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노사이드(genocide)는 라틴어로 인종을 나타내는 제노스(genos)와 살인(cide)을 합친 단어로
특정 집단이나 종족을 전멸시킬 목적으로 그 구성원을 대량 또는 집단 학살하는 행위를 말한다.
종교적 갈등이나 인종 우월주의, 이념 문제 등으로 인해 반인륜적인 범죄로 규정해 기소한
최초의 사건은 1945년 제2차 세계대전 직후 미군, 영국, 소련, 중국이 참여한
국제군사재판에서 유대인을 학살한 나치의 전범을 기소한 것이다.
독일 뉘른베르크에서 나온 판결은 흔히 '뉘른베르크 원칙들'이라 불린다.
뉘른베르크 원칙들은 1946년 12월 국제연합에서 확인됐다.
특히 제노사이드에 대해서는 "인간의 양심과 충돌하며 인류에게 큰 손실을 초래하고 도덕률 및
국제연합의 정신과 목적에 위배한다"는 점에서 '문명세계가 비난하는 국제법상의 범죄'임을 분명히 했다.
제노사이드의 역사는 기원전 13세기로 추정되는 그리스와 트로이의 전쟁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기원전 3세기 해상권을 둘러싼 갈등으로 시작된 로마제국과 카르타고 사이의 전쟁과
1099년 중세 유럽 십자군에 의한 예루살렘 유대인 대학살 등도 대표적인 사례다.
프랑스 영화 '여왕 마고'로 잘 알려진 1572년 성바르톨로메오 학살사건 때는 위그노라 불리는 신교도 5000명이 죽었다.
영국의 식민지에서 벗어난 미국이 19세기 북미 대륙을 차지하는 과정에서 원주민인 인디언을 몰아낸 과정,
소련이 공산당 일당 독재를 강화하는 과정에서 2000만명의 반대자를 숙청한 일,
1970년 캄보디아 크메르루주 정권이 200만 양민을 학살한 킬링필드,
1998년 세르비아의 코보소 인종청소 등도 모두 제노사이드 범죄다.
제노사이드는 지금도 여전히 현재 진행형 비극이다.
겨우 반세기 전에 제노사이드의 비극을 겪은 민족이 세운 신성국가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을 향해
대량 학살극을 벌리고 있어 국제 사회의 비난이 높다.
미국의 방조도 맹비난받고 있다.
지난 20일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서 지상작전을 벌여 이날 하루만 89명이 죽었다.
'피의 일요일'이다.
팔레스타인 사상자는 어린이를 포함해 약 600명에이른다.
이스라엘은 폭탄 안에 수천개의 쇠화살이 들어 있는 치명적인 대량살상 무기도 사용했다.
인류의 원한은 쌓여만 간다.
문명에 물들기 이전인 석기시대에 인류는 평화로웠을 것이라는 기존의 학설을 뒤엎고
폭력적인 '원시전쟁'의 가능성을 제시한 로렌스 H킬리의 주장처럼 인류는 구제불능의 야만인인가. 문소영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