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강해(講解) - 효사(爻辭) - 2
九二는 遇主于巷하면 无咎리라.
(구이) (우주우항) (무구)
象曰遇主于巷이 未失道也라.
(상왈우주우항) (미실도야)
●구이는 주인을 거리에서 만나면 허물이 없으리라.
상에 가로되, '우주우항' 이 도를 잃지 않음이라.
(遇 - 만날 우. 巷 - 거리 항. )
★뜻풀이
화택규괘 아래로 부터 두번째 효에 대한 풀이이다.
구이는 剛으로써 中의 덕을 얻고 위로 六五와 정응이 되나, 어긋나는
때이므로 처음에는 서로 왜곡하여 믿지를 않는다.
또 육삼이 중간에서 막고 있으니, 그 만나는 형상이 '우주우항' 의 상이다.
그러나 인군과 신하가 만나서 서로 왜곡 됨을 푸니, 君臣의 道를 잃지 않
게 되어 허물이 없는 것이다.
①巷이란 大路와 小路 사이를 말한다.
遇는 기약하지 않고 갑자기 우연하게 만나는 것이다. 睽의 때이기 때문에
이러한 편법을 쓰는 것이지, 어떤 사사로운 정이 있는 것은 아니다.
②夏나라 桀王이 나라를 어지럽게 하여 睽의 때가 되었을 때, 湯과 이윤
(伊尹)이 밭도랑에서 만나 서로의 뜻을 확인한 고사가 이에 해당한다.
첫댓글 고맙습니다
주역을 봅니다.
주역 화택규를 봅니다~^^
주역하경34괘 화택규 잘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