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현미 국회의원의 손의 형태를 보시기를 바랍니다. 저는 이분을 모릅니다. 그냥 손만 보시기를 바랍니다.
손의 모양은 굉장히 좋은 손에 해당합니다. 손의 살과 두께 그리고 모양이 金形(금형)의 손으로 이런 손을 실무형 손이라고 합니다.
손의 모양과 손가락의 모양이 일반 여성과 조금 다른것을 알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손가락 마디가 하나씩 보시면 살이 '
적당히 올라와 있습니다.
( 일반적인 여성인 분들이 손가락이 가늘거나
살이 많지가 않아서 노골이 되는 경우가 많은데 위분은 露骨( 노골) 이 하나도 없습니다. )
엄지손가락과 둘째 검지와 약지가 다른 사람들보다 긴것을 알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유난히 소지가 ( 새끼 손가락 ) 짧고 밑에 달린것을 알수가 있습니다.
손가락들은 뇌신경계와 연결이 되어있어서 뇌를 어떻게 쓰고 있는가? 에 따라 모습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오늘은 손의 모양이 조금씩 다르다는것만 아시고 눈에 익히시기를 바랍니다....
손중에 제일 좋은 손은 제가 경험을 한바로는 목,화,토,금,수,의 손중에 금형이 가장 좋습니다.
그 이유는? 한번 생각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숙제 입니다. 관상은 스스로 생각을 많이 해야 합니다.
다른 학문처럼 무조건 외우는것이 아니라 말이지요. 왜 김용석 선생은 금형이라고 이야기를 하였을까?
관상학에서의 손은 자미두수에서 身궁을 말하는것이고 얼굴은 명궁에 해당합니다.
명리학에서는 월령이 얼굴이고 時支 가 손이다, 모든 학문은 이렇게 이론이 같고 동일하다는것을 알고 공부를 하셔야 합니다.
바보 철학원 김용석 씀
첫댓글 감사합니다..요즘 매일 손가락 사진 찾아보는게 일이 되었네요,,^^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상학은 눈에 안력이 생겨야 합니다. 그러니 관심이 곧 공부가 됩니다.
합장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금이 결실을 의미하기때문일까요? 거두고 추수하고 결실이 생기는 것이라 그런 것 아닐까 예상해봅니다. 조국선생님 관상글을 읽고 다른 키워드로 검색하다보니 미처 못 읽었던 글들을 하나씩 발견하곤 하는데 정말 보물창고 같아요.^^
네 정답입니다. 금은 가을을 상징하고 결과를 말하므로 손은 금형이 가장 길하게 작용을 합니다. 그리고 금체형도 상격이 많습니다. 상학공부는 이렇게 생각을 하면서 배우는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