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문 (千字文) 21 _ 女慕貞烈 男效才良
여모정렬 남효재량
女慕貞烈 男效才良
<女 계집 녀 / 慕 그릴 모 / 貞 곧을 정 / 烈 매울 렬
男 사내 남 / 效 본받을 효 / 才 재주 재/良 어질 량>
여자(女)는 뜻이 곧고(貞) 절개가 굳세기(烈)를 바라고(慕),
남자(男)는 재능(才)과 어진 성품(良)을 본 받으려 한다(效).
▶ 한자공부
女 : 여자가 손을 앞으로 모으고 무릎을 꿇고 앉아있는 모습.
慕 : 마음 심㣺과 ‘모습’의 뜻을 가지는 없을 막莫. 마음 속 모습에서 ‘그리다’
貞 : 점 복卜과 조개 패貝가 결합. 貝는 솥 정鼎이었다. 鼎은 거북점의 卜으로 .‘곧은 모양 점괘가 나온다'는 데서 '곧다'.
烈 : 불 화灬(火, 불꽃)와 벌일 렬列(찢다)이 결합. 불이 타서 튀긴다는 데서 ‘맵다.굳세다’
男 : 밭 전田과 힘 력力(농기구)의 합자. 논이나 밭을 가는 사람이라는 데서 ‘남자’.
效 : 사귈 교交(교→효)와 가르쳐 좋은 것을 배우도록 한다는 뜻의 칠 복攵(攴, 회초리로 치다)이 결합하여 ‘본받다’.
才 : 새싹이 땅에서 돋아나는 모습. 초목(草木)의 싹이 자라나듯 사람의 능력도 클 수 있다는 데서 ‘재주’.
良 : 곡식 중에서 좋은 것만을 골라내기 위한 기구의 모습을 나타낸 데서 ‘좋다’.
▶ 해설
여모정렬 남효재량 (女慕貞烈 男效才良)을 다르게 표현하면 남녀유별(男女有別)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남녀차별의 논리가 보다는 남과 여자는 서로 다른 특징이 있으므로 역할과 덕목에서도 각자 자신의 특성에 맞게 능력을 발휘하는 것이 자연스럽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