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과 철학에서의 상대주의
(가)
◆제시문 해제
이 글은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 이론을 소개하고, 블루어가 주장한 과학에서의 상대주의를 설명하고 있다. 아인슈타인은 불변하는 값인 광속을 바탕으로 시간과 길이가 상대적인 값이라는 것을 밝혀내었다. 이러한 아인슈타인의 이론은 과학에서의 상대주의 논의에 영향을 주었고, 블루어와 같은 일군의 과학 사회학자들은 과학적 지식이 사회적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과학에 대한 사회적 상대주의는 과학 지식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였다.
◆주제 :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과 과학적 지식의 상대성
◆구성
•1문단: 시간과 길이가 상대적이라고 본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
•2문단: 상대성 이론의 성과와 이에 영향을 받은 과학 사회학연구
•3문단: 사회적 요인을 바탕으로 과학적 지식을 이해하려 한블루어의 견해
(나)
◆제시문 해제
이 글은 절대주의, 상대주의와 관련된 논란 사이에서 상대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한 로티와 퍼트넘의 견해를 소개하고 있다. 자문화 중심주의를 바탕으로 상대주의의 한계를 극복하려 한 로티는 진리는 언어적 공동체가 합의에 이른것뿐이며 절대적 진리는 없다고 주장하였다. 퍼트넘은 로티의주장이 상대주의의 성격을 갖고 있다는 점을 비판하면서 모든진리가 동등한 가치를 갖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개념 체계 속에서 합리적으로 수용될 만한 것들만이 진리라고 불릴 수 있다고 보았다. 이와 같은 두 학자의 논쟁은 상대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라고 볼 수 있다.
◆주제 : 상대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로티와 퍼트넘의 논쟁
◆구성
•1문단: 자문화 중심주의를 통해 상대주의의 한계를 해결하려한 로티의 견해
•2문단: 개념 체계와 합리적 수용 가능성을 바탕으로 진리를판단하려 한 퍼트넘의 견해
•3문단: 로티와 퍼트넘의 논쟁의 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