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8 진상관이 편관백호를 일으켰다.
時 | 日 | 月 | 年 | 대운42 | 곤 명 |
비견 | 일간 | 정재 | 상관 | 편인 | 六 神 |
癸 | 癸 | 丙 | 甲 | 辛 | 天 干 |
丑 | 未 | 寅 | 寅 | 酉 | 地 支 |
편관 | 편관 | 상관 | 상관 | 편인 | 六 神 |
공망절로 과숙홍염 백호곡각 | 비인천희 | 지살망신 금여월덕 | 망신금여 |
| 신 살 |
▶ 사/주/분/석
병화(丙火) 정재(正財)는 흑운차일(黑雲次日)에 걸려 있는데 자수(子水)대운에 들어서 병화(丙火)가 절각(截脚)에 들어가면 태양은 빛을 잃게 됩니다. 그러므로 자수(子水)대운에 부친(父親)은 파산(破産)하였다고 하는데, 계해(癸亥)대운에 들어서는 3개의 계수(癸水)로 인해 흑운차일(黑雲次日)의 피해가 더욱 심해졌습니다. 그래서 명주는 20대 이후부터 재정적인 혜택을 거의 못받았다고 합니다. 또한 인월(寅月)의 갑인(甲寅)이므로 진상관(眞傷官)이 분명하였는데 만약 축미충(丑未沖)이 되면 상관부진(傷官不盡)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상관부진이 되면 관성을 극하게 되는 것이라서 남편에게는 흉한 사건이 발생할 수 있는 것입니다. 특히 시지(時支)에는 공망(空亡) 2개가 중첩(重疊)이 되어 있었고 백호와 과숙(寡宿), 곡각이 결집(結集)하였으므로 비록 축미충(丑未沖)으로 공망(空亡)을 일부분 해소했다고 하나, 충(沖)으로 흉살(凶殺)를 일으켰으니 축미충(丑未沖)은 편관(偏官)백호(白虎)를 발생시켰습니다.
근황
어려서는 부유했으나 20대에 부친의 사업이 부도가 나서 경제적 혜택을 못 받았다. 디자인 계열을 전공하여 현재 가구회사에 근무하고 있다. 자식을 낳은 후에 배우자와 갈등이 깊어지고 심지어 시댁과의 관계도 악화되어 신유(辛酉) 대운에 이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