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화성 팔달산 서장대에서 내려다보면 행궁이 보인다. 2011년 화성행궁 상설행사장에서 장용영 수위의식 행사를 관람하게되었다.
장용영이 무엇일까?하는 의구심이 들었다. 장용영을 한글로 표기하고 말을 들어도 그 뜻이 무엇인지 알수가없다. 이때에 한자를 병용하면 쉽게 이해할수 있으니 한자도 필요한 언어라 생각된다.
장용영(壯勇營)은 무엇을 뜻하는가? 그 내용을 알아보니 총책은 장용영병방(壯勇營兵房)이라 하였고, 그 아래에 무과 출신의 정예금군을 두어 국왕의 호위를 담당하는 친위 체제로 만들었다.
그 뒤 1793년 (정조17)에 규모를 더욱 확대 시켜 하나의 군영(軍營)으로 발전시킨 금위조직(禁衛組織)이 장용영이다.
외영제는 수원부를 화성으로 개칭하고 정3품의 부사에서 정2품의 유수로 승격, 장용외사와 행궁정리부의 직을 겸하게 하였으며, 그 아래에 판관1인을 두었다. 지휘관인 장용영병방은 장용사(壯勇使) 또는 장용대장으로 개칭하였으며, 그 규모는 12,000여 명이었다.(그중 화성에 5천병사 주둔)
한 정병과 각대를 중심으로 한 성정(珹丁)으로 편성하였으며, 이는 중앙집권적인 오위체제를 도입, 강력한 왕권의 상징으로 삼으러 하였다. 하지만 정조가 죽자 1802년(순조 2년)에 혁파되었다
오늘보게 된 장용영 수위의식 행사는또 무엇인가?
정조대왕의 화성행차가 기록되어 있는 원행을묘정리의 궤 및 관련 문헌을 바탕으로 제작하였으며, 출연진들은 수원에 거주하는 시민들 로 진행하는 행사 인것이다.
조선 제22대 정조대왕의 친위부대인 장용영(壯勇營)의 수위의식과 군례를 관찰하는 행사로 자랑스러운 수원의 전통문화를 국제적인 역사/문화/관광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충분한 문화행사인것 같다. 주말마다 수원의 역사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행사로 진행되어 문화도시에 걸맞는 수준 높은 전통행사로의 성장을 기대해본다.
|
출처: 혜천의 바람흔적 원문보기 글쓴이: 바람흔적
첫댓글 동영상까지 너무나 세심하시고 열심히 해주셨어요.
수원화성 이걸보니 또 가고 싶습니다.
봄바람이 불어오는 휴일날 입니다.
벌써 일주일이 되었네요?
멋지게 담으셨습니다.
전 외국인들의 체험참여행렬이 참 인상적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