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전 (大雄殿)
경주 불국사 대웅전 정면
경주 불국사 대웅전 정면
불교 개념
사찰에서 석가모니불을 봉안하는 불교건축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접기/펼치기
내용 요약
음성 재생
대웅전은 사찰에서 석가모니불을 봉안하는 불교건축물이다. 격을 높일 경우 대웅보전이라고도 하며 항상 사찰의 중심에 위치하는데 ‘대웅’은 석가모니의 별호이다. 대웅전에는 대체로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협시보살로 좌우에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을 두는데, 대웅보전이라 할 때는 좌우에 아미타불과 약사여래를 모시기도 하고 삼신불·삼세불을 봉안하기도 한다. 중심에 불상을 안치하는 불단을 수미단이라 하며, 불단 주변은 화문(花文)과 비천으로 화려하게 장식하고 주불 위에는 닫집을 두며, 석가모니불 뒤에는 영산회상도 등 많은 불화들이 봉안된다.
접기/펼치기
목차
정의
내용
참고문헌
접기/펼치기
정의
사찰에서 석가모니불을 봉안하는 불교건축물.
접기/펼치기
내용
격을 높여 대웅보전(大雄寶殿)이라고도 하며 항상 사찰의 중심에 있다. 대웅전에는 사바세계의 교주인 석가모니불을 중심에 두고 문수보살(文殊菩薩)과 보현보살(普賢菩薩)을 협시(脇侍)로 봉안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격을 높여 대웅보전이라 할 때는 주불로 석가모니불, 좌우에 아미타불(阿彌陀佛)과 약사여래(藥師如來)를 모시며, 각 여래상의 좌우에는 제각기 협시보살을 봉안하기도 한다.
또한 삼세불(三世佛)과 삼신불(三身佛)을 봉안하는 경우도 있다. 삼세불로는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미륵보살과 갈라보살(羯羅菩薩)이 협시하게 되며, 다시 그 좌우에 석가의 제자인 가섭(迦葉)과 아난(阿難)의 상을 모시기도 한다. 갈라보살은 정광여래(定光如來)로서 과거불이며, 미륵보살은 미래에 성불하여 미륵불이 될 미래불이므로 과거 · 현재 · 미래를 연결하는 삼세불을 봉안하는 것이다.
삼신불은 법신(法身) · 보신(報身) · 화신(化身)으로 구별하며, 일반적으로 법신은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 보신은 아미타불과 약사여래, 화신은 석가모니불을 지칭하지만, 우리 나라의 대웅전에 봉안하고 있는 삼신불은 선종(禪宗)의 삼신설을 따라 비로자나불 · 노사나불(盧舍那佛) · 석가모니불을 봉안하는 것이 통례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삼신불을 봉안하고 있는 절은 화엄학을 중시하였던 사찰이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대웅전의 중심에 불상을 안치하고 있는 불단을 수미단(須彌壇)이라고 하는데, 이는 불교의 세계관에서 그 중심에 위치한 수미산(須彌山) 꼭대기에 부처님이 앉아 자비와 지혜의 빛을 발하고 있음을 상징한다. 대웅전 내에는 많은 탱화들이 봉안되어 있다. 석가모니불의 후불탱화로는 주로 영산회상도(靈山會上圖)가 봉안되는데, 이는 부처님이 영축산에서 제자들을 모아 설법하는 정경을 묘사한 것이다. 그러나 주존불에 삼신불 또는 삼세불이 봉안될 경우 삼여래탱화(三如來幀畫)를 모시게 된다. 또한, 신중(神衆)을 모신 신중단과 영가(靈駕)를 모신 영단을 함께 마련하게 되는데, 신중단에는 신중탱화를, 영단에는 감로탱화(甘露幀畫)를 봉안한다.
대웅전의 내부는 다른 어떤 건물보다 화려하고 장엄하게 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목조보개(木造寶蓋:불단 위 천장에 있는 구조물. 닫집이라고도 함) 및 불단의 조각이 매우 섬세하여 목조공예의 진수를 찾을 수 있게 한다. 불단 주변은 여러가지 화문(花文)과 천의(天衣)를 날리는 비천(飛天)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화려하게 장식하고, 주불 위에는 닫집을 만들어 화엄의 여의주(如意珠)를 입에 문 용과 극락조(極樂鳥) 등을 장식한다. 천장에는 보상화문(寶相華文)과 연화문(蓮華文) 등을 조각하여 불전(佛典)에 나오는 천우보화(天雨寶花)의 의미를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대웅전에 갖추어지는 불구(佛具) 중에는 촛대와 향로, 외도 중생의 업을 비추어보는 업경대(業鏡臺)가 불단 양편에 놓이는 경우가 많은데, 업경대는 동판으로 만들어지며 주로 목조사자(木造獅子)가 업고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국가지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대웅전들은 다음과 같다.
①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수덕사 대웅전(국보, 1962년 지정).
②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봉정사(鳳停寺) 대웅전(보물, 1963년 지정).
③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개심사(開心寺) 대웅전(보물, 1963년 지정).
④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용문사(龍門寺) 대장전과 윤장대(국보, 2019년 지정).
⑤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정수사(淨水寺) 법당(보물, 1963년 지정).
⑥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장곡사(長谷寺) 상 대웅전(보물, 1963년 지정).
⑦ 장곡사 하 대웅전(보물, 1963년 지정).
⑧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 대웅전(보물, 1963년 지정).
⑨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관룡사(觀龍寺) 대웅전(보물, 1963년 지정).
⑩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禪雲寺) 대웅전(보물, 1963년 지정).
⑪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산내면 내소사(來蘇寺) 대웅보전(보물, 1963년 지정).
⑫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상서면 개암사(開巖寺) 대웅전(보물, 1963년 지정).
⑬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華嚴寺) 대웅전(보물, 1963년 지정).
⑭ 경상남도 산청군 신등면 율곡사(栗谷寺) 대웅전(보물, 1963년 지정).
⑮ 전라남도 여수시 중흥동 흥국사(興國寺) 대웅전(보물, 1963년 지정).
⑯ 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 고산사(高山寺) 대웅전(보물, 1963년 지정).
⑰ 충청남도 논산시 양촌면 쌍계사(雙溪寺) 대웅전(보물, 1964년 지정).
⑱ 부산광역시 동래구 청룡동 범어사(梵魚寺) 대웅전(보물, 1966년 지정).
⑲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雙磎寺) 대웅전(보물, 1968년 지정).
⑳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환성사(環城寺) 대웅전(보물, 1971년 지정).
㉑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경천면 화암사(花巖寺) 극락전(보물, 1980년 지정).
㉒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안심사(安心寺) 대웅전(보물, 1980년 지정) 등이다.
접기/펼치기
참고문헌
『한국의 사찰』 1·5·6·15·18(한국불교연구원, 일지사, 1974∼1979)
『문화유적총람』(문화재관리국, 1977)
접기/펼치기
관련 항목
절 불교 개념 승려와 재가신도가 모여 수행과 의례 등을 통해 불교의 교법을 구현하는 장소를 가리키는 불교용어. 사원 · 사찰 · 가람.
석가모니불 불교 개념 부처로 모시는 대상이자 불교의 교조.
문수보살 불교 개념 불교에서 많은 복덕과 반야지혜를 상징하는 보살.
보현보살 불교 개념 문수보살에 비해 석가모니불을 오른편에서 협시해 부처의 행원을 대변하는 보살.
아미타불 불교 개념 서방 극락정토의 주인이 되는 부처를 가리키는 신앙대상. 부처.
약사여래 불교 개념 중생의 질병을 고쳐주는 약사신앙의 대상이 되는 보살. 부처.
십대제자 불교 개념 붓다의 가르침을 받은 제자들 중 뛰어났다는 10인의 제자를 가리키는 불교용어. 석가십성.
더보기
접기/펼치기
관련 미디어
(8)
경주 불국사 대웅전 정면
경주 불국사 대웅전 정면
고창 선운사 대웅전 정면
고창 선운사 대웅전 정면
논산 쌍계사 대웅전 정측면
논산 쌍계사 대웅전 정측면
부산 범어사 대웅전 정면
부산 범어사 대웅전 정면
서산 개심사 대웅전
서산 개심사 대웅전
순천 선암사 대웅전
순천 선암사 대웅전
안동 봉정사 대웅전 정면
안동 봉정사 대웅전 정면
양산 통도사 대웅전 동측면
양산 통도사 대웅전 동측면
다음 슬라이드이전 슬라이드
접기/펼치기
집필자
박상국
불교 유적
감응사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영축산(靈鷲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체징이 창건한 사찰.
불교 문헌
감지금니 대반야바라밀다경 권175
1055년 『대반야경』 권175를 감색 종이에 금분(金粉)으로 필사한 불교경전.
불교 문헌
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 권15
1334년 『대방광불화엄경』 권15를 감색 종이에 금분(金粉)으로 필사한 불교경전. 사경.
불교 문헌
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46
고려후기 『대방광불화엄경』 주본의 권46을 감색 종이에 금분(金粉)으로 필사한 불교경전.
불교 문헌
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보현행원품
고려후기 『대방광불화엄경』을 감색 종이에 금분(金粉)으로 필사한 불교경전.
불교 문헌
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입부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
1334년 『대방광불화엄경』을 감색 종이에 금분(金粉)으로 필사한 불교경전.
불교 문헌
감지금니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7
고려후기 『대불정수능엄경』 권7을 감색 종이에 금분(金粉)으로 필사한 불교경전.
불교 문헌
감지금니 묘법연화경 권3~4
고려후기부터 조선전기 사이에 『묘법연화경』 권3·4를 감색 종이에 금분(金粉)으로 필사한 불교경전.
불교 문헌
감지금니 묘법연화경 권7
1366년 『묘법연화경』 권7을 감색 종이에 금분(金粉)으로 필사한 불교경전.
불교 문헌
감지금니 미륵하생경
고려후기 『미륵하생경』을 감색 종이에 금분(金粉)으로 필사한 불교경전.
다음 슬라이드이전 슬라이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한국학중앙연구원 [13455]
문의전화 : 031-709-8111
Copyrigh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ll Rights Reserved.
FAMILY SITE
ㅡ네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