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하나는
임대 수익을 통해 자기 개발비를 충당하겠다는 것. 월급은 생활비로 사 용하고, 임대로 인한 부가 수익은 어학이나 대학원 등 미래를 위한 재투자
비 용으로 활용하겠다는 것이다. 둘째는 남보다 빠른 노후 대비다. 이들은 부동산 을 기반으로 은퇴 이후 안정적인 수입을 보장받겠다는 계획이다.
‘사오정’, ‘오륙도’ 등 정년이 빨라지면서 미래가 불안해진 것도 30대의 발걸음을 분주 하게 하고 있다.![]() 단돈 700만원으로 아파트 임대업 성공한 김일재씨 “저평가된 소형 아파트, 경매와 급매물 투자로 잡았죠” 30대 초반 직장인인 김일재씨(32)는 단돈 700만원으로 임대업에 뛰어들었다. 주식, 펀드 등 이런저런 재테크에 관심은 있었으나 기대만큼 돈이 불려지지 않 자 임대업에 눈을 돌렸다. 부동산 투자는 누나에게 한 수 배웠다. 김씨는 이십 대 시절, 경매 전문가인 누나의 심부름을 하다가 경매에 눈을 떴고, 그게 임대 재테크의 발판이 됐다. 김씨의 주 임대처는 저평가된 지역의 소형 아파트다. 지난 2005년 경매를 통해 경기도 일산의 21평형 소형 아파트를 낙찰 받은 게 시작이었다. 이때 들어간 자기 비용은 900만원. 어떻게 이런 저자본으로 가능했던 것일까. 당시 낙찰가 는 7500만원 정도였다. 5600만원 정도 대출을 받았고, 세입 보증금 1000만원을 합하면 그 같은 계산이 나온다. 구입한 아파트는 보증금 1000만원에 월세 40만 원을 받았다. 월세 수입은 대출 이자를 갚는 데 충당했다. 그래도 용돈으로 10 만원 정도를 챙겼다고 한다. 한편으로 모험처럼 비쳐지는 김씨의 임대 투자. 이는 김씨가 저평가된 지역을 찾기 위해 숱한 발품을 팔았기에 가능했다. 김씨가 구입한 소형 아파트는 1년 뒤 시세가 껑충 뛰었고, 그는 시세 차익을 노려 매매를 결정했다. 그리고 매도 로 얻은 투자 수익은 같은 방식으로 임대 투자를 했고, 현재 아파트 2채를 보 유 중인 김씨는 투자 대비 10%의 꾸준한 임대 수익을 내고 있다. 김씨는 자산 가치 상승에 중점을 둔다면 아파트만한 투 자처가 없다고 말한다. 문제는 저평가된 아파트를 고르는 것과, 단기 급등 가 능성이 있는 지역을 보는 안목을 키워야 한다는 것. 무엇보다 급매물을 잡을 경우 수익률이 극대화된다는 게 그의 설명. 김씨는 월 임대 수익의 목표가를 정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수요가 많은 지역을 선택하라는 것이다. 경 매 물건일 경우 월 수익 9~10%, 급매물일 경우 6% 이상은 보장될 때 매매하라 고 말한다. “임대 수익을 얻고, 돈 되는 매물을 원하세요? 그렇다면 자주 돌아다니는 게 중요해요. 발품 팔면서 정보를 얻고, 부동산 사장님들과 친해지세요. 단골 부 동산 몇 곳만 만들어도 좋은 물건을 잡는 데 앞서 나갑니다. 중개료를 넉넉히 챙겨주면 나중에 팔 때도 비싼 값에 팔아줘요. 부동산 투자 역시 네트워크가 중요하거든요.” 집값 대출 억제 등 요즘처럼 규제가 늘어난 시장에서도 김씨와 같은 투자 방식 이 통할까. 김씨는 “과거와 같은 방식은 힘들어진 게 사실이다”면서도 “그 러나 발품을 팔면 여전히 자산 가치가 상승할 여력이 있는 지역을 찾을 수 있 다”고 말했다. 30대 초반의 김씨가 발 빠르게 임대업에 뛰어든 이유를 설명했 다. “안전장치 마련이죠. 샐러리맨 월급만으로는 자기 개발을 한다는 게 쉽지 않 잖아요. 결국 전공을 살리는 공부나 취미 생활 등 미래를 위한 투자 비용을 임 대 수익으로 마련하는 거죠. 노후 대비까지 이어지면 금상첨화고요.” 상가 임대로 월 500만원 버는 박주영씨 “상가 2개로 넉넉한 노후 대비, 월세 수입이 월급보다 많아요” 홍보회사에 다니는 박주영(37)씨는 지난 2004년 서울 구로디지털단지에 위치한 신축 오피스 빌딩 1층의 ‘공장형 상가’(30평형)를 구입했다. 비용은 세금 포 함 8억원 정도가 들었다. 현재 상가에는 24시 편의점이 들어온 상태다. 계약 기간은 5년. 박씨는 임대료로 월 500만원 정도를 받고 있다. 투자 대비 8% 수 익을 내고 있는 셈이다. 2년 뒤에는 550만원, 3년째부터는 600만원의 임대료를 받기로 한 계약 조건도 괜찮다. 8억원이라. 매달 생계비에 허덕이는 소시민에겐 엄두가 안 나는 거액이다. 박 씨의 상가 구입은 어머니의 도움을 받았기에 가능했다. 부동산 투자에 관심이 많은 어머니는 원래 아파트에 투자를 주로 하다가, 5년 전 김포의 한 공장 터 를 우연찮게 매입하면서 임대의 매력을 알게 됐다. 1억원대에 구입한 공장 터 가 몇 년 뒤 아파트 단지로 재개발되면서 5억원으로 껑충 뛴 것. 매달 일정 수 입에 막대한 투자 수익까지 얻었으니, 두 마리 토끼를 잡은 셈. 어머니는 딸의 장래를 위해 ‘임대’라는 상속 형식을 결정했다. 상가를 구입하면서 박씨는 어머니에게 5억원 정도를 무이자로 대출 받았다. 현재까지 받은 월 임대 수익 은 엄마에게 오롯이 상환 중이다. 8억원대 ‘큰 물건’을 매매하면서, 박씨 역시 투자처를 두고 숱한 고민을 했 다. 당시 인기 폭발이었던 주상 복합 타워팰리스도 그중 한 종목. 시세 차익을 노린다면 타워팰리스가 유리할 것 같았고, 고정 수입 면에서는 상가가 나아 보 였다. 당시 10억원 정도 하던 타워팰리스는 몇 년 새 두 배 정도 시세가 뛰었 다. 그래서 배가 아프냐고? 박씨는 “한때는 아쉽기도 했지만, 결과적으로 만 족한다”고 답했다. “언제까지 회사 생활을 할 수 있는 건 아니잖아요. 조기 퇴출 등 직장 환경이 불안하고요. 상가를 구입한 덕에 한편으로 마음이 든든해요.” 상가를 고르면서 발품도 많이 팔았다. 각 부동산 사이 트에 올라온 상가 매물을 훑었고, 좋은 매물을 찾기 위해 여기저기 부동산을 돌아다녔다. 그동안 거래했던 단골 부동산에 좋은 매물을 알려달라는 말도 잊 지 않았다. 구로디지털단지를 선택한 것은 입지 면에서 장점이 컸기 때문. 대 로변에 위치했고, 주변에 편의점이 유일하다는 것이 큰 장점이었다. 임대는 수요가 관건이다. 박씨는 이미 편의점 입점 계약이 된 상가라서 안심했다고 말한다. 임대 기간은 5년. 주변에 유일한 편의점이라는 입지 특성상 재계약을 확신하고 있다. 박씨 는 엄마에게 빌린 5억원의 대출을 갚은 이후, 강남 쪽에 상가 하나를 추가 구 입할 계획을 갖고 있다. 상가 2개면 넉넉한 노후가 가능할 것이란 계산에서다. “월 임대 수입 700만~800만원은 가능하지 않겠어요. 그 정도면 은퇴 후에도 넉넉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죠. 강남에 계획 중인 상가는 임대를 놓을 수도 있 지만, 제 가게가 될 수도 있어요. 고령화 사회인데, 은퇴 후에 쉴 수는 없잖아 요. 제가 은퇴하면 그 상가에서 직접 빵집이나 꽃집을 운영하고픈 마음도 있어 요.” |
|
첫댓글 소형아파트나.. 소형 상가도 괜찮을것 같네요..
저도 월세 받아서 사는게 꿈인데 ㅎㅎ
꿈 이루실 수 있어요~^^ 홧팅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잘 읽었어요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