狗猛酒酸(구맹주산)
"개가 사나우면 술이 시어진다."
라는 뜻이다.
= 酒酸不售(주산불수)
술이 시어 팔리지 못함
= 猛狗之患(맹구지환)
사나운 개가 근심을 끼침
한 나라에 간신배가 있으면
어진 신하가 모이지 않음을 비유한 말로 법가(法家)의 집대성자이자
통치술 ·제왕학의 창시자인 한비자(韓非子)의
외저설우(外儲說右)에
나오는 말이다.
옛날 어느 마을에 술을 잘 빚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의 술을 먹어본 사람 가운데
술 빚는 재주를 칭찬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고 합니다.
항상 손님을 공손히 대접했으며, 양을 속이지 않고 정직하게 팔았고, 최고라는 자부심도 느꼈습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손님이 줄기 시작했고, 술은 오래 두면 시어지는 관계로, 빚은 지 오래된 술은 버릴 수밖에 없었습니다.
시어진 술을 번번이 버리게 되면서, 손님이 줄게 된 이유를 곰곰이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고민(苦悶)을 거듭하던 장사꾼은
그 마을에 사는 지혜로운 노인 한 분을 찾아가서 고민을 털어놓았습니다.
그의 이야기를 듣고 한참 생각하던 노인은 이렇게 물었다고 합니다.
"혹시 자네 집에 개를 기르고 있나?"
"그렇긴 한데 그게 술이 팔리지 않는 것과 무슨 관계가 있습니까?"
"그 개가 사나운 편인가?"
네 "가끔 그런 이야기를 듣곤 합니다."
노인은 그제야 그 이유를 알겠다는 듯, 고개를 끄덕이며 말했습니다.
"자네 술이 팔리지 않는 이유(理由)는 바로
그 사나운 개 탓일세!
보통 사람들이 자기 집 아이들에게
술 심부름을 시키는데, 그 아이들이 자네 집에 술을 사러 갔다가
사나운 개를 보고는 무서워서
다른 집으로 간 게야! 어떤 아이는 물렸을 수도 있지. 그러니 그 사나운 개 때문에 술이 팔리지 않고 쉬어 버린 게야!"
노인은 가서 개를 잘 살펴보고 사나우면 없애라고 하였습니다.
주막(酒幕)으로 되 돌아와 살펴보니 개는 과연 사나운 모습을 하고 있었습니다.
자신이 키우는 개인지라 사납다는 생각을 못 했으나, 남들이 본다면 분명 사나운 모습이었습니다.
그 개를 없애자, 손님이 늘고 장사가 다시 잘 되었다고 합니다.
주인은 자신에게는 늘 꼬리치는
그 개가 사나운지 몰랐지만,
마을 사람들에겐 두려움의 대상이었던 것입니다.
한비자의 이런 비유는 나라에도 주인에게만 꼬리치는 사나운 개와 같은 간신(奸臣)들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군주가 간신의 말에 휘둘리는 존재가 되지 않으려면, 술집의 개 같은 신하를 잘 가려 솎아내야 합니다.
사나운 개 같은 신하가 활개를 칠 때, 군주는 그저 자리만 잃는 것이 아니라, 국가도 잃고 목숨마저 위태(危殆)롭게 됩니다
군주가 아무리 어진 신하를 두려해도 조정(朝廷)에 간신배가 들 끓으면
어진 신하는, 그 견제(牽制)를 견디지 못하고 결국 군주 곁을
떠날 수밖에 없음을 설명하려
한 것입니다.
어느 나라든, 단체든 모든 조직의 리더들은 반드시 자신의 주변(周邊)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조직의 지도자에게 꼭 필요한 말입니다
리더 곁에 있는 사람이 사나운 개와같다면, 오히려 현명(賢明)한 사람이 오려는 것을 막거나 떠나게
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 한비자의 구맹주산 -
참고 -
* 城狐社鼠(성호사서)
성곽에 굴을 파고 사는 여우와
사당에 굴을 파고 사는 쥐.
즉 임금곁의 간신배나, 권력에 빌붙어 나쁜짓을 저지르는 정부관리(政府官吏)
* 酒狗社鼠(주구사서)
술집에서 기르는 사나운 개와
사당에 굴을 파고 숨어사는 쥐
즉 임금곁에서 충신들을 해치는 부패(腐敗)하고 당동벌이(黨同伐異) 하는 간신을 비유
'가져온 글'
첫댓글
구맹주산...감사합니다.
좋은 글 배우고 갑니다.
수고하셨습니다.
구맹주산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감사 드립니다
좋은글 잘보고 깨우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