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근래 부산지하철 측에서 1호선 차량을 쵸퍼제어에서 VVVF로 개조 한다고 밝혔고
부산 MBC 뉴스에서 총 875억원을 들어, SIV, 주전장품을 교체한다고 했습니다만
이것에 대해 여러가지 추측을 할 수 있었는데 (4호선 처럼 미쓰비시 제품을 쓰게 된다거나, 서울메트로 471편성이나 코레일 처럼 도시바 제품을 쓰게 된다거나 등등....)
오늘도 부산지하철 홈페이지 순회 하다가 발견한, 부산교통공사 차량 검수부의 답변에 의하면
3호선과 거의 같은 구동음이라는 말에서 아마 로템 제품을 쓸 예정으로 보이더군요
부산지하철 3호선 전동차에 활용된 로템 IPM 인버터와, 210KW 이상의 로템 견인전동기를 쓸것으로 생각되고 (직류직권전동기에서 고출력 유도전동기로 교체하기 때문에 아마 난카이 6200계 비슷한 경우가 될듯...)
앞서 말한대로 로템 제품을 사용하게 되면 구동음은 3호선과 거의 같을것이라고 하고, 아직까지 개조 대상 편성은 확정되지 않았고 (아마 사용가능한 년수가 많이 남아서 개조 비용을 만회 가능한 후기 도입 편성으로 예상)
고로, 개조 시기는 내년 이후에서야 가능할 것 같습니다
부산지하철 2호선 IPM 개조차들도 3호선 스러운 구동음을 내게 되었는데
1호선 차량들 마저도 IPM으로 개조되어서 3호선과 똑같은 구동음을 내게 되는것을 생각하니, 어찌보면 철도 애호가들 입장에서는 그리 반가운(????) 소식은 아닐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이번 개조는 로템 역사상 가장 규모가 큰 개조가 될것으로 예상됩니다... (흔히 말하는 마개조)
그리고 이번 개조건으로, 향후 도입될 부산지하철 1호선 차량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을지도 모르겠고요... (AUTS 기반으로 도입한다는 설도 있었는데, AUTS 기반이 도입된다면 1개노선에 3가지 구동음)
그리고 서울메트로 4호선 차량의 VVVF-IGBT화는 내년부터 재개될 전망으로 보입니다.
첫댓글 아니 이건 무슨 JR 니시니혼...;;;그런데 로템 IPM이면 소자는 EUPEC을 쓰나요, 아니면 도시바제를 쓰나요?
JR 니시니혼 보다는 오사카시교통국의 10계나, 후쿠오카시교통국 1000계, 센다이시교통국 1000계, 고베시교통국 1000형과 비슷한 케이스라 생각됩니다. 그리고 로템 IPM 소자는 최근까지 미쓰비시 CM1200H-C66H가 사용되었지만, 부산지하철 2호선 개조차에 사용된것은 EUPEC FZ1200R33K(추정)이 쓰였더군요... 그리고 부산교통공사의 1호선 전동차 VVVF화 계획은 어쩌면 부산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도시인 후쿠오카시 교통국 1000계의 사례를 참고한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바른말을 사용합시다.
항상 활발한 활동모습에 힘을 얻어 돌아가는 사람입니다.
최근 국내 주전장품중 추진제어장치 메이커는 크게 3가지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1. 현대로템
-. 주 실적: 국내/외 서울,인천(인천1,공항),대구,부산,신분당,상파울로,웰링턴,터키,알마티,심천 등,
개발: 차세대 고철 등, 최근 해외-우크라이나 AC25kV/DC3kV겸용
2. 현대중공업 (광주, 대전 및 KTX 산천)
3. 우진(도시바 설계 License):
-. 주 실적: 최근 철도공사 차량에만 납품 (간선형-청춘, 분당선 등)
주전장품의 스위칭 소자는 별도 전력반도체 메이커를 통해 공급받습니다. 크게 아래 두개 회사가 있습니다.
1. Infineon (구 Eupec)
2. 미쯔비쉬
IPM 이나 IGBT는 전력반도체 소자를 의미하며 일부 전장품 업체는 사업군(일본업체)이 나뉘어 있으면서(전장품, 전력반도체) 자사 반도체를 만들어 쓰기도 합니다. IPM은 IGBT의 소자 베이스에 그걸 제어하는 유닛이 모듈 내부에 내장된 타입을 말하며 별도 Special 보호기능이 있습니다. 아직 대용량의 모든 class 상용화는 안하고 있습니다.(3300V급 주력) 각론하고, IGBT(Insulated Gated Bipolar Transistor) 의 출현으로 이를 이용한 많은 해외 전장품 업체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대하여 로템등 국내 업체도 국제 경쟁력을 쌓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국산 전장품이 전세계에 적용되는 그날을 응원해봅니다. 그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