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제 달러대비 원화환율이 미연준의 금리인하로 1,450원선을 돌파했습니다.
이코노미스트들은 미국연준의 완화속도둔화, 국채수익율 상승으로 1,500원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외환당국은 국미연금과 통화스와프한도를 150억달러 늘리고 스트레스완충자본시행을 내년말로 연기했습니다.
환율에 직접영향을 받는 유가와 수입상품의 가격상승이 걱정됩니다.
Won falls in value to 15-year low on hawkish Fed cut, strong dollar
매파적 연준의 금리인하와 달러 강세로 원화 가치가 15년 만에 최저치로 하락
By Lee Kyung-min 이경민 기자
Posted : 2024-12-19 16:51 Updated : 2024-12-19 19:56
Korea Times
BOK faces daunting rate dynamics amid slower US easing path
미국의 완화경로가 느려지는 가운데 한국은행은 어려운 금리역학에 직면
The Korean currency sank to below 1,450 won against the U.S. dollar, buffeted by market expectation of a sustained strength in the U.S. currency after the U.S. Federal Reserve (Fed) delivered a hawkish 25 basis point cut, market watchers said Thursday.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매파적인 25bp 인하를 단행한 후 미국통화의 지속적인 강세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에 힘입어 한국 통화는 미국달러 대비 1,450원 아래로 떨어졌다고 시장 전문가들이 목요일 밝혔다.
Some say the Korean currency could plunge further to 1,500 won, weakened by slowing pace of Fed easing, the resulting dominance of the global reserve currency and upticks in U.S. Treasury yields.
일부 사람들은 연준의 완화 속도 둔화, 글로벌 준비 통화의 지배력, 그리고 미국 국채수익률 상승으로 인해 한국 통화가 1,500원까지 더 급락할 수 있다고 말한다.
According to the financial market data, the Korean won opened at 1,453.0 won, 17.5 won weaker from the previous session. It closed at 1,451.9 won against the dollar.
금융시장 데이터에 따르면 원화는 전장 대비 17.5원 하락한 1,453.0원에 개장했다. 달러 대비 1,451.9원으로 마감했다.
This was the first time for the rate to surpass 1,450 won since March 2009 when the country was at the height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이는 글로벌 금융 위기가 한창이던 2009년 3월 이후 처음으로 1,450원을 돌파한 것이다.
Thursday’s development surpassed the 2022 short-term market dislocation whereby the currency sank to 1,444.2 won in the midst of Legoland liquidity crunch.
목요일의 상승세는 레고랜드 유동성 경색 속에서 통화가 1,444.2원까지 하락했던 2022년 단기 시장 혼란을 넘어섰다.
The 1,450 won is a further loss in value since the overnight plunge of 1,444 won early this month, hours after President Yoon Suk Yeol’s martial law declaration.
1,450원은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 몇 시간 후인 이달 초 밤사이 1,444원이 급락한 이후 가치가 추가로 하락한 것이다.
“The currency is likely to sink further,” said Standard Chartered Bank Korea senior investment strategist Hong Dong-hee.
"통화는 더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라고 한국 스탠다드차타드 은행의 홍동희 수석 투자 전략가가 말했다.
“The Fed easing path was essentially the only factor largely insulated from wild market speculations. However, the overnight decision sent waves of adjustments in expectations," he said, pointing to the Fed chair expressing cautious approach toward further pace of easing.
"연준 완화경로는 본질적으로 야생 시장의 추측으로부터 크게 격리된 유일한 요인이었다. 그러나 하룻밤 사이의 결정으로 인해 기대치에 조정의 물결이 일었다."라고 그는 말하며 연준의장이 추가 완화속도에 대한 신중한 접근 방식을 표명했다고 지적했다.
“I think we're in a good place, but I think from here it's a new phase and we're going to be cautious about further cuts," Jerome Powell said at a press conference after the Fed's two-day policy meeting, Thursday, (local time).
제롬 파월 의장은 목요일(현지시간) 이틀간의 연준 정책 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좋은 상황에 있다고 생각하지만, 지금부터는 새로운 국면이라고 생각하며 추가인하에 대해 신중을 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The hawkish tone upended market consensus that the policy easing will have a total of 100 basis point cut throughout next year.
매파적인 어조는 정책 완화가 내년에 총 100 베이시스 포인트 인하될 것이라는 시장의 컨센서스를 뒤집었다.
The Bank of Korea's (BOK) will face daunting rate choices at the January monetary policy board meeting, complicated by the currency market developments emerging as a detterant to further rapid easing, depiste weak domestic spending and tempered inflation.
한국은행은 1월 통화정책위원회 회의에서 통화시장 발전이 추가적인 급격한 완화를 저해하고, 국내 소비약세를 억제하며, 인플레이션을 완화하는 등 어려운 금리 선택에 직면할 것이다.
Further propelling the pessimism are greater dollar demands depreciating the Korean won, illustrative of waning overall investor sentiment brought on and amplified by President Yoon Suk Yeol’s botched attempt to declare martial law.
비관론을 더욱 부추기는 요인은 원화 가치 하락에 대한 달러 수요 증가로, 이는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 시도 실패로 인한 전반적인 투자심리 악화를 보여준다.
Also unfavorable are limited government fiscal headroom due to budget cuts. This is unlikely to catalyze prolonged anemic domestic spending amid dimming prospects for the country’s economy with export growth losing steam.
또한 예산 삭감으로 인한 정부 재정 여력이 제한적이라는 점도 불리하다. 수출 성장세가 둔화되면서 국내 경제에 대한 전망이 어두워지는 가운데 내수부진이 장기화되는 것을 촉매하지는 못할 것으로 보인다.
Policy priorities of the second Trump administration remains another factor advancing the grim assessment.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 우선순위는 여전히 암울한 평가를 앞당기는 또 다른 요인으로 남아 있다.
“Financial market conditions are exposed to greater-than-thought volatilities. The political uncertainties within the country as well as trade and tariff factors will continue to weigh on the investor risk appetite and behavior," Hong said.
"금융시장 상황은 생각보다 큰 변동성에 노출되어 있다.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과 무역 및 관세 요인은 투자자의 위험 욕구와 행동에 계속 부담을 줄 것이다."라고 홍 수석은 말했다.
Shinhan Bank and KB Kookmin Bank economists say the Korean currency will fluctuate between 1,460 won and 1,470 won against the dollar.
신한은행과 KB국민은행 이코노미스트들은 한국 통화가 달러 대비 1,460원에서 1,470원 사이에서 변동할 것이라고 말한다.
Woori Bank's economist views the won could weaken sharply beyond 1,500 won, coinciding with Trump's inauguration.
우리은행의 이코노미스트들은 트럼프의 취임과 동시에 원화가 1,500원을 넘어서 급격히 약세를 보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Meanwhile, financial authorities have postponed the implementation of a stress buffer capital requirement until the second half of next year, as part of wider efforts to assist banks and financial institutions to more effectively manage potential liquidity crises.
한편, 금융당국은 잠재적인 유동성 위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은행과 금융 기관을 지원하기 위한 광범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스트레스 완충 자본요건의 시행을 내년 하반기로 연기했다.
A stress buffer capital requirement refers to extra cash that banks must possess to withstand economic downturns or financial crises.
스트레스 완충 자본요건은 경제 침체나 금융 위기를 견디기 위해 은행이 보유해야 하는 추가 현금을 의미한다.
Foreign exchange authorities and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have also agreed to increase the ceiling for the currency swap arrangement by $15 billion, to help stabilize the foreign exchange market.
외환당국과 국민연금공단은 외환시장 안정을 위해 통화 스와프한도를 150억 달러 늘리기로 합의했다.
The main KOSPI bourse ended at 2,435.93 points, down 1.95 percent from the previous session.
코스피 주요 거래소는 전 세션 대비 1.95% 하락한 2,435.93포인트로 마감했다.
#HawkishFed매파적연준 #CurrencyDepreciation통화가치하락 #TreasuryYields국채 수익률 #StressBufferCapitalRequirement스트레스완충자본요건 #ForeignExchangeMarketStabilization외환시장안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