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적광전 (大寂光殿)
김제 귀신사 대적광전 정측면
김제 귀신사 대적광전 정측면
불교 개념
사찰에서 연화장세계의 교주 비로자나불을 본존불로 봉안하는 불교건축물.
정의
사찰에서 연화장세계의 교주 비로자나불을 본존불로 봉안하는 불교건축물.
접기/펼치기
내용
화엄종의 맥을 계승하는 사찰에서는 주로 이 전각을 본전(本殿)으로 건립하여 『화엄경』에 근거한다는 뜻에서 화엄전(華嚴殿), 『화엄경』의 주불(主佛)인 비로자나불을 봉안한다는 뜻에서 비로전(毘盧殿), 그리고 『화엄경』의 연화장세계가 대정적의 세계라는 뜻에서 대적광전이라고도 한다.
이 대적광전에는 원래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한 삼신불(三身佛)을 봉안하여 연화장세계를 상징하게 된다. 원래 법신(法身) · 보신(報身) · 화신(化身)의 삼신불로는 비로자나불 · 아미타불 · 석가모니불을 봉안하는 것이 상례로 되어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사찰에서는 선종(禪宗)의 삼신설에 따라 청정법신(淸淨法身) 비로자나불 · 원만보신(圓滿報身) 노사나불(盧舍那佛) · 천백억화신(千百億化身) 석가모니불의 삼신을 봉안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비로자나불의 좌우 협시보살(脇侍菩薩)로는 문수보살(文殊菩薩)과 보현보살(普賢菩薩)을 봉안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법당 내 오불(五佛)을 봉안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삼신불 좌우에 아미타불과 약사여래를 봉안하며, 아미타불의 좌우 협시보살로는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을, 약사여래의 협시보살로는 일광보살(日光菩薩)과 월광보살(月光菩薩)을 봉안하게 된다.
이 경우 약사전(藥師殿)과 극락전(極樂殿)을 대적광전에서 함께 수용한 형태로, 우리나라에서 중요하게 신봉되는 불보살들이 모두 한 곳에 모인 전각이 되는 셈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볼 때 대적광전은 사찰 내에서 가장 큰 당우가 된다.
후불탱화(後佛幀畫)는 전각의 규모에 따라 1폭의 삼신탱(三身幀)을 봉안하는 경우도 있지만, 보통 법신탱 · 보신탱 · 화신탱 3폭을 각각 불상 뒤에 봉안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대적광전의 위치가 대웅전과 동등한 위치를 차지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보통 신중을 모신 신중단(神衆壇)과 영가를 모신 영단(靈壇)을 함께 마련하게 되며, 신중단에는 신중탱화를, 영단에는 감로탱화(甘露幀畫)를 봉안한다.
내부의 장엄도 화려하여 보통 주불 뒤에는 닫집인 천개(天蓋)를 만들고 여의주를 입에 문 용 등을 장식하며, 천장에는 보상화문(寶相華文)과 연화문(蓮華文) 등을, 벽의 상단에는 화불(化佛)과 비천(飛天)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화려하게 장식한다.
이 전각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산 해인사(海印寺)의 대적광전과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위봉사(威鳳寺)의 보광명전(普光明殿)을 들 수 있다.
접기/펼치기
참고문헌
『한국의 사찰』 4·7·11(한국불교연구원, 일지사, 1974·1975·1977)
접기/펼치기
관련 항목
비로자나불 불교 개념 보통 사람의 육안으로 볼 수 없는 광명의 부처를 의미하는 신앙대상. 법신불.
연화장세계 불교 개념 『화엄경』과 『범망경』을 근거로 비로자나불과 큰 연꽃 속에 일체의 국토와 사물을 간직한 불국토를 가리키는 불교교리.
아미타불 불교 개념 서방 극락정토의 주인이 되는 부처를 가리키는 신앙대상. 부처.
석가모니불 불교 개념 부처로 모시는 대상이자 불교의 교조.
선종 불교 개념 참선수행으로 깨달음을 얻는 것을 중요시하는 불교종파.
노사나불 불교 개념 부처의 진신으로, 법계를 고루 비추어 빠짐이 없어 원만구족과 완전무결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비로자나.
문수보살 불교 개념 불교에서 많은 복덕과 반야지혜를 상징하는 보살.
더보기
접기/펼치기
관련 미디어
(3)
김제 귀신사 대적광전 정측면
김제 귀신사 대적광전 정측면
경주 기림사 대적광전 정측면
경주 기림사 대적광전 정측면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다음 슬라이드이전 슬라이드
접기/펼치기
집필자
박상국
불교 유적
감응사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영축산(靈鷲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체징이 창건한 사찰.
불교 문헌
감지금니 대반야바라밀다경 권175
1055년 『대반야경』 권175를 감색 종이에 금분(金粉)으로 필사한 불교경전.
불교 문헌
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 권15
1334년 『대방광불화엄경』 권15를 감색 종이에 금분(金粉)으로 필사한 불교경전. 사경.
불교 문헌
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46
고려후기 『대방광불화엄경』 주본의 권46을 감색 종이에 금분(金粉)으로 필사한 불교경전.
불교 문헌
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보현행원품
고려후기 『대방광불화엄경』을 감색 종이에 금분(金粉)으로 필사한 불교경전.
불교 문헌
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입부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
1334년 『대방광불화엄경』을 감색 종이에 금분(金粉)으로 필사한 불교경전.
불교 문헌
감지금니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7
고려후기 『대불정수능엄경』 권7을 감색 종이에 금분(金粉)으로 필사한 불교경전.
불교 문헌
감지금니 묘법연화경 권3~4
고려후기부터 조선전기 사이에 『묘법연화경』 권3·4를 감색 종이에 금분(金粉)으로 필사한 불교경전.
불교 문헌
감지금니 묘법연화경 권7
1366년 『묘법연화경』 권7을 감색 종이에 금분(金粉)으로 필사한 불교경전.
불교 문헌
감지금니 미륵하생경
고려후기 『미륵하생경』을 감색 종이에 금분(金粉)으로 필사한 불교경전.
다음 슬라이드이전 슬라이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한국학중앙연구원 [13455]
문의전화 : 031-709-8111
Copyrigh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ll Rights Reserved.
FAMILY SITE
ㅡ네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