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생활에 필요한 모든 정보, 인터넷에서 「파인」 두 글자를 쳐보세요 | ||||||
| ||||||
“금융은 튼튼하게, 소비자는 행복하게” | ||||||
| ||||||
| 보 도 자 료 | |||||
보도 | 2020. 7. 2.(목) 조간 | 배포 | 2020. 7. 1.(수) | |||
| ||||||
담당부서 | 자본시장감독국 | 문상석 팀장(3145-7600) 정주영 조사역(3145-7604) |
제 목 : '20.1분기 중 증권회사 파생결합증권 발행·운용 현황
◈’20.1분기 중 코로나19로 글로벌 주요증시가 폭락하면서 파생결합증권 조기상환액(16.5조원)이 직전분기(22.1조원) 대비 큰 폭(25.3%↓)으로 감소하였으며, 또한 증권사의 파생결합증권 발행·운용 손익은 △0.9조원으로 큰 폭 적자 전환 |
I. 파생결합증권 개황
□(개황) ‘20.1분기 중 파생결합증권 발행액은 26.3조원으로 전년 동기(26.1조원) 대비 유사하고, 상환액은 27.5조원으로 전년 동기(23.3조원) 대비 증가(4.2조원↑)
◦다만, ‘19. 4분기 대비 발행액 및 상환액은 각각 동시에 15.7조원(37.4%↓), 16.6조원(37.6%↓) 크게 감소하면서 ’20.3월말 발행잔액은 106.0조원 기록
파생결합증권 발행·상환·잔액 현황
(단위: 조원)
구 분 | ’19.1분기 | ’19.4분기 | ’20.1분기 | ||||||
발행 | 상환 | 잔액 | 발행 | 상환 | 잔액 | 발행 | 상환 | 잔액 | |
ELS | 19.8 | 17.7 | 74.4 | 34.3 | 34.9 | 71.0 | 21.0 | 19.1 | 72.2 |
DLS | 6.3 | 5.6 | 39.3 | 7.7 | 9.2 | 37.2 | 5.3 | 8.4 | 33.8 |
전체 | 26.1 | 23.3 | 113.7 | 42.0 | 44.1 | 108.2 | 26.3 | 27.5 | 106.0 |
* ELS는 ELS·ELB를 통칭, DLS는 DLS·DLB를 통칭(이하 동일)
II. 주가연계증권(ELS·ELB)
1 |
| 발행 현황 |
□(발행액)’20.1분기 중 ELS 발행액은 21.0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조원 증가(6.1%↑)하였으나, 직전 분기 대비 13.3조원 감소(38.8%↓)
◦직전 분기 대비 큰 폭 감소는 퇴직연금의 원금보장형 ELS 편입에 따른 발행*이 ‘19.12월 중 일시적으로 크게 증가한 것에 주로 기인
* ‘19.12월 원금보장형 ELS 발행액 : 14.5조원
◦특히 ’20.3월 중에는 코로나 19로 글로벌 주요증시가 폭락하면서 원금비보장형 ELS*를 중심으로 발행액이 크게 감소
* 원금비보장형 ELS 발행액 : ‘20.1월 6.8조원 → ‘20.2월 7.0조원 → ’20.3월 3.9조원
ELS 유형별 발행 현황
(단위: 조원, %)
구 분 | ’19.1분기 | ’19.4분기 | ’20.1분기 | |||||||
| 공모 | 사모 |
| 공모 | 사모 |
| 공모 | 사모 | ||
발 행 액 | 19.8 | 16.4 | 3.4 | 34.3 | 31.7 | 2.6 | 21.0 | 18.3 | 2.7 | |
(100.0) | (82.8) | (17.2) | (100.0) | (92.5) | (7.5) | (100.0) | (87.4) | (12.6) | ||
| 원금보장형 | 2.5 | 2.2 | 0.3 | 16.2 | 15.7 | 0.5 | 3.4 | 3.1 | 0.2 |
(12.6) | (11.1) | (1.5) | (47.3) | (45.7) | (1.6) | (16.1) | (15.0) | (1.1) | ||
| 원금비보장형 | 17.3 | 14.2 | 3.1 | 18.1 | 16.0 | 2.0 | 17.6 | 15.2 | 2.4 |
(87.4) | (71.7) | (15.7) | (52.7) | (46.8) | (5.9) | (83.9) | (72.4) | (11.5) |
□(발행형태)지수형 ELS 발행액은 18.3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6조원(3.4%↑) 증가하였으나, 전체 중 비중은 87.2%로 2.2%p 감소
◦종목·혼합형 ELS 비중은 전체 중 12.8%(2.7조원)로 전년 동기(10.6%) 대비 2.2%p 증가하였으나, 직전 분기(21.4%) 대비 8.6%p 감소*
*직전 분기 증시 호황으로 증가한 측면이 있으나, 이번 분기에는 코로나 19에 따른 변동성 증가로 전년 동기 수준으로 감소
ELS 기초자산별 발행액
(단위: 조원, %)
연도 | 발행액 | 발행 형태 | ||||||
지수형 | 종목형 | 기타 | ||||||
’19.1분기 | 19.8 | (100.0) | 17.7 | (89.4) | 1.9 | (9.6) | 0.2 | (1.0) |
’19.4분기 | 34.3 | (100.0) | 26.9 | (78.6) | 7.1 | (20.6) | 0.3 | (0.8) |
’20.1분기 | 21.0 | (100.0) | 18.3 | (87.2) | 2.2 | (10.6) | 0.5 | (2.2) |
◦기초자산이 3개 이상인 ELS 발행비중은 80.6%로 전년(81.3%)대비 0.7%p 하락하였으나, 기초자산이 1개인 ELS는 발행 규모 및 비중이 증가(0.5조원↑, 1.6%p↑)
ELS 기초자산 개수별 현황
(단위: 조원, %)
연도 | 발행액 | 기초자산 개수 | ||||||||
1개 | 2개 | 3개 | 4개 | |||||||
’19.1분기 | 19.8 | (100.0) | 2.8 | (14.1) | 0.9 | (4.6) | 15.3 | (77.3) | 0.8 | (4.0) |
’20.1분기 | 21.0 | (100.0) | 3.3 | (15.7) | 0.8 | (3.7) | 16.1 | (76.7) | 0.8 | (3.9) |
□(기초자산 분포)이번 분기 기초자산별 발행액은 EuroStoxx50(14.9조원), S&P500(14.3조원), HSCEI(10.0조원), Nikkie225(6.8조원) 순
◦HSCEI(2.4조원↓), HSI(0.6조원↓), Nikkei225(0.3조원↓) ELS 발행은 감소했으며, S&P500(3.2조원↑), KOSPI200(1.5조원↑), EuroStoxx50(0.1조원↑)은 증가
지수(혼합)형 ELS 기초자산 발행 현황
(단위: 조원, %)
연도 | 지수형 ELS 계 | 지수형 기초자산 | |||||
EuroStoxx50 | HSCEI | S&P500 | Nikkei225 | KOSPI200 | HSI | ||
’19.1분기 | 19.8 | 14.8 | 12.4 | 11.1 | 7.1 | 4.7 | 0.8 |
(100.0) | (74.7) | (62.6) | (56.1) | (35.9) | (23.7) | (4.0) | |
’20.1분기 | 21.0 | 14.9 | 10.0 | 14.3 | 6.8 | 6.2 | 0.2 |
(100.0) | (70.9) | (47.7) | (68.4) | (32.7) | (29.6) | (0.9) |
* 2개 이상의 기초자산을 편입한 ELS의 경우 각각의 기초자산에 포함(중복계산)
□(낙인형)이번 분기 KnockIn형 ELS 발행액은 8.3조원(39.7%)으로 전년 동기 6.7조원(33.8%) 대비 1.6조원(5.9%p↑) 증가
◦저Knock-In형* 상품의 발행규모는 5.7조원(68.1%)으로 전년 동기(4.7조원) 대비 1.0조원 증가하였으나, 비중은 2.0%p 감소
*KnockIn 기준이 발행시점 대비 50% 이하인 상품(낙인 기준↓ → 투자자손실 가능성↓)
낙인 有‧無별 ELS 발행 현황
(단위: 조원, %)
’19.1분기 발행액 |
| ’20.1분기 발행액 |
| ||||||||
Knock-In형 | No | Knock-In형 | No | ||||||||
| 저Knock-In형* |
| 저Knock-In형* | ||||||||
19.8 | (100) | 6.7 | (33.8) | 13.1 | (66.2) | 21.0 | (100) | 8.3 | (39.7) | 12.7 | (60.3) |
|
|
| 4.7(70.1) |
|
|
|
|
| 5.7(68.1) |
|
|
* KnockIn 배리어가 50%인 상품이 5.2조원으로 저KnockIn형 발행액의 91.0%를 차지
□(인수)이번 분기 발행된 ELS는 은행신탁*(11.7조원, 55.7%), 일반공모(5.3조원, 25.2%), 자산운용(1.6조원, 7.8%) 순으로 인수
* 은행신탁 인수비중 : ‘18.1분기 58.6% → ’19.1분기 59.1% → ‘20.1분기 55.7%
ELS 발행 인수자 현황
(단위: 조원, %)
연도 | 총액 | 인수자 | ||||||||||
은행신탁 | 일반공모 | 자산운용 | 퇴직연금 | 기타* | ||||||||
’19.1분기 | 19.8 | (100.0) | 11.7 | (59.1) | 4.2 | (21.2) | 1.9 | (9.6) | 1.1 | (5.6) | 0.9 | (4.5) |
’20.1분기 | 21.0 | (100.0) | 11.7 | (55.7) | 5.3 | (25.2) | 1.6 | (7.8) | 1.4 | (6.5) | 1.0 | (4.8) |
* 기타 : 은행 및 증권사의 고유분, 증권신탁, 보험, 연기금, 일반기업, 기타 사모 등
2 |
| 상환·잔액 현황 |
□(상환액)’20.1분기 중 ELS 상환액은 19.1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조원 증가(7.9%↑)하였으나, 직전 분기 대비 15.8조원 감소(45.3%↓)
◦ 이는 ’20.3월 중 코로나19 등으로 글로벌 주요증시가 동반 폭락하면서 조기상환 규모가 크게 감소*한데 기인
* 조기상환규모 : ‘20.1월 8.4조원 → ‘20.2월 5.9조원 → ‘20.3월 2.3조원
ELS 상환*유형별 현황
(단위: 조원, %)
’19.1분기 | ’19.4분기 | ’20.1분기 | ||||||
합계 | 조기상환 | 만기상환 | 합계 | 조기상환 | 만기상환 | 합계 | 조기상환 | 만기상환 |
17.7 | 15.2 | 2.5 | 34.9 | 22.1 | 12.8 | 19.1 | 16.5 | 2.6 |
(100.0) | (85.9) | (14.1) | (100.0) | (63.2) | (36.8) | (100.0) | (86.5) | (13.5) |
* 해당기간에 상환(중도해지 및 일부상환 제외)된 종목의 총 명목금액
□(발행잔액)’20.3월말 ELS 발행잔액은 72.2조원으로 ’19.3월말(74.4조원) 대비 2.2조원 감소(3.0%↓)하였으나, ‘19년말(71.0조원) 대비 1.2조원 증가(1.7%↑)
◦코로나19에 따른 증시하락에도 ELS 발행잔액은 전분기 대비 소폭 증가
ELS 유형별 발행잔액 현황
(단위: 조원, %)
구 분 | ’19.3월말 | ’19년말 | ’20.3월말 | |||||||
| 공모 | 사모 |
| 공모 | 사모 |
| 공모 | 사모 | ||
발행잔액 | 74.4 | 61.4 | 13.0 | 71.0 | 60.1 | 10.9 | 72.2 | 62.2 | 10.0 | |
(100.0) | (82.5) | (17.5) | (100.0) | (84.6) | (15.4) | (100.0) | (86.1) | (13.9) | ||
| 원금보장형 | 18.4 | 17.2 | 1.2 | 22.8 | 21.2 | 1.6 | 23.2 | 21.7 | 1.5 |
(24.7) | (23.1) | (1.6) | (32.1) | (29.9) | (2.2) | (32.1) | (30.0) | (2.1) | ||
| 원금비보장형 | 56.0 | 44.2 | 11.8 | 48.2 | 38.9 | 9.3 | 49.0 | 40.5 | 8.5 |
(75.3) | (59.4) | (15.9) | (67.9) | (54.7) | (13.2) | (67.9) | (56.1) | (11.8) |
◦지수·혼합형 ELS의 기초자산별 발행잔액은 Eurostoxx50(42.3조원), S&P500(42.9조원), HSCEI(27.2조원), KOSPI200(20.6조원) 순
◦홍콩(HSCEI+HSI)관련 ELS 발행잔액은 전년 동기 44.2조원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이번 분기는 28.4조원(35.7%↓)임
* 홍콩관련 ELS 발행잔액 : ‘19.3월말 44.2조원 → ‘19년말 31.6조원 → ‘20.3월말 28.4조원
지수형 ELS 기초자산 발행잔액 현황
(단위: 조원)
연도 | 기초자산 | |||||
EuroStoxx50 | HSCEI | S&P500 | KOSPI200 | Nikkei225 | HSI | |
’19.3월말 | 47.8 | 41.0 | 32.4 | 29.1 | 18.5 | 3.2 |
’19년말 | 41.4 | 30.3 | 39.8 | 19.9 | 17.9 | 1.3 |
’20.3월말 | 42.3 | 27.2 | 42.9 | 20.6 | 19.1 | 1.2 |
* 2개 이상의 기초자산을 편입한 ELS의 경우 각각의 기초자산에 포함(중복계산)
III. 기타파생결합증권(DLS·DLB)
1 |
| 발행 현황 |
□(발행액)'20.1분기 중 DLS 발행액은 5.3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조원 감소(15.9%↓)하였고, 직전 분기 대비 2.4조원 감소(31.2%↓)
◦원금비보장형(사모)은 1.8조원으로 전년 동기(3.4조원) 대비 1.6조원(46.9%↓) 감소
DLS 유형별 발행 현황
(단위: 조원, %)
구 분 | ’19.1분기 | ’19.4분기 | ’20.1분기 | |||||||
| 공모 | 사모 |
| 공모 | 사모 |
| 공모 | 사모 | ||
발 행 액 | 6.3 | 1.3 | 5.0 | 7.7 | 2.6 | 5.1 | 5.3 | 1.7 | 3.6 | |
(100.0) | (20.6) | (79.4) | (100.0) | (33.5) | (66.5) | (100.0) | (31.7) | (68.3) | ||
| 원금보장형 | 2.2 | 0.6 | 1.6 | 4.1 | 1.6 | 2.5 | 2.6 | 0.7 | 1.8 |
(34.9) | (9.5) | (25.4) | (53.3) | (21.1) | (32.2) | (48.2) | (14.0) | (34.2) | ||
| 원금비보장형 | 4.1 | 0.7 | 3.4 | 3.6 | 1.0 | 2.6 | 2.7 | 0.9 | 1.8 |
(65.1) | (11.1) | (54.0) | (46.7) | (12.4) | (34.3) | (51.8) | (17.7) | (34.1) |
□(기초자산 분포)이번 분기 기초자산별 발행액은 금리(2.2조원), 신용(1.7조원), 주식 및 기타(1.1조원), 환율(0.3조원), 원자재(0.1조원) 순
◦주식 및 기타(0.8조원↓), 금리(0.5조원↓) DLS 발행은 감소했으며, 신용(0.2조원↑), 환율(0.2조원↑), 원자재(0.0조원↑)은 증가
기초자산별 DLS 발행 현황
(단위: 조원, %)
연도 | 총액 |
| ||||
금리 | 신용 | 원자재 | 환율 | 기타* | ||
’19.1분기 | 6.3 | 2.7 | 1.5 | 0.1 | 0.1 | 1.9 |
(100.0) | (42.9) | (23.8) | (1.6) | (1.6) | (30.1) | |
’20.1분기 | 5.3 | 2.2 | 1.7 | 0.1 | 0.3 | 1.1 |
(100.0) | (41.7) | (31.7) | (1.7) | (4.8) | (20.1) |
* 주식 및 성격이 다른 기초자산의 혼합형(KOSPI200, 원자재 동시편입) 등
2 |
| 상환·잔액 현황 |
□(상환액) '20.1분기 중 DLS 상환액은 8.4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조원 증가(50.0%↑)하였으나, 직전 분기 대비 0.8조원(8.7%↓) 감소
DLS 유형별 상환* 현황
(단위: 조원, %)
’19.1분기 | ’19.4분기 | ’20.1분기 | ||||||
합계 | 조기상환 | 만기상환 | 합계 | 조기상환 | 만기상환 | 합계 | 조기상환 | 만기상환 |
5.6 | 3.1 | 2.5 | 9.2 | 4.3 | 4.9 | 8.4 | 4.8 | 3.6 |
(100.0) | (55.4) | (44.6) | (100.0) | (46.6) | (53.4) | (100.0) | (57.6) | (42.4) |
* 해당기간에 상환(중도해지 및 일부상환 제외)된 종목의 총 명목금액
□(발행잔액)’20.3월말 DLS 발행잔액은 33.8조원으로 ’19.3월말(39.3조원) 대비 5.5조원 감소(14.0%↓)했으며, ’19년말(37.2조원) 대비 3.4조원 감소(9.1%↓)
DLS 유형별 발행잔액 현황
(단위: 조원, %)
구 분 | ’19.3월말 | ’19년말 | ’20.3월말 | |||||||
| 공모 | 사모 |
| 공모 | 사모 |
| 공모 | 사모 | ||
발행잔액 | 39.3 | 5.3 | 34.0 | 37.2 | 5.9 | 31.3 | 33.8 | 5.6 | 28.2 | |
(100.0) | (13.5) | (86.5) | (100.0) | (15.8) | (84.2) | (100.0) | (16.6) | (83.4) | ||
| 원금보장형 | 22.3 | 2.7 | 19.6 | 21.1 | 3.0 | 18.1 | 19.3 | 3.0 | 16.3 |
(56.7) | (6.9) | (49.8) | (56.7) | (8.0) | (48.8) | (57.0) | (8.8) | (48.2) | ||
| 원금비보장형 | 17.0 | 2.6 | 14.4 | 16.1 | 2.9 | 13.2 | 14.5 | 2.6 | 11.9 |
(43.3) | (6.6) | (36.7) | (43.3) | (7.8) | (35.4) | (43.0) | (7.8) | (35.2) |
IV. 파생결합증권 발행자금 운용 현황
1 |
| 헤지방식 |
□’20.3월말 파생결합증권 발행잔액 106.0조원 중 자체헤지 규모는 62.1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조원 증가(5.4%↑)하였으며 비중은 6.8%p 증가
◦국내 증권사들의 파생결합증권 헤지운용 역량이 커지면서 지속적으로 자체헤지 자산운용 비중*이 증가
* 자체헤지 규모 : ‘18.3월말 49조원(51%) → ’19.3월말 59조원(52%) → ‘20.3월말 62조원(59%)
파생결합증권 헤지운용 방식(‘20.3월말)
(단위: 조원, %)
구 분 | ’19.3월말 | ’20.3월말 | |||||
잔 액 | 자체(비중) | 백투백(비중) | 잔 액 | 자체(비중) | 백투백(비중) | ||
전체 | 113.7(100.0) | 58.9(51.8) | 54.8(48.2) | 106.0(100.0) | 62.1(58.6) | 43.9(41.4) | |
| ELS | 74.4(100.0) | 41.8(56.2) | 32.6(43.8) | 72.2(100.0) | 47.9(66.3) | 24.3(33.7) |
| DLS | 39.3(100.0) | 17.1(43.5) | 22.2(56.5) | 33.8(100.0) | 14.2(42.0) | 19.6(58.0) |
◦백투백헤지 거래상대방은 외국계 금융회사가 32.0조원으로 대부분(72.9%)이며, ELS는 외국계 비중이 73.3%로 전년 동기(80.5%) 대비 7.2%p 감소
파생결합증권 백투백헤지 거래상대방(‘20.3월말)
(단위: 조원, %)
구 분 | ’19.3월말 | ’20.3월말 | |||||
잔 액 | 외국계(비중) | 국내사(비중) | 잔 액 | 외국계(비중) | 국내사(비중) | ||
전체 | 54.8(100.0) | 42.6(77.7) | 12.2(22.3) | 43.9(100.0) | 32.0(72.9) | 11.9(27.1) | |
| ELS | 32.6(100.0) | 26.2(80.5) | 6.4(19.5) | 24.3(100.0) | 17.8(73.3) | 6.5(26.7) |
| DLS | 22.2(100.0) | 16.4(73.9) | 5.8(26.1) | 19.6(100.0) | 14.2(72.2) | 5.4(27.8) |
2 |
| 운용자산 내역 |
□’20.3월말 기준 파생결합증권 발행자금 운용자산(헤지자산)의 평가금액은 102.4조원이고 부채평가액* 94.1조원 수준
* 발행증권사가 고객인 투자자에게 향후 지급해야할 부채인 파생결합증권의 월말 평가잔액
◦헤지자산은 채권 78.7조원(76.8%), 예금·예치금 24.3조원(23.7%), 기타자산 12.8조원*(12.6%) 순이며, 파생상품 및 현금은 각각 △11.2조원, △2.6조원임
*내부 대여금‧차입금(증권사 내 파생결합증권 발행자금과 그 밖의 고유재산과의 자금거래), 대출채권, 수익증권 등
부채 및 헤지자산 현황(’20.3월말)
(단위: 조원, %)
구 분 | 부 채 평가액 | 헤지자산 평가금액 |
|
|
|
|
|
| |
주식 | 채권 | 파생 | 예금 | 현금* | 기타** | ||||
‘19년말 | 108.7 | 117.5 | 0.4 | 79.4 | 2.8 | 17.4 | 1.7 | 15.8 | |
| (100.0) | (0.3) | (67.6) | (2.4) | (14.8) | (1.4) | (13.5) | ||
| ELS | 73.2 | 80.5 | 0.4 | 49.1 | 1.6 | 14.3 | 2.4 | 12.7 |
| DLS | 35.5 | 37.0 | 0.0 | 30.3 | 1.2 | 3.1 | △0.8 | 3.2 |
’20.3월말 | 94.1 | 102.4 | 0.4 | 78.7 | △11.2 | 24.3 | △2.6 | 12.8 | |
| (100.0) | (0.4) | (76.8) | (△10.9) | (23.7) | (△2.6) | (12.6) | ||
| ELS | 62.3 | 71.0 | 0.4 | 48.3 | △10.6 | 21.1 | △1.6 | 13.3 |
| DLS | 31.8 | 31.3 | 0.0 | 30.3 | △0.6 | 3.1 | △1.0 | △0.5 |
* 헤지자산 매입·운용과 관련하여 일시적으로 현금이 부족하여 증권사 내부 자금을 활용하는 경우 현금이 음(-)의 값을 가짐
** 내부 대여금·차입금, 수익증권, 대출채권 등
◦채권은 대부분 국내채권(88.7%, 69.8조원)이며, 신용등급별로는 국공채, A(장기) 또는 A2등급(단기) 이상 등 우량등급 채권이 대부분(93.0%)임
운용자산 중 채권의 신용등급별 현황(’20.3월말)
(단위: 조원, %)
채권 합계 | 국내채권 | 해외채권 | |||||||
국공채 | 장기신용등급 | 단기신용등급 | 장기신용등급 | 단기신용등급 | |||||
A이상 | 기타* | A2이상 | 기타* | A이상 | 기타* | A2이상 | 기타* | ||
78.7 | 22.7 | 35.7 | 2.7 | 8.7 | - | 5.7 | 2.7 | 0.4 | 0.1 |
(100.0) | (28.9) | (45.3) | (3.4) | (11.1) | - | (7.2) | (3.5) | (0.5) | (0.1) |
* 무등급(국채 등 제외), 기타 신용등급 등 포함
V. 파생결합증권 관련 손익 현황
□(투자자)’20.1분기 ELS 투자수익률은 연평균 3.6%로 전년 동기(4.7%) 대비 1.1%p 감소하였으며, DLS 투자수익률은 연평균 2.3%로 전년 동기(3.0%) 대비 0.7%p 감소
◦이는 파생결합증권 발행 시 기초자산의 변동성 감소*로 파생결합증권 제시수익률이 낮아진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임
* ‘20.1분기 상환 ELS는 평균적으로 ’19.상반기에 발행되었으며, 당시 변동성 감소로 제시수익률이 하락
파생결합증권 투자손익
(단위: 조원, %)
구분 | 평균 투자기간* | 원 금 (A)** | 투자손익 (B) | 투자손익률 (B/A) |
| |
연환산 | ||||||
ELS | ’19.1분기 | 0.8 | 17.7 | 0.6 | 3.6 | 4.7 |
’20.1분기 | 0.8 | 19.1 | 0.6 | 2.9 | 3.6 | |
DLS | ’19.1분기 | 0.9 | 5.6 | 0.1 | 2.6 | 3.0 |
’20.1분기 | 1.4 | 8.4 | 0.3 | 3.2 | 2.3 |
* 회차별 투자기간을 상환액면금액으로 가중평균한 투자기간
** 중도해지되어 조기상환·만기상환되지 않은 종목은 투자손익 산정에서 제외
□(발행사)’20.1분기 중 증권사의 파생결합증권 발행·운용 손익은 △9,067억원으로 대규모 적자 전환을 하였으며, 이는 ‘19년 이익 규모(7,501억원)를 초과
◦글로벌 주요증시 폭락에 따른 파생결합증권 부채 감소 폭 대비 헤지자산 운용에서 변동성 증가 및 유동성 감소로 증권사들이 포트폴리오 재조정(rebalancing)에 어려움이 있어 운용 손실이 더 컸던 것으로 추정
증권사 헤지자산 발행․운용 손익 현황
(단위: 억원)
구분 | 손익 (A+B) | 부채(발행) 관련 손익(B) | 헤지자산 운용관련 손익(A) | ||||||
| 주식 | 채권 | 파생상품 | 예금* | 기타 | ||||
’20.1분기 | △9,067 | 105,276 | △114,343 | △1,444 | 7,870 | △127,222 | 1,523 | 4,931 | |
| ELS | △7,328 | 97,963 | △105,291 | △1,447 | 3,090 | △110,495 | 1,069 | 2,492 |
| DLS | △1,739 | 7,313 | △9,053 | 3 | 4,780 | △16,728 | 454 | 2,438 |
’19.1분기 | 2,632 | △59,799 | 62,431 | 727 | 8,166 | 51,137 | 1,875 | 526 |
* 예금 및 내부대여금 관련 손익
VI. Knock-In 현황
□’20.3월말 기준으로 Knock-In이 발생한 파생결합증권은 1.8조원이며 대부분(88.8%) ‘21년 이후 만기 도래
◦(ELS)Knock-In 발생금액은 4,900억원으로 개별 종목이 포함된 종목형·혼합형이 4,562억원(93.1%)이며, 지수형은 339억원(6.9%)에 불과
◦(DLS)Knock-In 발생금액은 1.3조원으로 이중 원유(WTI+Brent) 관련 DLS가 1.0조원(78.0%)으로 대부분이며, 이는 3월 중 원유 선물 가격이 폭락한데 기인
원금비보장형 Knock-In 잔액 및 만기도래 현황(’20.3월말)
(단위 : 억원)
구 분 | Knock-In 잔액 | ’20년 | ’21년 이후 | ||||
상반기 | 하반기 | 소계 | |||||
파생결합증권 전체 | 18,284 | 259 | 1,795 | 2,053 | 16,231 | ||
| ELS | 4,900 | 229 | 1,206 | 1,434 | 3,466 | |
| Knock-In 발생기간 | ~’18년 | 919 | 70 | 566 | 636 | 284 |
’19년 | 737 | 91 | 180 | 271 | 466 | ||
‘20년 | 3,244 | 68 | 459 | 528 | 2,717 | ||
| DLS | 13,384 | 30 | 589 | 619 | 12,765 | |
| Knock-In 발생기간 | ‘20년 | 13,384 | 30 | 589 | 619 | 12,765 |
VII. 시사점
글로벌 증시 환경 변화에 따른 증권사 자체헤지 관련 리스크관리 강화
◦국내 증권회사의 자체헤지 규모 및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헤지자산 운용 리스크 관리에 대한 관리수준 강화 필요
* 자체헤지 규모 : ‘18.3월말 49조원(51%) → ’19.3월말 59조원(52%) → ‘20.3월말 62조원(59%)
➡최근 글로벌 주요증시 불확실성 증대에 따라 증권사의 헤지자산 거래가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중
증시변동성 확대에 따른 투자자 유의 필요
◦코로나19 재확산(second wave), 홍콩 국가보안법 통과 등에 따른 헥시트(Hexit)* 우려로 인한 글로벌 증시 변동성 증가로 투자자 손실 가능성
* 홍콩(Hong Kong)과 엑시트(exit)의 합성어로 해외투자자금의 홍콩 대이탈을 의미
➡ 특정 기초자산에 대한 쏠림현상, 순유출입규모 추이, 시장상황에 따른 낙인 규모 등에 대해 지속적인 모니터링
☞ 본 자료를 인용하여 보도할 경우에는 출처를 표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http://www.fss.or.kr)
참고 1 |
| 파생결합증권(ELS,DLS) 개요 |
*ELS(Equity Linked Securities)와 DLS(Derivative Linked Securities)는 파생결합증권, ELB(Equity Linked Bond)와 DLB(Derivative Linked Bond)는 채무증권(파생결합사채)이 자본시장법상 정확한 명칭이나, 편의상 모두 ‘파생결합증권’으로 통칭
□ELS·ELB는 기초자산인 주가지수나 개별주식의 가격에 연동되어 투자수익이 결정되는 유가증권 및 사채로
◦ 투자자는 주가지수 또는 주가의 움직임에 따라 정해진 수익률을 얻음
※ 기초자산이 2개인 Step-down ELS의 수익구조(예시)
|
□DLS·DLB는 기초자산으로 주가가 아닌 금리, 신용, 원자재, 환율 등을 활용하여 투자수익이 결정되는 유가증권 및 사채
※ 신용사건을 기초자산으로 한 DLS의 수익구조(예시)
|
참고 2 |
| 파생결합증권 투자자 유의사항 안내 |
☞ ELS 등 파생결합증권 투자시 다음 사항을 유의하세요.
① 원금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상품
ELS 등 파생결합증권은 원금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상품이므로 상품 판매직원이 “사실상 원금보장이 된다”라고 설명하더라도 원금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② 예금자보호대상이 아니라는 사실
ELS 등 파생결합증권은 예금자보호대상이 아니므로 발행사의 파산으로 채권자에게 지급할 돈이 부족하면 투자원금과 수익을 돌려받지 못하게 됩니다.
③ 손익발생조건과 기초자산에 대한 이해는 필수
ELS 등 파생결합증권은 기초자산의 가격흐름에 따라 손익이 결정되는 만큼 손익발생 조건, 기초자산의 가격추이 등을 살펴보고 신중하게 투자하여야 합니다.
④기초자산의 수가 많을수록, 제시수익률이 높을수록 더 위험
기초자산의 수가 많을수록 상품의 제시수익률이 높지만 그만큼 수익발생 및 원금상환 조건이 많아져 손실위험이 높아지는 점을 이해하고 투자하여야 합니다.
⑤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 손실규모가 크게 나타나는 특성
파생결합증권은 이익으로 상환될 확률이 높도록 설계되어 있으나, 손실이 발생할 경우에는 손실규모가 커지는 꼬리위험(Tail Risk)이 있는 상품입니다.
⑥ 중도환매(상환)시 원금손실 위험
파생결합증권 투자기간 중 중도상환을 신청할 경우, 해당시점에 산정되는 중도상환 가격에 따라 원금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⑦조기상환은 정해진 조건 충족 시에만 가능
조기상환은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해야만 가능하므로, 조기상환을 기대하고 단기 필요자금을 투자하기보다 만기를 기준으로 여유자금을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⑧기초자산의 가격회복기간 한정
파생결합증권은 만기가 정해진 상품으로 기초자산 가격이 손실발생 조건 수준으로 하락하고 기간 내 기초자산 가격이 회복되지 못할 경우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⑨ 은행 등에서 판매하는 ELT/ELF도 예금이 아님
은행‧보험사 등에서 판매하는 ELT(주가연계신탁) 및 ELF(주가연계펀드) 등도 ELS에 투자하는 것과 같은 위험을 가지므로 예금으로 알고 투자하는 것은 금물입니다.
⑩ 여유자금으로 자기책임하에 투자성향에 맞는 상품에 투자할 필요
파생결합증권은 원금손실 위험이 있어 위험성이 높은 투자상품이므로 반드시 상품에 대하여 충분히 이해하고 본인 책임하에 신중히 투자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