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명상의 기원과 용어
1) 빨리어 jha ̅na(자나), 범어 dhyana, 중국어 번역으로는 禪那
→ 중국에서는 선(禪)’ 또는 ‘정(定)’으로 정착. ‘선정禪定’: 마음을 고요히 하여 진리를 직관하는 일. (≒정려靜慮/참선參禪/좌선坐禪)
2) 명상=冥(어둡다),暝(그윽하다),瞑(눈을 감다) + 想(생각) : 눈을 감고 그윽하게 생각
→ 명상 수행의 입장에서는 생각을 하는 것이 아니라, 생각을 알아차리고 지켜보는 것.
생각 없는 고요한 마음, 무심에 도달하는 것 ≒ 빨리어 bhavana(정신을 경작하다)
3) 요가와의 비슷한 부분이 많은데, 명상은 특히 마음을 이완하여 고요하도록 수련하는 '라자 요가'와 맥락이 통한다.
(①하타요가: 몸 이완 ②라자요가: 마음을 이완)
2. 명상 수행방법에 따른 분류
명상은 인도에서 종교적, 철학적 정신 수양의 목적으로 생겨났다. 수행방법에 따라 크게 집중 명상과 알아차림 명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집중명상은 단일한 대상에 주의를 집중하고, 그 이외의 자극은 철저히 차단한다.
알아차림 명상은 외부와 내부 모든 자극에 비판단적으로 있는 그대로의 상태를 자각하고 수용한다.
이 두 가지 수행법을 바탕으로 여러 가지 수행법이 전해진다.
1) 초월명상: 신 또는 자비로운 존재에 마음을 맡기는 명상법. 산스크리트 진언을 마음 속에서 집중하며 반복 암송.
생각을 멈추고 마음을 고요하게 → 깊은 의식 세계 발견 → 깊은 이완 상태 → 내면적 기쁨과 활력
2) 집중명상: 단일 대상에 집중. 생각 일으키지 않고, 마음 비우고, 오직 의식을 한 곳에 집중.
삼매( samadhi : 육체에 얽매어 있는 동안 도달할 수 있는 최고 정신집중 상태)를 목표로 함. 예) 호흡삼매/ 염불삼매/ 일행삼매/ 진언삼매
→ 의식을 일깨우고, 진정한 자신을 알아차리며, 주관적 생각과 언어적 개념에서 벗어나 최상의 고요한 상태로 마음이 개방된다.
집중명상을 통해 직관력을 열 수 있는 우뇌를 활성화시키고, 세로토닌이 활성화되어 마음의 상태가 평온해진다.
3) 알아차림(마음챙김) 명상: 외부 환경과 내부 자극을 억제, 회피하지 않고, 비판단적으로 있는 그대로의 상태에 주의를 집중한다.
정념 samma sati = 念 =지금今+ 마음 心
지금의 마음을 바로 알아차리는 sati를 번역한 말 ≒ mindfulness/ awareness/ bare attention
호흡법: 과거나 미래에 관련 짓지 않고, 현재의 상태를 있는 그대로 알아차리고 온전히 깨어 있기.
4) 사마타 명상 samatha, 止: 마음에 일어나는 산란함을 멈추게 하는 수행.
감각적 쾌락에 흔들리지 않고, 고요한 마음을 유지함으로써 바르게 통찰하기 위한 힘을 키우는 것이다.
5) 위빠사나 명상 vipassana, 觀
vi 분리하다 + passana 통찰하다 : 일어나는 생각을 거리를 두고 지켜봄. 있는 그대로를 통찰하는 수행법.
모든 존재는 변하고, 고정된 실체가 없다는 것을 통찰.
변화에서 오는 괴로움을 수용하고, 고정관념을 내려놓기 때문에, 생사로부터 자유로운 해탈열반의 기쁨을 성취할 수 있다.
* 止와 觀의 수행은 마음의 들뜸과 무명의 타파라는 차원에서 서로 다른 목적을 갖지만, 함께 수행함으로써 더 높은 깨달음에 도달할 수 있다.
6) 조사선과 간화선
조사선: 문자에 의한 사유를 넘어서 부처님의 깨달음의 본래 정신을 회복하는 데 오직 목적.
간화선: 화두를 오직 참구하여 본래 성품을 바로보고자 함. 문자에 의지하지 않고 문자를 떠나 전해오는 것, 마음을 바로 보아 성불하고자 하는 수행법.
7) 동작명상: 움직이면서 몸의 동작을 주의 깊게 관찰하는 명상 예) 걷기명상, 요가, 춤 명상, 쿤달리니 명상 등
8) 과학적 명상: 명상의 생리학적, 심리학적 건강 효과(고통 완화)에 초점.
9) 이완명상: 몸의 긴장에서 벗어나 현재 몸의 감각에 집중/ 휴식명상: 번아웃에서 벗어나 쉴 수 있도록 에너지 보충하는 명상
첫댓글 작약님, 과제 #1 세밀하게 잘 정리해 주었습니다.
장차 명상의 이론과 수행에 많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수고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