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 연보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 1930년 7월 15일~2004년 10월 9일; 향년 75세)
알제리 출신 유대계 프랑스인 철학자•비평가
21세기 포스트모더니즘과 해체주의의 대표적인 철학자
20세기 후반 가장 영향력이 지대한 철학자
해체주의의 창시자
예일학파
현대 철학의 거장
“프랑스가 지구상에 배출한 가장 위대한 현대 철학자 중 한 사람”(자크 시라크 프랑스 대통령)
20세기 지식 혁명의 선구자(해체주의 철학)
파리 고등사범학교 교수•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 교수 및 초대 총장•캘리포니아대학교 어바인캠퍼스 교수 역임.
존스홉킨스대학교•예일대학교•뉴욕대학교•스토니브룩대학교•사회리서치 신학교(The 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유럽대학원(European Graduate School) 등지 방문 교수
캠브리지대학교•컬럼비아대학교•사회리서치 신학교•에섹스대학교•루뱅가톨릭대학교•실레지아대학교•코임브라대학교•아테네대학교 등지 명예 박사 학위 수여
부 애메 데리다(Aimé Derrida, 하임 아론 프로스퍼 찰스 데리다(Haïm Aaron Prosper Charles Derrida), 1896년 생~1970년 몰; 향년 75세, 스페인 출신 알제리계 유대인, 양조회사 세일즈맨)
모 조르제트 데리다(Georgette Derrida, 조르제트 술타나 에스터 사파르 데리다(Georgette Sultana Esther Safar Derrida), 1901년 생~1991년 몰; 향년 91세, 유대인 출신으로 1923년 애메 데리다와 결혼)
자녀 5남매
첫째 아들 형 르네 데리다(René Derrida, 1925년 생)
둘째 아들 형 폴 모이즈 데리다(Paul Moïse Derrida, 1929년 생, 생후 3개월 전 사망)
셋째 아들 본인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 1930년 생)
처 마르그리트 데리다(Marguerite Aucouturier Derrida, 1932년 7월 7일~2020년 3월 21일; 향년 69세, 체코 출신 프랑스인 정신분석가)
자녀 3남매
1남 시인•소설가 피에르 데리다(Pierre Derrida, 1963년 4월 10일~2023년 8월 16일; 향년 61세, 유대계 프랑스인)
2남 장-루이 에마뉘엘 데리다(Jean Derrida, 유대계 프랑스인; 극작가 장 주네에게서 장 이름을, 스승 루이 알튀세에게서 루이 이름을, 철학자 에마뉘엘 레비나스에게서 에마뉘엘 이름을 받았다.)
3남 혼외 아들 다니엘 데리다(Daniel Derrida, 연인 실비안 아가생스키의 아들)
1930년 1세 7월 15일 새벽 프랑스령 식민지 알제리(French Algeria)의 작은 마을 엘 비아르(El-Biar) 휴양지에서 유대계 집안의 포도주 양조회사 세일즈맨 아버지 애메 데리다(Aimé Derrida)와 유대계 어머니 조르제트 데리다(Georgette Derrida) 사이의 둘째 아들로 재키 엘리 데리다(Jackie Élie Derrida,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 출생. 재키는 헐리우드 찰리 채플린 영화 『더 키드』의 주인공 재키 쿠건에서 미국식 이름을 받았고, 할례식 때 친척으로부터 엘리라는 미들 네임을 받았다.
1935년~1941년 6세~12세 알제리 소재 엘-비아르에서 초등학교 수학
1941년 12세 알제리 소재 벤 아크눈(Ben Aknoun)중학교 입학. 중학교 시절 우등생이었다고 함.
1942년 13세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벤 아크눈중학교 휴학
―유대인 인종차별 정책으로 유대인 학생 비율을 제한하는 법 때문에 휴학했으며, 장래 희망으로 프로 축구 선수가 될 결심을 하기도 했다고 한다.
―이때부터 평생 동안 서구 철학에 대한 서적들을 탐독했다.
1943년 14세 1년 이상 휴학 후에 유대인 중학교 전학
1947년 18세 바칼로레아 불합격. 철학과 문학 독서
1947년~1948년 18세~19세 알제리 소재 고티에(Gauthier)고등학교 철학반 수학. 교사직을 미래의 직업으로 희망
1949년~1950년 20세~21세 프랑스에 처음 입국해서 파리 소재 루이-르-그랑(Louis-le-Grand)고등학교 입학(기숙생)
1952년~1953년 23세~24세 파리 소재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 고등사범학교(École normale supérieure) 입학. 스승 루이 알튀세(Louis Althusser) 그리고 배우자 마르그리트 오쿠튀리에(Marguerite Aucouturier)와 교유(동기생 미셸 오쿠튀리에의 누이 마르그리트와 스키장에서 첫 만남)
1953년~1954년 24세~25세 루뱅(Louvain)의 후설 문서고 방문. 고등사범학교 석사 학위 논문 『후설 철학에서 발생의 문제』 작성. 고등사범학교 철학과 졸업. 미셸 푸코와 교유
1954년 25세 고등사범학교 석사 학위 논문 제출
1954년~1962년 25세~33세 알제리 독립전쟁 발발
1955년 26세 교수 자격시험 불합격
1956년~1957년 27세~28세 아그레가시옹 교수자격시험 합격. 고등사범학교 학사•석사•박사 수료. 하버드대학교 풀브라이트 장학금 수혜
1957년 28세 6월 미국 보스턴에서 배우자 정신분석학자 마르게리트 오쿠튀리에(Marguerite Aucouturier)와 결혼. 고등사범학교 박사 학위 논문 초고 「문학 대상의 이상성」(“The Ideality of the Literary Object”)
1957년~1959년 28세~30세 군 복무로 2년간 군인 자녀들에게 불어와 영어 교육
1959년 30세 군 복무 후에 프랑스 귀국
1960년~1964년 31세~35세 4년간 소르본대학교에서 철학 강의
1960년 31세 르망고등학교 강의
1962년 33세 에드문트 후설(E. Husserl)의 저서 『기하학의 기원』(Introduction (et traduction) à L’origine de la géométrie, PUF 간) 번역으로 장 카바예스상 수상
1962년~1984년 33세~55세 고등사범학교 강사 및 교수
1963년 34세 첫째 아들 피에르 데리다(Pierre Derrida) 출생
1964년 35세 스승 루이 알튀세가 고등사범학교 교수직 추천
1965년 이후 36세 고등사범학교 교수로 철학사 강의
1965년~1971년 36세~42세 7년간 텔켈그룹과 교유
1966년 37세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콜로키움에 참가해서 논문 「인문학의 담화에서 구조, 기호, 그리고 놀이」(Structure, Sign, and Play in the Discourse of the Human Sciences)를 발표해서 국제적 명성 획득
1967년 38세 『글쓰기와 차이』(L’Écriture et la différence), 『목소리와 현상』(Speech and Phenomena), 『그라마톨로지에 관하여』(De la grammatologie) 등 최초 저서 3권 발간. 둘째 아들 장 데리다(Jean Derrida) 출생
1968년 39세 5월 프랑스 68운동이 발발하자 데리다 참가. 프랑스 잡지 『텔켈』(Tel Quel)지에 논문 「플라톤의 의약」(Plato’s Pharmacy) 발표. 미국에서의 한 강연에서 베트남전쟁 반대 의사 표명
1970년 41세 부친 애메 데리다(Aimé Derrida)가 암으로 사망
1971년 42세 텔켈그룹의 마오이즘과 중국문화혁명 지지 이후로 텔켈그룹과 결별
1972년 43세 『입장』(Positions), 『철학의 주변』(Margins of Philosophy) 그리고 『산종』(Dissemination) 간. 『니체의 스타일』(Éperons. Les styles de Nietzsche) 간
1974년 45세 철학 교육 모임 그레프(Greph) 창립. 『글래스』(Glas) 간
1977년 48세 『누가 철학 교육을 두려워하는가?』 공저 발간
1979년 50세 철학총회(États généraux de la philosophie) 발기인
1980년 51세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수여. 파리대학교 국가 박사 학위(state doctorate) 수여(박사 학위 논문 영역본 “The Time of a Thesis: Punctuations” 간). 『엽서』(The Post Card: From Socrates to Freud and Beyond) 간
1981년 52세 체코 지식인들을 위한 얀 후스재단(the French Jan Hus association) 설립. 「롤랑 바르트의 죽음」(The Deaths of Roland Barthes) 등의 논문 발표. 체코 정부에 의해 불법 컨퍼런스 주도와 마약 밀매 혐의로 구속되었으나, 미테랑 정부와 미셸 푸코(Michel Foucault)의 도움으로 석방
1983년 54세 국제철학대학(Collège international de philosophie) 설립. 영화 『고스트 댄스』(Ghost Dance)에 등장인물 출연 및 대본 작성에 기여
1984년~2004년 55세~75세 10월 프랑스 파리 소재 사회과학고등연구원(École des Hautes Études en Sciences Sociales) 철학 교수 및 제1대 총장
1985년 56세 『시선의 권리』(Droit de regards) 간. 프랑스인 여류 철학자 실비안 아가생스키(Sylviane Agacinski)가 셋째 아들 다니엘 데리다(Daniel Derrida) 출산. 5월 8일 미국학술원(the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외국인 명예 회원(4분과 인문학, 3소분과 비평과 문헌학)으로 선출
1986년~2004년 57세~75세 캘리포니아대학교 어바인(Irvine)캠퍼스 인문학 교수. 1986년 『폴 드 만 회고록』(Memoires for Paul de Man)이 예일대와 어바인캠퍼스의 강연 시리즈를 모아 간행되었고, 1989년 수정판이 나왔으며, 2001년 14편의 논문이 『애도 작품』(The Work of Mourning)으로 간행되었고, 2003년 불어판 『항상 독특해, 세상의 끝』(Chaque fois unique, la fin du monde) 간행
1987년 58세 3월 14일 「하이데거: 열린 문제들」(Heidegger: Open Questions)이라는 제목의 CIPH 컨퍼런스에서 강연(10월 『정신론: 하이데거와 문제』(Of Spirit: Heidegger and the Question)로 발간)
1988년 59세 『시네퐁주』(Signéponge) 간
1990년 61세 『정신에 대하여』(De l’esprit) 간
12월 존 레웰린 저, 『데리다의 해체주의』, 인문 예술 총서 23, 문학과지성사 간
1991년 62세 모친 조르제트 데리다 사망. 『다른 곶』(L’autre cap) 간. 『다른 방향』(The Other Heading) 간
12월 마단 사럽 저, 『데리다와 푸꼬,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 모더니즘총서 1, 인간사랑 간
1992년 63세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명예박사학위 수여
1993년 64세 『마르크스의 유령』(Spectres de Marx) 간
7월 김형효 저, 『데리다의 해체철학』, 민음사 간
1994년 65세 『법의 힘』(Force de loi) 간. 혼외 아들을 낳은 연인 여성 철학자 실비안 아가생스키가 제16대 프랑스 총리 리오넬 조스팽과 결혼하면서 데리다와 실비안의 연인 관계가 끝남.
1996년 67세 『에코그라피』(Échographies) 간.
4월 자크 데리다 저, 김보현 역, 『해체』, 문예출판사 간; 8월 H. 키멜레 저, 『데리다―데리다 철학의 개론적 이해』, 서광사 간
1997년 68세 『마르크스주의와 해체』(Marx en jeu) 그리고 『환대에 관하여』(De l’hospitalité) 간. 서리시 컨퍼런스(Cerisy Conference)에서 자전적 동물을 주제로 10시간 강연(강연 제목 「동물,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The Animal that Therefore I Am(More To Follow)).
3월 이성원 저, 『데리다 읽기』, 우리시대의 지성 5-004, (구) 문지 스펙트럼 4, 문학과지성사 간; 4월 자크 데리다 저, 박정자 역, 『광기의 역사 30년후』, 시각과언어 간
1998년 69세 4월 미국 스탠퍼드대학교에서 연속 특강(강연록이 2001년 프랑스에서 출판됨.)
1월 로이보인 저, 홍원표 역, 『데리다와 푸꼬: 동일성과 차이』, 현대프랑스철학총서 29, 인간사랑 간; 1월 휴 J. 실버만 저, 『데리다와 해체주의 철학과 사상』, 현대미학사 간; 1월 뉴턴 가버 저, 『데리다와 비트겐슈타인』, 이데아총서 60, 민음사 간; 7월 자크 데리다 저, 『에쁘롱』, 동문선 현대신서 12, 동문선 간; 7월 자크 데리다 저, 허정아 역, 『시네퐁주』, 민음사 간
1999년 70세 자서전적 기록 『데리다, 제외된 지역』(Derrida’s Elsewhere, 사파 파씨(Safaa Fathy) 작) 작성에 기여
2월 크리스토퍼 노리스 저, 이종인 역, 『데리다』, 시공 로고스 총서 8, 시공사 간
2000년 71세 데리다는 정치 시사적으로 활발하게 의견을 표출했으며, 근본적으로 미래의 민주주의에 대해 이론화했고, 기존 민주주의의 한계에 대해 생각했다.
2001년 72세 저서 『세계의 끝』(Chaque fois unique, la fin du monde) 발간. 프랑크푸르트대학교 아도르노상 수상.
자크 데리다 저, 남수인 역, 『글쓰기와 차이』, 동문선 문예신서 162, 동문선 간; 페터 지마 저, 김혜진 역, 『데리다와 예일학파』, 문학동네 간
2002년 73세 자서전적 기록 『데리다』(Derrida, 커비 딕(Kirby Dick)과 에미 코프만(Amy Ziering Kofman) 작) 작성에 기여. 췌장암 판정. 10월 영화 『데리다』(Derrida) 개봉
3월 자크 데리다•베르나르 스티글러 저, 김재희•진태원 역, 『에코그라피―텔레비전에 관하여』, 민음사 간; 9월 스튜어트 심 저, 조현진 역, 『데리다와 역사의 종말』, 이제이북스 아이콘북스 7, 이제이북스 간
2003년 74세 『불량배들』(Voyous) 간. 2월 19일 이라크침공에 대해 장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와 토론회 개최.
3월 제프 콜린스 저, 이수명 역, 『데리다』, 하룻밤의 지식여행 19, 김영사 간; 3월 에른스트 벨러 저, 박민수 역, 『데리다 니체 니체 데리다』, 책세상총서 23, 책세상 간; 12월 자크 데리다 저, 이경신 역, 『불량배들―이성에 관한 두 편의 에세이』, 휴머니스트 간
2004년 75세 4월 자크 데리다 저, 김웅권 역, 『그라마톨로지에 대하여』, 동문선 문예신서 191, 동문선 간; 6월 자크 데리다 저, 신방흔 역, 마리-프랑수아즈 플리사르 사진, 『자크 데리다 시선의 권리』, 아트북스 간; 7월 자크 데리다 저•진태원 역, 『법의 힘』, 우리 시대의 고전 16, 문학과지성사 간; 9월 지오반나 보라도리 저, 손철성•김은주•김준성 역, 『테러 시대의 철학―하버마스, 데리다와의 대화』, 현대의 지성 120, 문학과지성사 간
6월 9일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소재 마르크 블로흐대학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크 데리다 주변에서」를 주제로 강연회; 10월 9일 이른 시각에 자크 데리다가 프랑스 파리 소재 퀴리병원에서 지병인 췌장암으로 수술 중 타계, 향년 75세. 죽음을 앞두고도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교 가다머 교수직 초대 수락
2006년 1월 자크 데리다 저, 김상록 역, 『목소리와 현상―후설 현상학에서 기호 문제에 대한 입문』, 인간사랑 간
2007년 1월 니콜러스 로일 저, 오문석 역, 『자크 데리다의 유령들』, Routledge Critical Thinkers 6, 앨피 간; 5월 페넬로페 도이처 저, 변성찬 역, 『HOW TO READ 데리다』, How to Read 시리즈, 웅진지식하우스 간; 8월 자크 데리다•크리스토퍼 노리스•프랭크 커모드 저, 마이클 페인•존 샤드•강우성 역, 『이론 이후 삶―데리다와 현대이론을 말하다』, 민음사 간; 9월 자크 데리다 저, 진태원 역, 『마르크스의 유령들』, 이제이북스 간
2009년 이조원,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의 해체주의 인식론과 선」, 『선학』 제23호, 한국선학회, 321~374. (논문); 9월 박영욱, 『데리다&들뢰즈: 의미와 무의미의 경계에서―데리다 들뢰즈』, 지식인마을 33, 김영사 간
2010년 11월 뉴턴 가버•이승종 저, 조성우 역, 『데리다와 비트겐슈타인』, 수정증보판, 동연출판사 간; 12월 이마무라 히토시 저, 이성혁•이혜진 역, 『화폐 인문학―괴테에서 데리다까지』, 뉴아카이브 총서 2, 자음과모음 간
2011년 5월 제이슨 포웰 저, 박현정 역, 『데리다 평전―순수함을 열망한 한 유령의 이야기』, 인간사랑 간; 10월 김보현 저, 『데리다 입문―서구 사상체계를 뒤흔든 데리다 사유의 이해』, 문예출판사 간; 10월 조홍길 저, 『헤겔의 사변과 데리다의 차이』, 내일을 여는 지식 철학 31, 한국학술정보 간
2012년 1월 자크 데리다 저, 배의용 역, 『기하학의 기원』, 지만지 고전선집 132, 지만지고전천줄 간; 6월 사토 요시유키 저, 김상운 역, 『권력과 저항―푸코, 들뢰즈, 데리다, 알튀세르』, 난장 간
2013년 6월 자크 데리다 저, 데릭 애트리지 편, 정승훈•진주영 역, 『문학의 행위』, 현대의 문학 이론 45, 문학과지성사 간; 7월 슬라보예 지젝•자크 랑시에르•알랭 바디우 저, 최용미 역, 『아듀 데리다』, 인간사랑 간
2014년 4월 자크 데리다•베르나르 스티글러 저, 김재희•진태원 역, 『에코그라피―텔레비전에 관하여』, 현대사상의 모험 30, 민음사 간; 8월 자크 데리다 저, 진태원 역, 『마르크스의 유령들』, 프리즘 총서 14, 그린비 간
2015년 8월 아즈마 히로키 저, 조영일 역, 『존재론적, 우편적―자크 데리다에 대하여』, 바리에테 18, 비 간
2016년 3월 자크 데리다 저, 최용호•신정아 역, 『신앙과 지식/세기와 용서』, 인문과 지혜 2, 아카넷 간
2018년 1월 나카마사 마사키 저, 김상운 역, 『자크 데리다를 읽는 시간』, 일반인을 위한 고전 강독 lecture+text 시리즈, 아르테 간
2019년 2월 김보현 저, 『데리다와 문학』, 문예출판사 간; 3월 자크 데리다 저, 배지선 역, 『거짓말의 역사』, 이숲 간; 7월 김보현 저, 『데리다의 <마르크스의 유령들> 읽기』, 세창명저산책 65, 세창출판사 간; 8월 브누아 페터스 저, 변광배•김중현 역, 『데리다, 해체의 철학자』, 그린비 인물시리즈 he-story 6, 그린비 간
2020년 부인 마르그리트 데리다(Georgette Derrida) 사망
2021년 2월 마틴 하글런드 저, 오근창 역, 『급진적 무신론―데리다의 생명의 시간』, 프리즘 총서 38, 그린비 간; 4월 자크 데리다 저, 조재룡 역, 『조건 없는 대학』, 문학동네 간(데리다의 스탠퍼드대학교 강연록; 1998년 4월 특강, 2001년 프랑스에서 출간)
2022년 4월 신인섭 외 공저, 신인섭 역, 『프랑스철학과 정신분석』, 철학의 정원 49, 그린비 간; 8월 강남순 저, 『데리다와의 데이트―나는 애도한다, 고로 존재한다』, 행성B 간; 10월 임은제 저, 『데리다의 동물 타자』, 클리나멘 총서 12, 그린비 간; 12월 강선형 저, 『자크 데리다』, 컴북스 이론총서, 컴북스캠퍼스 간; 12월 강선형 저, [큰글자책] 『자크 데리다』, 컴북스 이론총서, 컴북스캠퍼스 간; 12월 강남순 저, [큰글자책] 『데리다와의 데이트―나는 애도한다, 고로 존재한다』, 행성B 간
2023년 아들 피에르 데리다(알페리, Pierre Derrida) 사망
자크 데리다•안 뒤푸르망텔 저, 이보경 역, 『환대에 대하여』, 필로소픽 간; 6월 조홍길 저, [큰글자 도서] 『헤겔의 사변과 데리다의 차이』, 한국학술정보 간; 7월 김보현 저, 『데리다의 <그라마톨-로지에 관하여> 해설』, 부산대출판문화원 간
2024년 1월 제임스 K. A. 스미스 저, 윤동민 역, 『자크 데리다―라이브 이론』, 책세상 간
강연
450여 회의 강연과 특강
저서
100여 권의 저서
수백여 편의 에세이
대표 저서
『글쓰기와 차이』(Writing and Difference, 1967년)
『문법학에 대하여』(Of Grammatology, 1967년)
『말과 현상』(Speech and Phenomena and Other Essays on Husserl’s Theory of Signs, 1967년)
『산종』(Dissemination, 1972년)
『철학의 주변』(Margins of Philosophy, 1972년)
『입장』(Positions, 1972년)
주요 저서
『후설 철학에서 발생의 문제』(고등사범학교 석사 학위 논문, 1953년 작성, 1954년 제출)
「문학 대상의 이상성」(“The Ideality of the Literary Object,” 고등사범학교 박사 학위 논문 초고, 1957년)
『기하학의 기원』(Introduction (et traduction) à L’origine de la géométrie, PUF 간, 에드문트 후설(E. Husserl) 저, 자크 데리다 역, 1962년)
「인문학의 담화에서 구조, 기호, 그리고 놀이」(Structure, Sign, and Play in the Discourse of the Human Sciences,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콜로키엄 참가 논문, 1966년)
『글쓰기와 차이』(L’écriture et la différence, 최초 저서, 1967년; 영역본 Writing and Difference, 1978년)
『문법학에 대하여』(De la grammatologie, 최초 저서, 1967년; 영역본 Of Grammatology, 1998년)
『말과 현상』(La voix et le phénomène: introduction au problème du signe dans la phénoménologie de Husserl, 최초 저서, 1967년; Speech and Phenomena and Other Essays on Husserl’s Theory of Signs, 1973년)
「플라톤의 의약」(Plato’s Pharmacy, 프랑스 잡지 『텔켈』(Tel Quel)지 발표 논문, 1968년)
『산종』(La dissémination, 1972년; 영역본 Dissemination, 1981년)
『철학의 주변』(Marges de la philosophie, 1972년; 영역본 Margins of Philosophy, 1982년)
『입장』(Positions, 1972년)
『글래스』(Glas, 1974년; 영역본 Glas, 1986년)
『경솔의 고고학』(L’Archéologie du frivole, 1976년; 영역본 Archeology of the Frivolous: Reading Condillac, 1980년)
「포스: 니콜라스 아브라함과 마리아 토록의 앵글리시 어휘」(“Fors: les mots Anglish de Nicolas Abraham and Maria Torok,” Le Verbier de l'Homme aux loups: cryptonymie, Nicolas Abraham and Maria Torok, 1976년; 영역본 “Fors: the Anglish words of Nicolas Abraham and Maria Torok,” The Wolf Man’s Magic Word: a Cryptonymy, Nicolas Abraham and Maria Torok, 1986년)
『누가 철학 교육을 두려워하는가?』(공저, 1977년)
『니체 스타일』(Éperons: les styles de Nietzsche, 1978년; 영역본 Spurs: Nietzsche’s Styles)
『회화의 진리』(La Vérité en peinture, 1978년; 영역본 The Truth in Painting, 1987년)
“The Time of a Thesis: Punctuations”(파리대학교 국가 박사 학위(state doctorate) 논문 영역본, 1980년)
『엽서』(La Carte postale: de Socrate à Freud et au-delà, 1980년; 영역본 The Post Card: from Socrates to Freud and beyond, 1987년)
「롤랑 바르트의 죽음」(The Deaths of Roland Barthes, 논문, 1981년)
『고스트 댄스』(Ghost Dance, 영화, 등장인물 출연 및 대본 작성에 기여, 1983년)
『타자의 귀』(L’oreille de l’autre: Otobiographies, transferts, traductions. Textes et débats avec Jacques Derrida, 1982년; The Ear of the Other: Otobiography, Transference, Translation: Texts and Discussions with Jacques Derrida, 1985년)
『문헌학의 토운 높이기』(D’un Ton apocalyptique adopté naguère en philosophie, 1983년; Raising the tone of philosophy: late essays by Immanuel Kant, transformative critique by Jacques Derrida, 1993년)
『이전기』(Otobiographies. L’enseignement de Nietzsche et la politique du nom propre, 1984년)
『시선의 권리』(Droit de regards, 1985년)
『폴 드 만 회고록』(Memoires for Paul de Man, 1986년)
『정신론』(De l’esprit: Heidegger et la question, 1987년; 영역본 Of Spirit: Heidegger and the Question, 1989년)
『시네퐁주』(Signéponge, 1988년)
“Rhétorique de la drogue,” Autrement Revue, 1989년; 영역본 “The Rhetoric of Drugs,” 1991년)
『유한회사』(Limited Inc, 1990년; 영역본 Limited, Inc., 1988년)
『후설의 현상학에서 기원의 문제』(Le problème de la genèse dans la philosophie de Husserl, 1990년; 영역본 The Problem of Genesis in Husserl’s Phenomenology, 2002년)
『누가 철학을 두려워하는가?』(Du droit à la philosophie, 1990년; 영역본 Who’s Afraid of Philosophy?, 2002년)
『다른 곶』(L’autre cap, 1991년)
『다른 방향』(The Other Heading, 1991년)
「서컴페션」(“Circonfession,” Jacques Derrida, 1991년; 영역본 “Circumfession,” Jacques Derrida, 1993년)
『주어진 시간 1』(Donner le temps: la fausse monnaie, 1991년; 영역본 Given Time I: Counterfeit Money, 1992년)
『포인츠』(Points de suspension: entretiens, 1992년; 영역본 Points, 1995년)
『마르크스의 유령』(Spectres de Marx: l’état de la dette, le travail du deuil et la nouvelle Internationale, 1993년; 영역본 Spectres of Marx, 1994년)
『죽음의 선물』(Donner la mort, 1993년; 영역본 The Gift of Death, 1995년)
『우정의 정치학』(Politiques de l’amitié; suivi de l’oreille de Heidegger, 1994년; 영역본 Politics of Friendship, 1997년)
『법의 힘』(Force de loi, 1994년)
『텔레비전 초음파 검사』(Échographies de la télévision: entretiens filmés, 1996년; 영역본 Echographies of Television, 2002년)
『아포리아』(Apories: mourir—s’attendre aux “limites de la vérité,” 1996년; 영역본 Aporias: Dying—Awaiting (One Another at) the “Limits of Truth,” 1993년)
『엠마뉴엘 레비나스에게 고하는 이별사』(Adieu à Emmanuel Lévinas, 1997년; 영역본 Adieu to Emmanuel Levinas, 1999년)
『마르크스주의와 해체』(Marx en jeu, 1997년)
『환대에 관하여』(De l’hospitalité, 1997년)
『데리다, 제외된 지역』(Derrida’s Elsewhere, 사파 파씨(Safaa Fathy) 작, 자서전적 기록, 1999년)
『기도서 본문』(영문본 Body of Prayer, 2001년)
『애도 작품, 세계의 끝』(Chaque fois unique, la fin du monde, 2003년; The Work of Mourning, 2001년)
『종교 행위』(영문본 Acts of Religion, 2002년)
『불량배들』(Voyous: deux essais sur la raison, 유고 저서, 2003년; 영역본 Rogues: Two Essays on Reason, 2005년)
『마침내 사는 법을 배우다』(유고 저서, 2005년)
『동물,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L’animal que, donc, je suis, 유고 저서, 2006년; 영역본 The Animal That Therefore I Am, 2008년)
『야수와 왕 제1권』(Séminaire La bête et le souverain: Volume I (2001-2002), 유고 저서, 2008년; 영역본 The Beast and the Sovereign, Volume I, 2009년)
『야수와 왕 제2권』(Séminaire La bête et le souverain: Volume II (2002-2003), 유고 저서, 2010년; 영역본 The Beast and the Sovereign, Volume II, 2011년)
『서명 데리다』(영문본 Signature Derrida, 유고 저서, 2013년)
『사형 제1권』(Séminaire: La Peine de mort volume I (1999-2000), 유고 저서, 2012년; 영문본 The Death Penalty, Volume I, 2013년)
『사형 제2권』(Séminaire: La Peine de mort volume II (2000-2001), 유고 저서, 2015년; 영문본 The Death Penalty, Volume II, 2017년) (“Jacques Derrida bibliography,” wikipedia 참조)
* 데리다의 해체주의: 자크 데리다의 해체주의(deconstruction)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한 가지 이론으로서, 서구 전통 형이상학의 전반적인 해체를 주장했다. 인류 문명 이래의 모든 철학을 형이상학으로 규정하고 이에 대한 전반적인 해체를 주장한 탈현대 이론의 주창자이다. 또한 데리다의 해체주의는 마르크스주의를 포함한 서구 형이상학의 전통을 이데올로기적으로 개념화하는 탈현대의 프로젝트이기도 하다. 21세기는 현대의 연장선이며, 탈현대는 유보적 용어이지만, 가깝고도 먼 미래의 실천을 담보하는 개념화는 현대를 극복하는 탈현대의 비전이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탈현대는 현대의 오류의 발견과 수정이며, 데리다의 해체주의는 이러한 현대적 오류의 실천적 수정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현대와 현대의 오류의 해체를 목적으로 한다. 결론적으로, 데리다는 서구 형이상학의 이성주의를 정면으로 거부하고 비판하며 이성주의의 오류를 해체하려 시도했다고 정의할 수 있다.
한편, 데리다의 해체철학을 이성과 합리성에 대척이 되는 비이성과 비합리성의 철학, 곧 반철학(反哲學)이라고 규정하는 논자들도 있다. 데리다의 해체주의의 대표적인 저서는 그의 대표작이기도 한 『그라마톨로지에 관하여』(문법학에 관하여, Of Grammatology)이다(최학림 기자, 「해체주의 철학 창시자 프랑스 자크 데리다 타계」, 『부산일보』, 2009-02-21 참조).
* 데리다의 미국 학계 수용: 데리다의 미국과 미국 학계 수용은 프랑스령 식민지 알제리의 어린 시절부터 시작되었다. 1930년 7월 15일 그가 태어나서 받은 이름의 재키 엘리 데리다(Jackie Élie Derrida)의 재키(Jackie)는 미국의 모 영화에서 암시를 받은 미국식 이름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의 이름은 프랑스령 식민지 알제리에서 프랑스 본토 파리로 이동하면서 자크(Jacques)가 되었다.
데리다는 1954년 고등사범학교를 졸업하고 석사 학위 논문을 제출한 후, 1956년~1957년 아그레가시옹 교수자격시험에 합격했다. 고등사범학교 학사•석사•박사를 수료했고, 이때 미국 하버드대학교를 장학금으로 방문했다. 1957년 6월에는 미국 보스턴에서 배우자 정신분석학자 마르게리트 오쿠튀리에(Marguerite Aucouturier)와 결혼했다. 1966년에는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콜로키움에 참가해서 논문 「인문학의 담화에서 구조, 기호, 그리고 놀이」(Structure, Sign, and Play in the Discourse of the Human Sciences)를 발표했고, 이때부터 국제적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1971년 텔켈그룹과 결별하고, 1972년 『입장』(Positions), 『철학의 주변』(Margins of Philosophy) 그리고 『산종』(Dissemination)을 간행하면서 데리다는 본격적으로 미국 학계에 수용되기 시작했고, 데리다는 철학자라기보다 미국에서는 인문학의 비평가로서 수용되었다.
1980년에는 미국 컬럼비아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1985년 5월 8일에는 미국학술원(the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외국인 명예 회원으로 선출되기도 했다. 1986년~2004년 사이 동안 캘리포니아대학교 어바인(Irvine)캠퍼스 인문학 교수가 되었다. 또한 데리다는 미국의 존스홉킨스대학교, 예일대학교, 뉴욕대학교, 스토니브룩대학교 등지에서 방문 교수로 활동했으며, 영국 캠브리지대학교와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등지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데리다가 미국 학계에 알려지게 된 계기는 미국 예일대학교 영문학과의 비평가 집단인 예일학파 비평가들이 데리다의 해체주의 철학을 미국 비평계에서 문학적으로 수용했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
* 스페인에서 온 프랑스령 알제리계 유대인 출신 프랑스인 데리다: 자크 데리다는 스페인에서 건너온 북아프리카 프랑스령 식민지 알제리계 유대인 출신 프랑스인이다. 그러나 데리다가 프랑스에 첫발을 디딘 때는 1949년 19세에 프랑스에 처음 입국해서 파리 소재 루이-르-그랑(Louis-le-Grand)고등학교에 입학하면서부터였다.
데리다의 『그라마톨로지에 관하여』를 번역한 김성도 교수와 데리다가 1997년 1월 8일 프랑스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 연구실에서 가진 『조선일보』 인터뷰에서 데리다는 자신의 유대인 집안 배경에 대해서 간단하게 언급했다. 유다이즘과의 관계에 대한 질문에 데리다는 “생물학적 혈통은 유태인이지만, 저는 유태인의 문화와 교양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라고 답했다. 인터뷰의 마지막 질문으로 어떤 방송프로그램을 시청하는가 하는 질문에 데리다는 “매주 일요일 아침 진행되는 회교도와 유태교 종교의식 중계 프로그램”을 “저는 아주 규칙적으로 시청합니다”라고 답했다(「[해외석학 대담] 자크 데리다」, 『조선일보』, 1997-01-25 인터뷰 보도 기사 참조).
* 자크 데리다에 대한 한국의 연구 성과: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검색된 자크 데리다에 대한 한국의 연구 성과는 다음과 같다. 김이석,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의 할례받은 인식론과 종교없는 종교성: 할례의 상처와 피를 중심으로」, 『종교와 문화』 제23호, 서울대 종교문제연구소, 2012년. 199~220 외 국내 학술 논문 148편; 채정화, 「자크 데리다의 상호텍스트성에 나타난 현대패션의 미적특성」, 홍익대학교 대학원 국내 석사 학위 논문, 2020년 외 학위 논문 119편; 강선형, 『자크 데리다』, 전자자료, 알라딘, 2022년 외 단행본 192권; 권수경, 『환대와 글쓰기―레비나스, 데리다, 자베스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NRF), 2014년 외 연구 보고서 49편; 전종윤, 「아름다움의 철학」, 전주대학교, 2019-06-18 공개 강의 1편 등이 있다. <끝> <2024년 2월 11일, 나종혁 글>
* 참고 자료: 허연, 「자크 데리다, 해체주의 창시한 현대철학 거장」, 『매일경제』, 2004-10-10; 「[해외석학 대담] 자크 데리다」, 『조선일보』, 1997-01-25; 장정일, 「데리다는 왜, 어떻게 해체철학 하게 되었나 [독서일기]」, 시사IN, 2019-09-19; 「자크 데리다」, 『위키백과』; 「자크 데리다」, 『두피디아』; “Jacques Derrida,” wikipedia; “Jacques Derrida bibliography,” wikipedia; 최학림 기자, 「해체주의 철학 창시자 프랑스 자크 데리다 타계」, 『부산일보』, 2009-02-21; 류재화 통신원, 「프랑스 석학 자크 데리다 강연회 현장 중계」, 『시사저널』, 2004-06-29; 기타 자료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