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령도↔중국 영성간 고속페리 항로개설
인천시와 중국 산동성 영성시는 지난 8.11일 백령도 용기포항과 영성시 용안항을 잇는 고속페리항로 개설을 합의하였다. 이번에 새로이 개설되는 항로의 거리는 약 190Km, 운항시간은 초고속페리의 경우 3시간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 된다. 이번 사업의 성공은 송영길 인천시장의 각별한 관심과 지원으로 민선 5기 출범 이후 꾸준히 추진해온 항로개척 사업의 결실이다.
인천시는 이번 항로개설을 위해 그 동안 중국 측과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 해왔다. 특히 이번 사업은 인천광역시 항만·공항·물류 특별보좌관 최정철과 홍사덕 前국회부의장 정무특보였던 김정훈씨가 큰 역할을 해왔으며, 지난 9일에는 최정철 특별보좌관을 단장으로 하는 대표단을 파견하여 최종 합의에 이르게 되었다.
이번에 개설되는 항로는 중국 측과 한국 측의 민간투자를 바탕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본 회담기간 중에 중국 측 민간사업자(영파화항고속선유한회사·대련 빈해해운유한회사)와 한국 측 민간사업자(대아항운주식회사)가 협약을 맺고 해당 사업자간 사업계획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인천시는 해당 사업자로부터 사업계획이 제출되는 대로 국토해양부와의 협의를 거쳐 오는 10월 25일 한국과 중국정부 사이에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개최되는 한·중해운 회담을 통해 최종적으로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항로 개설로 중국 영성과 백령도 간에 고속페리가 취항하게 되면 중국 에서 3시간 내에 백령도에 도착하여 관광과 쇼핑 등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한중간의 인적, 물적 교류의 증진과 더불어 백령도가 황해 해상교통의 중심지로 문화관광지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향후 인천시는 국토해양부 협의와 병행하여 백령도에 국제항로가 개설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하여 테스크포스팀(TF/T)을 구성하고 관련계획을 수립·집행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백령도에 추가적인 중국자본 유치와 함께 영성시와 옹진군 등과의 외사관계 수립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인천시는 백령도를 제2의 제주도로 육성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안에는 비자면제지역․중국인 투자유치 등이 검토되고 있다.

참 고 자 료
□ 인천광역시의 고속페리 추진목적
인천광역시는 2011년 12월에 백령도 용기포신항을 신설하여 대형여객선이 취항할 수 있는 부두를 확보하게 되었으며, 2012년 7월 27일 인천-백령간 대아그룹 산하 ㈜제이에이치페리의 하모니플라워호(총톤수 2,071톤, 전장 71m 전폭 19m,속도 40노트, 정원 564명, 3시간 50분 소요)가 취항하게 되었습니다.
인천광역시는 백령도를 황해의 주요 관광지로 개발하기 위하여 중국과도 고속페리 취항을 검토하게 되었으며, 백령도 용기포항과 가장 가까운 영성시 용안항(3시간 소요 추정)이 적합하다고 판단하였습니다.
< 그림 1> 영성-백령, 인천-백령간 거리

영성시 용안항은 이미 대룡훼리가 평택간 카페리노선을 운항하고 있으며, 대산간에도 고속카페리(5시간소요) 취항을 추진하고 있으므로, 한국과의 국제카페리노선을 운영하고 있는 경험이 있기 때문에 백령과 영성간 초고속페리를 취항을 추진하는데도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 판단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영성시 석도항과 인천간에는 이미 국제카페리항로가 취항하고 있습니다.
< 그림 2> 영성(용안항)-평택 카페리노선, 대산, 백령 고속페리노선 현황

영성 용안항과 백령도 용기포항간에 고속페리가 취항하게 되면, 3시간내에 영성으로부터 백령도에 도착하여 관광과 쇼핑을 즐길 수 있을 것이며, 백령도에서 고속페리를 이용하여 인천으로 이동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인천-백령도 대형고속페리의 취항에 연이어서, 영성-백령간 고속페리가 취항한다면 백령도를 더욱 쾌적한 문화관광지로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 백령도 용기포항 현황


❍ 접안시설
- 카페리 및 화물부두 : 180m
- 여객부두 : 180m(부잔교 1기)
- 관리부두 : 70m
- 수 심 : -6m
❍ 외곽시설
- 동방파제 : 310m + 195m(계획)
- 서방파제 : 70m
❍ 배후부지 현황
- 기매립지 : 39,235㎡
- 계 획 지 : 93,180㎡(2012. 03 ~ 2014. 12)
❍ 여객터미널 현황(준공예정 : 2012. 09. 19)
- 연면적 : 1,664㎡(6,320백만원, 지하1, 지상 2)
❍ 관리주체(국가관리 연안항 : 08. 24 이관)
- 중앙정부 → 인천시(위임) → 옹진군(재위임)
❍ 운행선사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