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정동 선교사촌(梧井洞 宣敎師村)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제 44호, 인돈학술원 선교사촌 경상대학 뒤편 숲 속에 위치한 선교사촌은 1950년대 대전을 비롯한 충남지역에서 활동하던 선교사들이 거주하기 위해 조성되었던 마을로 개화기의 모습 그대로를 간직하고 있습니다. 군산 선교사의 가옥을 헐어 그 자재로 지었다고 하며, 겉은 한식이지만 내부 구조는 서양식으로 선교사들에게 보다 친숙하게 만들어 졌습니다. 이 근방의 숲은 호젓하기 이를데 없어 적지 않은 동식물의 안식처이기도 하다네요. 인돈학술원을 중심으로 서양과 동양의 건축양식이 조화를 이룬 여섯 채의 예스러운 가옥이 보존되어 있으며, 종교, 건축,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 곳으로 현재 문화재자료 제 44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영화 <그해 여름>의 촬영지!
오정동 선교사촌(梧井洞 宣敎師村)
문화재자료 제44호
2022-04-24 넷째 일요일(맑음/무지더움)
대전시 대덕구 오정동에 있는 건축물
사진촬영 청마(靑馬)
현대 바로 직전을 의미하는 근대는 시대를 구분하는 기준이다. 그렇다면 정확하게 근대는 언제를 말하는 것일까. 우리나라에서의 근대(近代)는 1894년(고종 31) 갑오개혁 이후 대한제국기와 일제 강점기를 거쳐 1945년 8월 15일 광복까지의 기간을 가리키는데 학자에 따라서는 근대의 시점을 1876년(고종 13) 개항 이후로 보기도 한다. 그렇다면 한남대학교 내에 있는 오정동 선교사촌은 근대시기의 건축물이라고 볼 수 있을까. 시기상으로 보자면 근대가 아니라 현대시대의 건축물이다.
오정동 선교사촌(梧井洞 宣敎師村)은 대전광역시 대덕구 오정동에 있는 건축물이다.
2001년 6월 27일 대전광역시의 문화재자료 제44호로 지정되었다.
오정동 선교사촌은 1955∼1958년에 지어진 선교사 사택들이 있는 곳으로, 이 중 최초(1955년)에 지어진 북측의 3동이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지금은 저런 건축양식을 사용하지 않지만 1950년대 국내 시대상은 붉은 벽돌에 한식 지붕을 올리고 주진입이 현관으로 모이게 하였고 서양식 건축에 한국 건축양식을 도입하였는데 주로 형편이 넉넉한 집에서 이런 집을 많이 지었다.
한남대는 윌리언 에이 인톤(William Alderman Linton 1891 ~ 1960)라는 사람이 설립하였다.
이곳은 그의 부인이 설계하고 한국인 목수가 시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건축물들은 건설회사가 매입하여 모두 철거하고 건물을 지으려고 했으나
당시 지역 주민들이 반대하고 그 후에 한남대가 매입하여 지금도 유지되고 있다.
몇 동 되지 않는 곳이지만 그 형태가 잘 보존되어 있어서 살인자의 기억법이나 덕혜옹주 등의 영화가 촬영되기도 했다.
한남대학교 내에 이런 건축물이 있는지 아는 대전시민들은 많지 않다.
이런 형태의 건축물은 새마을운동이 한참 진행되면서 가장 먼저 사라져 갔다.
그렇지만 다행히도 오정동 선교사촌은 그 형태를 유지하며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보시느라 수고하셨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