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야곱과 함께 각각 자기 가족을 데리고 애굽에 이른 이스라엘 아들들의 이름은 이러하니
1:2 르우벤과 시므온과 레위와 유다와
1:3 잇사갈과 스불론과 베냐민과
1:4 단과 납달리와 갓과 아셀이요
1:5 야곱의 허리에서 나온 사람이 모두 칠십이요 요셉은 애굽에 있었더라
1:6 요셉과 그의 모든 형제와 그 시대의 사람은 다 죽었고
1:7 이스라엘 자손은 생육하고 불어나 번성하고 매우 강하여 온 땅에 가득하게 되었더라
1:8 요셉을 알지 못하는 새 왕이 일어나 애굽을 다스리더니
1:9 그가 그 백성에게 이르되 이 백성 이스라엘 자손이 우리보다 많고 강하도다
1:10 자, 우리가 그들에게 대하여 지혜롭게 하자 두렵건대 그들이 더 많게 되면 전쟁이 일어날 때에 우리 대적과 합하여 우리와 싸우고 이 땅에서 나갈까 하노라 하고
1:11 감독들을 그들 위에 세우고 그들에게 무거운 짐을 지워 괴롭게 하여 그들에게 바로를 위하여 국고성 비돔과 라암셋을 건축하게 하니라
1:12 그러나 학대를 받을수록 더욱 번성하여 퍼져나가니 애굽 사람이 이스라엘 자손으로 말미암아 근심하여
1:13 이스라엘 자손에게 일을 엄하게 시켜
1:14 어려운 노동으로 그들의 생활을 괴롭게 하니 곧 흙 이기기와 벽돌 굽기와 농사의 여러 가지 일이라 그 시키는 일이 모두 엄하였더라
1:15 애굽 왕이 히브리 산파 십브라라 하는 사람과 부아라 하는 사람에게 말하여
1:16 이르되 너희는 히브리 여인을 위하여 해산을 도울 때에 그 자리를 살펴서 아들이거든 그를 죽이고 딸이거든 살려두라
1:17 그러나 산파들이 하나님을 두려워하여 애굽 왕의 명령을 어기고 남자 아기들을 살린지라
1:18 애굽 왕이 산파를 불러 그들에게 이르되 너희가 어찌하여 이같이 남자 아기들을 살렸느냐
1:19 산파가 바로에게 대답하되 히브리 여인은 애굽 여인과 같지 아니하고 건장하여 산파가 그들에게 이르기 전에 해산하였더이다 하매
1:20 하나님이 그 산파들에게 은혜를 베푸시니 그 백성은 번성하고 매우 강해지니라
1:21 그 산파들은 하나님을 경외하였으므로 하나님이 그들의 집안을 흥왕하게 하신지라
1:22 그러므로 바로가 그의 모든 백성에게 명령하여 이르되 아들이 태어나거든 너희는 그를 나일 강에 던지고 딸이거든 살려두라 하였더라
1. 모세오경과 성경전체의 중심주제는 ‘하나님 나라’와 ‘언약’이다.
1) ‘하나님 나라’가 궁극적 목적이며 ‘언약’이라는 합당한 수단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2) 출애굽기에서 언약은 하나님과 이스라엘 사이의 공적인 ‘관계’가 ‘법적’으로 맺는 것이다.
2. 출애굽은 아브라함과 맺은 햇불 언약중에서 입애굽 후에 출애굽을 다룬다.
“여호와께서 아브람에게 이르시되 너는 반드시 알라 네 자손이 이방에서 객이 되어 그들을 섬기겠고 그들은 사백 년 동안 네 자손을 괴롭히리니, 그들이 섬기는 나라를 내가 징벌할지며 그 후에 네 자손이 큰 재물을 이끌고 나오리라”(창 15:13-14).
1) 하나님은 아브라함에게 ‘입(入)애굽’과 동시에 ‘출(出)애굽’을 약속하셨다.
2) 하나님은 입애굽을 위하여 요셉을 먼저 애굽에 보내셨다(시 105:17).
3) 입애굽으로 이주한 야곱의 후손은 70명으로 완전수를 상징한다(창 46:27).
4) 요셉은 장차 이루어질 출애굽의 언약을 믿으며 그 때 그의 해골을 가지고 나갈 것을 유언으로 남겼다(창 50:25).
3. 창세기는 족장시대였지만 출애굽기에는 이스라엘의 시대를 다룬다.
1) 입애굽 당시 70명이던 아브라함의 후손은 생육하고 번성하고 매우 강하게 되었다(7절).
2) 이 때 요셉을 알지 못하는 새 왕이 일어나 애굽을 다스리게 되었다.
- 그는 번성하고 강한 이스라엘로부터 위협을 느껴(8-9절) 이스라엘을 괴롭혀서 이스라엘의 번성을 막고자 하였다.
3) 그러나 학대를 받을수록 이스라엘은 더욱 번성하자 출생하는 사내아이를 다 죽이라고 명령한다(15-22절).
4. 그러나 하나님이 햇불언약으로 약속하신 것은 바로의 저지에도 불구하고 성취되어간다.
1) 출애굽이라는 구원과 은혜의 여명은 극심한 학대와 압제로부터 밝아오고 있다.
2) 예수님이 하나님의 나라를 주시기 위해 십자가에서 고난당하시고 죽으신 것처럼...
- 주님은 죽으심으로 모든 사람을 하나님의 자녀 되게 하는 새 언약을 성취했다(눅 22:20).
3)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는 새로운 존재이며 새 언약 아래에 있는 자이다.
- 사단의 극심한 방해와 성도의 연약함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이 아들과 맺은 언약은 유효하다. 성도가 비록 말씀을 떠나고 아버지 집에서 나갔을지라도 언약은 살아있다.
- 언제든지 언약을 기억하고 돌이키면 탕자처럼 다시 언약자녀의 부요를 누리게 된다.
5. 사단을 대리하는 바로는 언약백성을 두려워하여 괴롭히고(11), 언약백성의 번성으로 근심함으로 그들의 생활을 괴롭게 하였다(14).
1) 성도들이 사단에게 괴롭힘을 당하는 것은 사단이 근심하고 두려워하는 뜻이기도 하다.
- 사단의 종이 확실하다면 사단은 바로에게 권세를 주듯이 바로와 동행할 것이다.
2) 그러나 하나님의 자녀를 두려워하는 사단은 하나님의 자녀의 생활을 괴롭힌다.
- 하나님은 하나님의 자녀를 번성하게 하여 하나님의 나라를 주시기 때문이다.
6. 입애굽과 출애굽 사이에 “바로의 괴롭힘”이 극심하다.
1) 사도행전은 이 일을 두고 하나님이 아브라함에게 하신 “가나안 땅”의 약속을 이루실 때가 가까웠다고 증거한다.
“하나님이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신 때가 가까우매 이스라엘 백성이 애굽에서 번성하여 많아졌더니 요셉을 알지 못하는 새 임금이 애굽 왕위에 오르매 그가 우리 족속에게 교활한 방법을 써서 조상들을 괴롭게 하여 그 어린 아이들을 내버려 살지 못하게 하려 할새”(행 7:17-19).
2) 가장 캄캄할 때, 새벽 미명이 다가오듯이 가장 괴로울 때는 하나님이 약속하신 때가 가까운 때다.
- 땅에서는 고통이 심해지는데 하늘에서는 약속이 성취되는 때다.
3) 고통당하는 사람의 시각으로는 이해할 수 없다. 그러나 창세전의 약속을 성취하시는 하나님, 택하신 자를 끝까지 견인하시는 하나님을 바라볼 때, 가장 괴로울 때, 가장 사단의 공격이 극심할 때가 바로 하나님이 약속하신 것을 성취할 때가 가까움을 안다.
“그러므로 나의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굳게 서서 흔들리지 말고, 주님의 일을 더욱 많이 하십시오. 여러분이 아는 대로, 여러분의 수고가 주님 안에서 헛되지 않습니다”(고전 15:58, 새번역).
7. 바로가 이스라엘 백성들을 작정하고 괴롭힐 때에 하나님을 두려워하여 애굽 왕의 명령을 어기고 이스라엘의 남자 아기들을 살린 산파의 믿음이 나온다.
1) 히브리 산파 십브라와 부아는 여인이 해산할 때 사내아이를 다 죽이라는 명령을 어긴다.
출 1:17 그러나 산파들이 하나님을 두려워하여 애굽 왕의 명령을 어기고 남자 아기들을 살린지라
2) 당시 절대 권력자, 신으로 불리던 애굽 왕보다도 산파들은 하나님을 더 두려워하였다.
3) 바로 왕이 산파들을 심문하였지만(18절) 산파들의 뜻을 굽히지 않고 지혜롭게 넘긴다.
8. 그런 산파들을 보신 하나님께서 산파들을 보호하시고 그들의 집안을 흥왕하게 하신다.
출 1:20 하나님이 그 산파들에게 은혜를 베푸시니 그 백성은 번성하고 매우 강해지니라
출 1:21 그 산파들은 하나님을 경외하였으므로 하나님이 그들의 집안을 흥왕하게 하신지라
1) 믿음의 족장 아브라함, 이삭, 야곱 그리고 요셉이 죽었다.
- 그런데 이름도 없고 빛도 없던 “산파들”이 하나님을 경외함으로 왕의 명령을 어긴다.
2) 성경은 산파들이 하나님을 경외하였음과 하나님을 경외한 자들을 하나님이 어떻게 보호하시고 흥왕하게 하시는지를 기록한다.
- 바로의 심문에 대한 산파들의 대답은 어설프다. 그러나 하나님이 그들을 지켜주셨다.
3) 산파의 믿음에도 바로는 백성들로 하여금 히브리 사내아이를 죽이라고 명한다(22절).
9. 성경이 산파들의 믿음을 기록한 이유는, 그들의 믿음으로 사내아이들이 죽지 않게 되었다는 것을 전하기 위함이 아니다.
1) 산파들의 믿음으로 사내아이들의 죽음이 잠시 연기되었을 뿐이다.
2) 결과는 달라지지 않았다. 하나님은 결과를 보시는 것이 아니라 마음의 중심을 보신다.
3) 특별히 하나님은 산파들이 애굽 왕보다 하나님을 더 두려워하는 경외심을 보았다.
10. 사단의 괴롭힘, 입애굽과 출애굽 사이에서 필요한 믿음은 “하나님을 경외하는 것”이라는 것이다. 그러면 어떠한 괴롭힘과 박해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이 보호해 주시고 이끄신다.
1) 만물 안에서 일어난 모든 상황은 하나님의 행동하심이며, 이는 신앙으로만 받아들여진다.
2)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는 환경과 상관없이 하나님의 뜻에 순복하는 자이다.
- 하나님을 두려워하지 않는 자는 권력자와 괴롭히는 자를 따르게 된다.
11. 하나님을 두려워하여 애굽 왕의 명령을 어기고(17), 하나님을 경외하였으므로 하나님이 그들의 집안을 흥왕하게 하신지라(21).
1) 하나님은 이런 자들을 찾으신다.
2) 하나님의 백성이 괴롭힘을 받는 상황에서도 믿음의 눈이 열린 산파들은 하나님을 경외했다.
3)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은 생명의 길을 가는데 매우 중요하다.
- 그리고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마음, 경외하는 것도 생명의 길을 가는데 필수적이다.
4) 그러므로 하나님의 사랑만이 아니라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마음을 구해야 한다.
12. 하나님을 가장 두려워하면 세상을 두려워하지 않게 된다. 하나님을 가장 두려워하면 거짓 자아의 명령을 어긴다. 하나님을 가장 두려워하면 사단의 미혹을 어긴다.
1) 하나님을 가장 두려워하면 자연스럽게 하나님의 말씀에 복종하게 된다.
2) 하나님을 사랑함으로 복종해야 하지만, 하나님을 두려워함으로도 복종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