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공준
공준이란 이론을 형성하고 전개하는 과정에서 최초로 전제가 되는 명제나 가정을 뜻함
회계에도 회계의 모든 관습 및 원칙의 근거가 되는 회계공준이 있다
기업실체 공준, 계속기업의 공준, 화폐가치 안정의 공준, 회계기간의 공준
기업실체의 공준:
기업은 기업의 소유자로부터 독립한 존재라는 가정
계속기업의 공준:
기업은 설립이 되면 영속적으로 존재하고 경영활동도 계속될것이라는 가정
화폐가치안정의 공준:
기업의 거래는 객관적인 교환가치인 화폐액으로 표시되는데
화퍠액의 가치는 안정적이라고 전제하는 가정
회계기간의 공준:
회계의 측정과 보고를 인위적으로 정한 기간에 따라 행해야 한다는 가정
재구정보의 질적특성
회계 정보 이용자의 의사결정에 유용하기 위해 회계정보가 갖춰야 하는 속성을 의미함
의사결정에 유용하려면 재무정보에 예측가치와 확인가치, 중요성이 존재하여 목적에 적합하게 사용가능해야함
오류가 없이 완전하고 중립적으로 서술되어 충실한 표현으로 작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목적적합성, 충실한 표현이 근본적이다
근본적 질적특성
목적적합성: 예측가치(미래예측 가능성), 확인가치(과거의 기대를 확인), 중요성(중요정보의 누락, 오기 없이 작성)
충실한 표현: 완전한 서술(모든 정보를 포함), 중립적 서술(선택이나 표시에 편의가 없는것), 오류없이 표현(절차의선택, 절차상의 무오류)
보강적 질적특성
근본적 질적특성을 보완하기 위해 몇가지 특성을 추가함
비교가능성: 항목 간 차이점, 유사점이 식별 가능
검증가능성: 합리적 판단 시에 의견이 일치
적시성: 의사결정 시점에 이용가능
이해가능성: 정보의 명확, 간결한 분류
질적특성의 제약조건
근본적 질적 특성이나 보강적 질적 특성에 의해 회계자료를 작성 할 때
무조건 질적특성의 원칙에 의해서만 자료를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효익과 비용간의 균형을 감안해야 하고
질적특성 간의 충돌이 있을 경우 질적특성간의 균형을 맞춰야 하는데 이를 질적특성 제약조건이라 한다
효익과 비용간의 균형:
정보의 제공에 소요되는 비용보다 이용자가 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얻는 효익이 더 커야한다
질적특성 간의 균형:
질적 특성 간에 상충관계가 일어나는 경우에는 의사결정에 보다 유용한 정보를 산출,
보고할 수 있는 정보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