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실과 조정에서 임금은 여자한테 신경을 쓰면 안 된다고 수없이 세뇌시켰지만, 그래서 대부분의 군주들은 그런 충고를 잘 따랐지만, 집요한 세뇌작업에도 사랑의 본능이 씻기지 않은 군주가 있었다. 제24대 헌종(정조의 증손자)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조선시대에 왕비나 세자빈을 선발한 것은 주로 왕실 여성들이었다. 임금 본인 혹은 세자 본인은 간택 자리에 나갈 수도 없었고 배우자를 직접 고를 수도 없었다. 헌종의 첫 번째 결혼 때까지만 해도 이 원칙은 잘 지켜졌다. 그런데 첫번째 왕후인 효현왕후 김씨를 잃은 지 1년 뒤인 1844년. 열일곱 살의 나이로 두 번째 왕후를 맞이할 때, 헌종은 자기 눈으로 직접 신붓감을 보겠다며 고집을 피웠다. 그래서 이례적으로 신랑이 참석한 가운데 신붓감 심사가 진행되었다.
참석만 하겠다던 헌종은 최종 심사장에서 자신이 직접 고르겠다고 고집을 부렸다. 김용숙의 <조선조 궁중풍속연구>에 수록된 구한말 궁녀들의 증언에 따르면, 최종 후보 중 하나인 네 살 연하의 김씨 소녀가 헌종의 눈을 확 끌어당겼다고 한다. 하지만, 헌종은 김씨 대신 홍씨 소녀와 결혼해야 했다. 이 여인이 효정왕후 홍씨다. 홍씨가 선택된 것은 헌종의 할머니와 어머니가 홍씨 가문을 지지했기 때문이다.
헌종과 홍씨의 결혼생활은 불행했다. 이들은 첫날밤부터 각방을 썼다. 헌종이 김씨 소녀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했기 때문이다. 헌종은 김씨와의 짧은 마주침에서 받은 강렬한 인상을 지우지 못했던 것이다. 3년 뒤인 1847년, 스무 살이 된 헌종은 김씨를 왕후로 들일 수 없다면 후궁으로라도 들이겠다고 결심한 것이다. 그는 홍씨가 아들을 낳지 못한 것을 핑계로 후궁 간택을 추진했고, 결국 김씨를 후궁으로 맞이하는 데 성공했다. 이 여인이 경빈 김씨이다.
헌종과 김경빈의 사랑을 느낄 수 있는 장소가 있다. 창덕궁 낙선재가 바로 그곳이다. 낙선재는 헌종이 김경빈에게 선사한 건물이다. 헌종이 낙선재에 얼마나 정성을 들였는가는, 이곳의 장식 무늬가 어느 것 하나도 똑같은 게 없다는 사실에서 잘 드러난다. 무늬 하나하나에 지극정성을 쏟아 부은 것이다. 임금의 열의가 없었다면, 후궁의 처소에 이렇게까지 정성을 쏟을 수는 없었을 것이다.
또 시작도 끝도 없는 낙선재의 꽃담을 보노라면, 애인과의 사랑이 영원하기를 손 모아 기도한 헌종의 소망을 읽을 수 있다. 이들의 사랑은 헌종의 요절로 605일 만에 끝났지만, 그래서 대망의 1000일을 채우지는 못했지만, 이들의 사랑이 남긴 흔적만큼은 낙선재를 통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