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를 막어감에 따라 건망증이나 치매 그리고 인지 장애란 말은 가끔 들어봤어도
경도 인지 장애란 말은 처음 들어본다.
대한치매학회가 18세 이상 남녀 1,006명을 대상으로 경도인지장애에 대한 대국민 인식 조사를 시행한 결과, ‘경도인지장애라는 용어를 지금까지 들어본 적이 없다’는 응답이 58%에 달했다고 한다.
또한 경도인지장애가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중요한 시기인지 전혀 알지 못하는 응답자가 73% 였으며, 경도인지장애 진단을 위해 검사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는 응답은 12%에 그쳤다고 한다.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는 치매라고 할 수 없지만 인지 기능 검사에서 같은 나이, 같은 교육 수준, 같은 성별의 정상인보다 인지 기능이 떨어진 상태를 말한다. 대한치매학회에 따르면 경도인지장애 환자는 254만 명이다(2021년 기준). 또 65세 이상에서 노인성 치매(알츠하이머병) 환자는 67만 명이다. 경도인지장애 진단을 받은 환자의 10~15%가 매년 치매로 진행되는 점을 고려하면 조기 발견ㆍ치료가 매우 중요한 셈이다. 경도인지장애 환자가 치매로 이환되는 비율은 65세 이상 정상 성인의 일반적인 치매 발생율 대비 5~15배 가량 높다고 한다.
양동원 대한치매학회 이사장(서울성모병원 신경과 교수)은 “우리나라는 급격한 고령화 추세 속에 65세 이상 알츠하이머병 환자가 10년 새 3.2배로 급증했다”며 “알츠하이머병으로 악화할 수 있는 경도인지장애 인식 수준을 높여야만 적극적인 치매 예방ㆍ치료로 이어질 수 있다”고 했다. 치매는 한 번 발생하면 환자의 상태를 이전으로 되돌릴 수 없는 질환이기 때문에, 아직 치매가 발생하기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를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은 치매 환자 발생 감소에 매우 중요하다고 한다. 안타깝게도 치매는 아직 완치 가능한 치료제가 없다고 한다. 그러므로 가능한 조기에 발견해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