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청소년 정책에 대한 진단과 새로운 정책제안을 위해 4일 마련된 ‘청소년 정책 주민토론회’에서, 청소년들이 진로교육, 청소년 시설 프로그램에 대한 홍보 등에 대한 의견을 개진하고 있다. |
생활권 수련시설 2개소뿐 진로교육·시설확충 요구 관련 기관 네트워킹 제안
여성복지주민참여단이 주최한 청소년 정책 주민토론회가 4일 일산동구청에서 개최됐다.
고양시 청소년 정책 현황진단과 정책제안을 위해 마련된 이날 토론회는 고양시의원, 아동청소년과, 청소년 관련단체 등이 참여한 가운데 3시간 가까이 진행됐다.
토론자들은 공통적으로 고양시 청소년 인구수에 대비해 청소년복지문화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발제를 맡은 맹두열 일산종합사회복지관 부장은 “고양시 생활권 수련시설은 총 2개소로 전국의 0.5%, 경기도의 2.9%에 불과하며 1개시설당 청소년인구수 또한 전국 1만7012명에 비해 4.47배 많은 7만6091명으로 시설확충이 절실하다”고 발표했다.
토론자로 나선 최창의 교육의원 또한 “타 시군(성남 7곳, 부천 5곳, 용인 5곳 등)에 비해 고양시 시설현황이 상대적으로 열악하다”며 “게다가 고양시에 단 1곳인 덕양구 청소년수련관의 경우 청소년들의 생활권과 매우 떨어진 곳에 있어 활용도 및 관심도가 낮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최창의 의원은 청소년 복지문화사업 활성화 방안으로 ▲청소년 체험 복지시설 확대 및 청소년들이 많이 모이는 일산·덕양구 번화가에 진로직업 체험관 설치 ▲덕양구 청소년수련관의 접근성 확대를 위해 셔틀버스 및 야간프로그램 운영 ▲고양중학교 이전부지를 활용한 서울 하자센터와 같은 직업체험시설 건립 등을 제시했다.
진로교육에 대한 의견들도 많았다. 강라혜 학생(서정고)은 “서울의 경우 다양한 프로그램, 포트폴리오 그룹, 연계 동아리 활동을 통해 같은 진로를 꿈꾸는 학생끼리 자주 만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고양시도 이러한 교류의 장을 열어줬으면 한다”는 바람을 전했다.
학부모대표로 나선 박지영 씨는 “형식적이고 지루한 공급자 위주의 진로교육이 아닌 학생들의 특색에 맞춘 수요자 중심의 진로교육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최은아 한국청소년동아리문화연구원장은 “진로교육 등 프로그램들이 청소년들의 요구에 맞춰 특색있게 운영되야 한다”고 지적했으며 아울러 “효율적인 청소년 정책 수립을 위해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관계가 절실하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그밖에 학생패널로 참여한 이승준 학생(저현고)은 “청소년들이 돈 걱정 없이 여가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며 “청소년시설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홍보가 부족해 친구들이 잘 이용을 못하는 것 같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청소년 창의센터에 참여하고 있는 이승희 느티나무도서관장은 대형시설뿐만 아니라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소규모 청소년 이용시설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지역 풀뿌리네트워크의 활용을 통한 공동체 운동이 청소년문제해결의 가장 좋은 해법”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일부에서 논의되고 있는 청소년육성재단 설립 및 청소년시설통합운영방안에 대해 참석자들의 상당수는 “육성재단보다 청소년 관련기관 및 단체들을 네트워킹하는 조직구성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마지막 토론자였던 전민선 고양평화청년회장은 시정참여단의 공식입장으로 ▲관련기관이나 단체들을 위한 네트워크 구성제안 ▲실제 청소년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청소년위원회 설치 ▲청소년정책에 관심 있는 시민들의 현장 목소리를 담아낼 수 있도록 공식적인 참여방법을 통해 시민 참여를 확대할 것 등을 제안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