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여행블로거기자단
 
 
 
카페 게시글
수원팸투어 포스팅(후기) 스크랩 움직이는 옛 문화 정조대왕의 친위부대 장용영 수위의식과 군례행사
바람흔적 추천 0 조회 211 11.04.03 11:03 댓글 3
게시글 본문내용

 

 

    수원화성 팔달산 서장대에서 내려다보면  행궁이 보인다.

    2011년 화성행궁 상설행사장에서 장용영 수위의식 행사를 관람하게되었다.

 

     장용영이 무엇일까?하는 의구심이 들었다.

     장용영을 한글로 표기하고 말을 들어도 그 뜻이 무엇인지 알수가없다.

    이때에 한자를 병용하면 쉽게 이해할수 있으니 한자도 필요한 언어라 생각된다.

 

      장용영(壯勇營)은 무엇을 뜻하는가? 그 내용을 알아보니
      조선 후기 정조9년(1785년)에 장용위(壯勇衛)라는 국왕 호위의 전담부대를 설치하여

      총책은 장용영병방(壯勇營兵房)이라 하였고, 그 아래에 무과 출신의 정예금군을 두어

      국왕의 호위를 담당하는  친위 체제로 만들었다.

 

     그 뒤 1793년 (정조17)에 규모를 더욱 확대 시켜 하나의 군영(軍營)으로 발전시킨

      금위조직(禁衛組織)이 장용영이다.


     장용영은 크게 내영과 외영으로 나누어지는데, 내영은 도성을 중심으로 하였고 외영은 수원 화성을 중심으로 이루어 졌다.

     외영제는 수원부를 화성으로 개칭하고 정3품의 부사에서 정2품의 유수로 승격, 장용외사와 행궁정리부의 직을 겸하게 하였으며,

      그 아래에 판관1인을 두었다. 지휘관인 장용영병방은 장용사(壯勇使) 또는 장용대장으로 개칭하였으며,

      그 규모는 12,000여 명이었다.(그중 화성에 5천병사 주둔)


      외영의 편제는 1798년에 크게 개혁되어 오위체제(五衛體制)를 도입하여 장악위(長樂衛)아래에 오위를 두고 각 위를 중심으로

      한 정병과 각대를 중심으로 한 성정(珹丁)으로 편성하였으며, 이는 중앙집권적인 오위체제를 도입, 강력한 왕권의 상징으로

       삼으러 하였다. 하지만 정조가 죽자 1802년(순조 2년)에 혁파되었다

 

    

 

 

       

 

          오늘보게 된 장용영 수위의식 행사는또 무엇인가?
          조선 제 22대 정조대왕의 친위부대인 장용영의 수위의식과 군례를 관찰하는 행사인것 같다. 

 

 


                                        행사에 참여하는 출연자들의 역할과 사용되는 각종 복식과 각종 무기들은

                                        정조대왕의 화성행차가 기록되어 있는 원행을묘정리의 궤 및 관련 문헌을 바탕으로

                                        제작하였으며,  출연진들은 수원에 거주하는 시민들 로 진행하는 행사 인것이다.

 

                                                 

 

 

        

 

              

           조선 제22대 정조대왕의 친위부대인 장용영(壯勇營)의 수위의식과 군례를 관찰하는 행사로 자랑스러운 수원의 전통문화를

           국제적인 역사/문화/관광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충분한 문화행사인것 같다. 주말마다 수원의 역사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행사로 진행되어 문화도시에 걸맞는 수준 높은 전통행사로의 성장을 기대해본다.

 

 
다음검색
댓글
  • 11.04.03 13:27

    첫댓글 동영상까지 너무나 세심하시고 열심히 해주셨어요.
    수원화성 이걸보니 또 가고 싶습니다.

    봄바람이 불어오는 휴일날 입니다.
    벌써 일주일이 되었네요?

  • 11.04.03 18:27

    멋지게 담으셨습니다.

  • 11.04.04 11:52

    전 외국인들의 체험참여행렬이 참 인상적이었습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