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끄럽지만 저의 수필집이 출간하였기에 소개해 올립니다~^^
책소개
윤희순 작가의 수필집. 저자의 삶이자 함께한 가족과 이웃의 따뜻한 이야기를 엮었다. 비 그림자의 꽁무니를 따라나서고, 낮은 바람에도 엎드릴 줄 아는 저자의 아름다운 문장은 읽는 이의 마음까지 데워준다.
목차
제1부 담장에서 그림자를 만나다
바람꽃
담장에서 그림자를 만나다
녹아든 세월
이끼
시
카펫
호흡
사월
제2부 흙길을 돌고 돌아서
도래샘
고금古今
신발
기억을 새기다
약초를 달이며
가시버시
짐
길
목소리
제3부 푸른빛이 나는 속
서리태
네 잎 클로버
소띠 남편
두꺼비
국수
산책
강낭콩
쌍둥이 편지
제4부 손꼽아 보는 시간
손님
김밥집
그림을 만나다
옥탑방 온정
그때 그 우물
비 오는 날
서영이
동양자수 서양자수
저 : 윤희순
부산에서 파도 소리와 갈매기 소리에 익숙한 아이로 자랐다. 2007년 《대구문학》 신인상으로 등단해 2011년에 대교 눈높이 아동문학대전에서 동시 부문 대상, 2015년에 《월간문학》 수필 부문 신인 작품상, 2020년 동화 부문 신인 작품상을 수상했다. 동시집 『드디어 셋이 만났다』를 썼다. 2021년 우수출판콘텐츠 선정작 동시집 『앵무새는 귀가 필요해』를 발간했다. 현재 아이들과 함께 상상력과 꿈을 잃지 않는 글쓰기를 이어가면서 창작의 즐거움을 놓치지 않고 있다.
책 속으로
“오늘 자고 나면 또 언제 올래?” 침묵을 감지하셨는지 다시 또 올 것을 물으신다. 만날 때마다 하시는 말이 여느 때와 달리 허망하게 귓전을 울린다. 자식에 대한 어머니의 그리움은 바닥이 보이지 않는 우물 같은 것인지, 이리도 아슬아슬한 고비 길에서도 생각나는 것이 자식뿐인지, 힘이 들어간 목을 짓누르며 침을 삼킨다. 나는 오래 기억되는 밤이 될 것 같아 잠을 청하지 못하고 있다. 하룻밤의 만리장성이라도 쌓을 요량으로 어머니의 얼굴 어느 한구석도 놓치지 않고 눈에 담고 있다. 얼음장 같은 어머니 손을 이불 속에서 갈무리하듯 비빈다. 나에게 있는 온기를 모두 전할 수만 있다면 무슨 바람이 필요할까.
---「바람꽃」중에서
대저 조급하면서 날렵하여 화를 잘 내는 성질의 남편을 상황에 딱 맞게 맞추기란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런 아들에게 남편은 자신의 성격을 잘 파악하고 견딘다면 사회생활도 잘 할 수 있을 거라는 변명을 아들의 칭찬처럼 했다. 자식을 힘들게 해서 마음 아프지 않은 부모가 어디 있으랴마는 속내는 자식에 대한 사랑이 넘쳤다는 것을 아들은 감지했을 것이다 주방을 통해 남편의 모습을 훔쳐보면서 표정을 살핀다. 운동화 안쪽과 바깥쪽을 속속히 잔솔질을 한다. 젖은 신발을 이리저리 돌려가며 하얗게 될 때까지 문지르는 남편의 마음에 어떤 생각이 들어 있을까? 평소 아들에게 효도 받으며 살았다고 생각하던 아비의 표현일까. 더 탄탄하게 걷고 있는 가멸찬 모습이 대견하여 말로써 표현하지 못한 쑥스러움을 저리도 구정물에 맨손 적시는 걸까? 남편을 측은하게 바라보았던 마음과 달리 아들에 대한 남편의 애정이 고마워진다.
---「신발」중에서
옷장 서랍을 뒤적인다. 세월을 거스르고 묵은 종이 냄새를 훅, 풍기며 누워있는 물건 하나를 집어낸다. 결혼 전 남편이 들고 와 어머니 앞에 내밀었던 사주단자이다. 한지로 겹겹이 말아놓은 두툼한 봉투가 생소한 것은 아닌데. 오랫동안 무심히 잊고 있었다. 결혼 후 나보고 보관하라고 어머니가 주신 것을 장롱 서랍 속에 묻어 두었다. (중략) 사성四星이라고 쓴 봉투를 열어 보니 “辛丑生五月初十日生”이라 적혀 있다. 나는 순간 피식 웃음이 났다. 소띠, 제대로 기록되어 있다. 결혼 말이 오고 갈 때 남편은 쥐띠라며 한 살을 높였다. 맞선을 볼 때부터 나보다 두 살 많은 쥐띠로 소개받았다. 어머니는 두 살 차이라야 궁합이 맞는다고 중매자에 언질을 놓았기에 아마 남편보다는 중매자 의도가 더 컸으리라 생각된다. 그렇게 나는 십여 년을 두 살 많은 남편으로 알고 살았다. 나이 한 살 정도 잘못 알고 사는 것이 뭐 그리 대수일까마는 내가 알고 있는 남편의 성품으로 볼 때 한마디라도 거짓이 섞인 말은 못 하는 사람이라 여겼다. 그러기에 내게 맞는 배필이 되려고 거짓말했나 싶어 웃음이 났다. 세월이 깊어질수록 내가 어느새 소의 울음과 두 눈에 고인 눈물을 읽게 된 것일까.
---「소띠 남편」중에서
“우리 두꺼비!” 두꺼비가 풍기는 이미지가 그리 나쁘지 않기에 아버지는 내 이름 대신 부르지 않았을까. 느리게 기어가는 두꺼비를 보면서 아버지의 모습도 함께 아른거린다. 어둠이 내리기를 틈타 살짝 나왔다가 사라지는 두꺼비가 오히려 아버지와 닮았다고 생각했다. 두꺼비는 나무 아래나 돌무지에서 지내다가 어두워지면 활동을 한다. 사람들의 눈에도 쉽게 발견되지 않는다. 그만큼 남에게 해를 입히지도 않는다는 뜻일 것이다. 아버지는 어질다는 표현이 어울리는 분이셨다. 남의 상처는 내 것처럼 아파하고 자신의 상처는 그냥 묻어버리는 분이셨다. 날마다 약을 드시면서도 어디가 아파서 먹는다는 말 한마디 하지 않으셨다. 자신의 무능력으로 가족을 고생시킨다는 자책감에 목소리도 죽이고 사셨다. 말수가 적고 크게 웃지 않으시는 아버지의 심정을 그때는 몰랐다.
---「두꺼비」중에서
이르게 결혼한 딸이 새해 친정 나들이라는 명분으로 방문했다. 대학을 타지에서 다녔으니 딸의 아침을 챙기는 일은 고등학생 때의 추억을 소환하는 일이다. 설렘을 동반한 회심에 찬 식사를 차려놓고 슬며시 잠자고 있는 딸의 방을 들어갔다. 예전처럼 고운 두 발을 곰지락거리며 자는 모습이 귀엽다. 그 발을 한겨울에도 이불 밖으로 내놓고 자는 버릇이 있다. 내 발이 큰 편이어서 그런지 딸의 발은 유난히 작아 보인다. 숨길 수 없는 습관이 발동했다. 옛 기억을 떠올리며 살며시 발을 주물렀다. 언제나 그렇게 아침을 깨웠기에. 사람에게서는 발만 보아도 그 사람의 성격이나 생활을 엿볼 수 있는 것 같다. 딸아이의 발을 보면서 성격을 세밀히 짚어 본다. 속내를 잘 드러내지 않고 묵묵히 할 일을 하는 처연함이 어느 척박한 땅에서도 뿌리를 내리며 꽃을 피우는 들국화를 생각하게 한다. 딸에게서는 언제나 국화꽃 향기가 났다. 발을 주무르며 국화 향기를 맡을 수 있다니 나 같은 팔불출이나 해명할 수 있을 일이다.
---「그림을 만나다」중에서
지금 생각해 보면 어린아이 둘을 데리고 바동대는 새댁이 뭐가 그리 철이 들었을까. 모르는 것이 태반이었을 텐데 아줌마는 그저 나만 보면 막냇동생 바라보듯 다독여 주셨다. 옥수수를 찜솥 가득 푹 삶아내는 넉넉함을 배웠고, 시골 마당처럼 옥상 전체에 배추와 무를 널어놓고 김치 담그는 법을 배웠다. 주부한테 가장 어려운 전통 장 담그기, 고추장, 김장 등을 모두 아줌마에게서 배웠다. 달리 이웃이 없던 나는 남편이 출근만 하면 친정집 찾아가듯이 쪼르르 계단을 내려 4층에 갔다. 지난밤에 있었던 사건을 시시콜콜 아줌마에게 보고하였다. 잘한다 하면 더 잘하고 싶어 하는 본성이 나에게는 있어서 그런지 날마다 칭찬해 주는 아줌마앞에서는 뭐든지 잘하고 싶었다. 정말이지 내가 뭐든지 잘하는 사람인 것 같았다.
불볕더위의 열기로 가득한 옥상에 물을 뿌려 식혀놓고 거기에 돗자리를 깔고 누워 별을 바라보며 아이들과 별 나누기를 했다. 그 기억은 도심에서 평생을 자란 나에겐 더없이 아름다운 기억이다. 옥상 가장자리에 아저씨는 흙을 퍼 올려 작은 화단을 만들었다. 갖은 꽃들을 심고 가꾸라고 했다. 서툰 나는 바라만 보았지 결국은 아저씨의 손길로 해바라기가 자랐고 보라 꽃을 피운 도라지가 자랐다. 나는 해바라기가 해님의 얼굴을 따라가며 부끄러워 고개 숙이고 도라지가 2년 이상이 지나야 비로소 먹을 수 있는 뿌리가 생긴다는 것을 그때 알게 되었다. 달구어진 방 안에서 잠시도 견디기 어려운 상황이라 그해 여름날 잠 못 이루는 밤은 옥상에서 나날을 보냈다. 그러나 아이들에게는 즐거운 놀이터였다. 낮에는 바람을 불어넣고 만드는 대형 풀장에서 온종일 물놀이를 했다. 두발자전거도 마음대로 탔고, 마당같이 넓은 옥상은 온통 우리 차지였다. 남의 집에 세들어 살면서 이리도 자유로울 수 있었을까.
---「옥탑방 온정」중에서
출판사 리뷰
머리말
비슷한 풍경도 가끔 시선을 바꾸면 분명 다르게 보입니다. 변하든지 변하지 않든지 갈등은 일고 심오한 무게가 다르겠지요. 그것이 마음이라 생각합니다. 마음으로 깨달아 행복을 느끼는 무게는 스스로 만드는 것입니다. 인생에도 끝이 있고 결과가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러기에 보여주지 않고 보이기, 말해주지 않고 말하기, 그려주지 않고 그리는 모순적인 형상을 쫓아온 것 같습니다. 장면 하나로는 불가능한 서사가 있는 삶, 종내는 그렇게 살고자 한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제가 다짐할 수 있는 일 중에 가장 쉬운 것은 모든 것에 감사한 마음으로 살아가는 것입니다. 지난 삶에 대해 보상받는 방법이기도 하니까요. 걸어온 길이 아쉬움은 있어도 부끄럽지 않다면 잘 걸어온 것이겠지요. 그래서 더욱 안전하게 잘 걸어가려 합니다. 마음속에 흐르는 강이 있기 때문입니다.
마음속에 강이 있어
흘려도 흘려도 남아 있는 눈물은
가두지 않는 이야기가 되어
삶의 기억은 때로 반성이 되고 때로 내실을 다지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홀로 사는 인생은 없다. 윤희순 작가의 첫 수필집 『누구나 마음속에 흐르는 강이 있어』는 저자의 삶이자 함께한 이들의 이야기이다. 사이사이 시를 수록해 보다 진솔한 감정을 드러낸다.
“깊은 우물 들여다보듯/ 살아가라고 하셨지만/ 얕은 물에서 허우적거리다/ 물을 흐릴 때가 있습니다./ 바람이 고개를 쳐들고/ 일상을 침범해 오는 날/ 바람 곁에서도 꽃을 피우는/ 나무를 바라보며/ 다시 당신의 숨결을 느낍니다.”(시 「엄마」 중에서)
아버지의 잦은 사업 부도로 인해 유조선 청소를 하던 어머니의 끊이지 않았던 한숨 소리를 기억한다.(「바람꽃」) 비록 낡았을지라도 자국이 선명하도록 힘주어 다려 입은 아버지의 정갈한 옷도 떠오른다.(「담장에서 그림자를 만나다」) 때론 자식을 통해 부모를 떠올리며 위아래로 짐을 지고 사는 위치를 각인시킨다.
남편, 자식들과의 소소한 추억(「신발」, 「산책」, 「그림을 만나다」 등)으로는 자식을 통해 성숙한 부모가 되어가는 과정을 담았다. 더 나아가 신혼 시절 인심을 전해 받은 주인집 부부(「옥탑방 온정」)와 풋풋함으로 삶을 고뇌하던 어린 시절 친구(「비 오는 날」), 웃음을 가르쳐주는 학생(「서영이」) 등의 관계로 모가 난 부분이 닳아 둥글어지기까지 혼자가 아니었음을 보여준다.
저자는 누구나 마음속에 흐르는 강이 있다고 말한다. 유속이 빠른지 느린지에 따라 부유물이 퇴적되는 양도 다르고, 강물이 맑은지 탁한지에 따라 노니는 물고기의 종류도 다르다. 우리네 삶이 바로 그렇다는 것이다. 더 깊은 강으로 흐르기 위해서 작은 물줄기로 시작한다. 미숙했던 지난날의 추억에 공감하다 보면 독자들의 마음속에도 흐르는 강이 느껴질 것이다.
첫댓글 동시. 동화. 수필.
징검돌 하나하나 건너
시냇물을 건너요~
우왕! 축하드려요^^
감사합니다~^^
선생님~
책 보내드리려니
주소가 사라졌어요.ㅠ
@소심 아! 감사합니다^^
경남 밀양시 밀양대로1755. 101동 210호 (삼문동. 제일훼미리)
010-2478-3956
이현정
@귤향 네~이현정님
오늘 발송할게요~^^
소심님, 축하드려요.
아쉬움은 있지만 부끄럽지 않게 걸어온 길
앞으로는 영광스러운 길이 되길 응원하겠습니다.
'누구나 마음 속에 흐르는 강이 있어' 대박 나시길.....
어머나^^
고맙습니다~^^
와~소심님 넘나 축하드려요 대박나시길 바래요~^^
은영샘 감사합니다.
책 수령하면 보내드릴게요~^^.
@소심 어머~ 감사해요~^^
잘 읽을게요~
오~~, 소심샘,
수필집 출간, 축하드려요~~☆☆☆
고맙습니다 선생님~^^
늦엇지만 축하드립니다. ^^ 스테디셀러가 되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