타일의 와인을 만들어낸다. 같은 품종을 가지고 한 지역에서 각 마을 별로 달라지는 토양에 따른 와인 스타일이 달라진다는 것이 꽤 의아스러울 수도 있을 것이다. 아마도 이것을 우리의 김치와 비교한다면 같은 김장용 포기 김치라 하더라도 우리 집에서 만든 김치와 옆집에서 만든 김치 내지는 수퍼에서 구매한 김치 맛의 차이가 다른 것과도 비유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평소에 김치를 많이 접하지 않았던 외국인이라면 이러한 섬세한 맛의 차이를 모를 수도 있으리라.
부르고뉴 지방의 와인 세계를 보면 그 품질이나 스타일에 있어서 2가지의 양면성을 보여준다. 즉, 깊고 풍부한 향미의 최고의 와인들이 있는가 하면 가벼우면서도 산미가 강하게 느껴지는 별 매력 없어 보이는 와인들도 있다. 또한, 와인을 전혀 모르는 와인 초보들은 부르고뉴 와인이 가지고 있는 신선한 과실 맛 때문에 좋아할 수 있으며, 만약에 칠레나 호주와인의 묵직한 맛에 푹 빠져 있는 사람이라면 부르고뉴의 와인들이 크게 매력적으로 느껴지지 않을 수도 있다.
부르고뉴 와인 산지는 매우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렵기도 하다. 같은 마을이라 하더라도 포도밭 마다 토양이 달라지기도 하고 생산자에 따라서도 그 품질은 최고와 최악이 공존한다.
즉, A라는 포도밭에서 나온 와인이 아주 좋다고 해서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는 B라는 포도밭의 와인이 좋을 수는 없는 것이다.
부르고뉴 지방은 프랑스 파리의 리옹역에서 디종(Dijon)시까지 TGV를 타고 남쪽으로 약 1시간 30분 정도 걸린다. 길쭉한 타원형으로 형성된 부르고뉴는 디종에서 시작하여 본(Beaune) 지방까지가 자동차로 30분 정도 걸린다. 이것은, 부르고뉴 전체를 자동차로 한 바퀴 돈다면 약 2시간 정도밖에 걸리지 않는데 이곳에는 100개의 AOC 가 있으며 그 속에는 2828개의 도메인(Domaine = 와이너리 Winery)이 있다. 와이너리당 평균적으로 6.2헥타 정도를 소유할 만큼 매우 작은 가족단위의 도메인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17개의 도메인 연합이 있으며 113개의 네고시앙(Negotiant 와인중개상)이 있다.
부르고뉴 와인의 생산규모 (2004-2005년 기준)
전 세계 포도산지 생산 면적: 약 7,923,000 Ha (생산량 = 28,199 Million hl)
프랑스 전체 생산 면적: 약 889,000 Ha (생산량 = 5,470 Million hl)
부르고뉴 전체 생산 면적 : 26,000 Ha (생산량 =약 1.5 Million hl)
*참고 : 1 ha (헥타르 Hectare) = 가로x세로 100 meter 의 면적
부르고뉴는 평균적으로 1ha 면적당 40 hl를 생산한다 (약 5000-6000병 정도)
부르고뉴의 주요 품종
부르고뉴의 주 품종은 화이트로는 샤도네(Chardonnay) 가 있고 레드 품종으로는 피노누아(Pinot Noir) 로 이 지역의 고유 품종이다. 샤도네는 전체 면적의 46% 차지 하며 피노누아는 36% 정도 차지한다. 화이트 와인 더욱 많이 생산된다. 또한 부르고뉴는 단 맛이 있는 와인은 생산되지 않는다. 대부분이 드라이하며 미네랄의 특징들이 잘 나타난다.
부 품종으로는 가메이(Gamay)가 약 10% 정도 마콩 지방에서 생산된다. 기타 알리고떼(Aligote) 가 6% 로 마꼬네 지방을 중심으로 생산된다. 기타 품종들이 약 1% 정도 차지 한다.
부르고뉴의 기후
반 대륙성 (Semi-Continental) 기후를 띠고 있으며 가끔씩 영하 20도 까지 내려가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겨울엔 영하 10도 정도 이며 습기가 많은 편으로 가끔씩 눈이 온다.
봄은 따뜻하고 4-5월에 비가 와서 포도 나무는 충분히 수분을 공급받게 된다.
5월에는 포도나무가 약 8CM 정도 자란다.
여름은 덥고 건조하다. 일반적으로 25-35도 정도. 매우 드물게 이상 기후를 보일 때도 있다.
9월 남쪽 마콩 지역에서부터 시작하여 10월초 북쪽 지역까지 포도수확이 끝나게 된다.
일반적으로 부르고뉴는 160일간 비가 오고 약 2000 시간의 일조량을 가지고 있다.
부르고뉴 와인의 등급 분류
그러나, 부르고뉴는 AOC 와 상관없이 도메인(Domaine 생산자)이 더욱 중요하다.
쉬운 예를 들면, 끌로 부조 Clos Vougeot 라는 마을의 경우 약 50ha 의 면적을 가지고 있는데 83개의 도메인이 있다. 그런데 이 끌로 부조에는 생산자에 따라 최고의 와인일 수도 있고 최악일 수도 있다.
부르고뉴 지방은 매우 작은 마을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골스럽다. 그래서 단순 관광으로 방문하기는 쉽지 않은 경향이 많다. 왜냐면 이 지역의 와이너리들을 관광객을 위한 프로그램이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만약에 방문 계획을 가지고 싶다면 매년 9월에 열리는 오스피스 드 본 Hospices de Beaune 의 자선 경매 행사 가 있으며 11월 3째 주에 열리는 Trois Glorieuses 행사가 있으나 부르고뉴의 네고시앙을 통하는 것도 방법이다.
국내에 소개되고 있는 부르고뉴의 주요 네고시앙들.
Antonin Rodet
Louis Jadot
Bouchard Pere & Fils
Chanson Pere & Fils
Louis Latour
Joseph Drouhin
Domaine J.Faiveley
* 부르고뉴 와인의 공식 홈페이지 : http://www.burgundy-wines.f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