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셀트리온헬스케어는 화이자와 램시마의 미국 11월 출시를 확정했다고 18일 밝혔다. 화이자는 램시마(미국 판매명 인플렉트라)의 미국 시장 독점 유통 협력사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지난 4월 램시마의 미 식품의약국(FDA) 시판 승인 이후, 화이자와 미국 판매전략에 대한 협의를 지속해 왔다. 양사는 세계 최대 바이오의약품 시장인 미국의 현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시장용 초도물량을 지난 8월부터 출하하기 시작했다.
미국 의약품 시장은 공공보험과 사보험으로 시장이 양분돼 있다. 의약품 공시가격은 존재하나 사보험 시장의 경우 보험사와 병원 사이에 약가 협의가 필요하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화이자의 강력한 시장 경쟁력이 램시마 약가 협상 과정에서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램시마가 미국에서만 5조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한 오리지널 제품을포함해, 같은 적응증을 대상으로 하는 다른 'TNF-알파' 억제제 시장에도 침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자가면역질환치료제인 TNF-알파 억제재의 세계 시장 규모는 약 35조원 규모로 추산된다. 이 중 미국 시장은 20조원 규모고, 이 시장을 레미케이드 휴미라 엔브렐 등이 분점하고 있다.
사보험 시장이 큰 미국 보건의료체제에서는 환자와 보험사들의 의료비 부담을 절감시킬 수 있는 바이오시밀러도입에 대한 요구가 큰 상황이란 설명이다.
사보험사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미국의 양대 의약품급여관리자(PBM) 중 하나인 CVS 헬스는 내년 보험급여 목록에 바이오시밀러 작시오와 바사글라를 추가하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미국 1위 건강보험회사인 유아니티드헬스도2017년 보험급여 목록에서 고비용 오리지널의약품을 제외하고 바이오시밀러로 대체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셀트리온(068270)-약가인하 정책과 tpp수혜 전망
미국이 최초로 바이오시밀러 ‘뉴포젠’에대한 승인 권고를 내렸고 지 미국 화이자가 복제약 전문업체 호스피라를 인수하면서 미국시장에 바이오시밀러 도입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면서 급등세를 타고 있다.
램시마 해외 판권을 보유한 호스피라가 최근 미국 화이자에 인수되면서 화이자 영업망을 통해 램시마를 판매할 수 있게 돼 매출 확대도 기대된다
인천 연수구 아카데미로 23
최대주주:셀트리온 홀딩스(20%) 아이온 인베스트(15%)
대표이사:서정진 제물포고등학교 건국대 졸업
*요약재무제표
사상최대 매출액과 영업이익 달성기대고조 수익성도 회복세로 전환중에 있다. 부채비율은 70%대이며 차입금 의존도는 36을 기록중이다. |
@요약—사상최대 수익과 바이오시밀러 성장의 한해
15년 부터 주요 항체 의약품들의 선진국 특허가 만료되기 시작한다.
본격적인 항체 바이오시밀러(복제약) 시대가 시작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래 생산설비를 보유하고 있다. 램시마 해외 판권을 보유한 호스피라가 최근 미국 화이자에 인수되면서 화이자 영업망을 통해 램시마를 판매할 수 있게 돼 매출 확대도 기대된다 호스피라는 미국 최대 복제약 판매 회사로 연간 매출액만 4조원에 달한다. 화이자가 호스피라를 인수하면서 이 같은 계약조건의 상대방이 화이자로 바뀌게 됐다. 화이자의 지난해 매출은 490억달러로 호스피라보다 10배 이상 많다.
|
@사업내용
생명공학기술 및 동물세포대량배양기술(mammalian cell-culture technology)을 기반으로 항암제 등 각종 단백질 치료제(therapeutic proteins)를 개발, 생산하고 있다.
단백질 의약품 개발 및 생산을 위한 기반기술 및 미국 FDA 등, 선진국 기준의 인증 설비를 통하여,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유한 종합 생명공학회사로 성장하였고 명실상부 바이오시밀러의 1위 기업으로 등극했다.
1)바이오시밀러 사업
셀트리온은 바이오시밀러 제품개발기술에 있어서 세계 최고 수준의 개발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생산설비 규모에 있어서 아시아 최대 규모인 140,000L의 동물세포배양 단백질의약품 생산설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향후 제품 수요에 따라 추가 90,000L 의 설비증설을 계획하고 있다.
바이오시밀러란?
사람이나 다른 생물체에서 유래된 세포·조직·호르몬 등의 유효물질을 이용하여 유전자재조합 또는 세포배양기술을 통해 분자생물학적 기법으로 개발한 의약품인 바이오의약품(생물의약품; 생물학적제제·유전자재조합의약품·세포배양의약품·세포치료제·유전자치료제 등)의 복제약(특허가 만료된 오리지널 의약품을 모방하여 만든 약품)을 뜻하는 말이다.
동등생물의약품 또는 FOB(follow-on biologics)라고도 한다. 바이오시밀러(biosimilar; 바이오의약품의 복제약)는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과 동등한 품목·품질을 지니며, 비임상·임상적 비교동등성이 입증된 의약품이다.
화학 합성의약품 복제약(제네릭, generic)의 경우 오리지널 약품의 화학식만 알면 쉽게 만들 수 있고, 화학반응에 이변이 없어 오리지널 의약품의 공정과 똑같이 생산된다.
반면 살아있는 단백질 세포 등을 이용하여 만드는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아무리 염기서열이 동일한 의약품을 개발하려 해도 구조적 복잡성으로 인하여 특성 분석이 어렵고, 배양배지·배양온도·배양크기에 따라 매우 민감하여 오리지널 약품과 똑같은 복제약을 제조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단지 유사한(similar) 복제약을 개발할 수 있을 뿐이다.
또 합성의약품 복제약을 개발할 때에는 임상시험이 생략되지만 바이오시밀러의 경우에는 비임상·임상시험에 통과해야 한다.
2006년 현재 세계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약 707억 달러 규모이며, 시장성장률은 전통 의약품 시장의 두 배에 이른다. 바이오의약품이 너무 고가여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 상대적으로 저렴한 바이오시밀러가 주목받았고, 많은 바이오의약품들이 2012년 이후 줄줄이 특허만료에 들어가게 되자 바이오시밀러 개발경쟁에 불이 붙었다.
US Generic Pharmaceutical Association (GPhA)에 따르면, 기존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의 특허 만료 규모가 향후 8년간 약 31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바이오시밀러 시장은 신규 지역으로의 시장 확대 및 특허 만료 지역에서의 시장 침투 등을 통하여 급격히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셀트리온의 렘시마
아래 사진이 램시마 이다.
세계최초 항체 바이오시밀러...
류마티스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궤양성 대장염, 성인 크론병, 소아 크론병, 건선, 건선성 관절염에 사용된다.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및 유방암 치료제에 대한 글로벌 임상시험을 2011년 종료하였다. 이 중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제품명: 램시마)는 전세계 약 900여명을 대상으로 한 비교임상 결과 효능 및 안전성 측면에서 오리지널 제품과 동등하다는 것이 입증되어 지난 2012년 7월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처(MFDS)로부터 제품 허가를 받았다.
또한 2013년 6월 유럽의약청(EMA, European Medicines Agency)으로 부터 항체 바이오시밀러로는 세계 최초로 오리지널 제품과 동일한 적응증으로 만장일치 허가의견을 획득하였고, 뒤이어 2013년 8월 말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 European Commission)로부터 최종 판매허가를 득하였다.
글로벌 임상결과를 근거로 글로벌 수준의 의약품 규제기관으로부터 제품 허가를 획득한 세계 최초의 항체 바이오시밀러로서, 전세계 항체 바이오시밀러 시장의 개막을 알리는 신호탄이며 셀트리온이 세계 바이오시밀러 시장의 선도기업임을 입증한 사례로 평가되고 있다.
*후속 제품으로 유방암 치료제 CT-P6의 허가절차 및 출시준비를 진행하고 있으며, 한국 식약처로부터 2014년 1월 승인을 획득하였다.
2)항체신약 개발
각종 유행성, 계절성 인플루엔자에 모두 효과를 보이는 종합 인플루엔자 항체치료제인 CT-P27을 미국 질병통제센터(CDC)와 함께 개발중이며 시험관(in-vitro) 실험과 동물실험에서 지난 수십 년간 발생한 유행성 및 계절성 바이러스, 인간에게 전염된 적이 있는 조류매개 인플루엔자 대부분(H1, H2, H3, H5, H7 및 H9)에 대해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3)단백질 의약품 계약생산 사업
셀트리온은 전문적인 공정개발기술 및 양산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단백질 의약품의 임상 및 양산을 위한 공정개발 서비스, 임상실험을 위한 임상물질 생산/공급 및 판매허가를 받은 의약품의 핵심원료를 생산, 공급하고 있다.
단백질 의약품 계약생산은 자체 생산설비와 생산기술 및 품질관리 기술, 노하우(know-how)를 통해 단백질 의약품을 대행 생산하는 사업을 의미합니다.
단백질 의약품 계약생산사업을 위해서는 호르몬, 항체, 백신 및 생체 기능성 단백질을 다양한 세포에서 대량생산, 추출하여 의약품을 생산하는 생명공학 기술이 요구되며, 대규모 투자를 수반하는 양산설비와 엄격한 품질관리 능력이 필요합니다.주요 제품 등의 현황 (연결 기준)
(기준일: 2014.09.30) | (단위: 백만원, %) |
사업부문 | 매출유형 | 품목 | 매출액 | 비율 |
---|---|---|---|---|
바이오의약품 | 제품 | 바이오의약품 등 | 308,651 | 83.15% |
용역 | 제품관련 서비스 등 | 12,405 | 3.34% | |
소계 | 321,056 | |||
케미컬의약품 | 제품 | 케미컬의약품 등 | 33,296 | 8.97% |
상품 | 바이오 및 케미컬의약품 등 | 15,952 | 4.30% | |
소계 | 49,248 | |||
기타 | 제품 및 상품 | 기타 | 883 | 0.24% |
소계 | 883 | |||
합계 | 371,187 | 100.00% |
@관계사 현황
A&G Pharmaceutical, Inc(16%)
애틀투자증권중개(7%)
바이오톡스텍(12%)
셀트리온제약(32%)
@투자참고사항
첫댓글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 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