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중 관료제의 특징중 틀린것은?
답이 일반행정가주의 인데요.
근데 관료제는 전문지식(실적관료제)이고 직업의 전업화(전임직) 직업관료제인데요.
여기서 보면 직업의 전문지식 실적관료제 때문에 관료제가 전문행정가주의 인가요??
아니면 원래 Weber의 관료제 모형이 전문가주의를 지향한건가요?답변 부탁드립니다.관료제의 특징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첫댓글 관료제하면 베버의 근대관료제를 상기하세요.베버는 실제관료제+직업관료제를 기반으로 합니다.근대관료제의 특징으로1.고도의 계층화2.법규에의한 지배 및 관청적 권한3.문서주의와 공사분리4.전문지식(관료의 전문적 지식을 강조하며 시험등에 의한 공개채용)===>실적관료제5.직업의 전업화(전임직)====>직업관료제6.고용관계의 자유계약성7.비개인화.몰인간성.비정의성 및 공평성(객관주의)
첫댓글 관료제하면 베버의 근대관료제를 상기하세요.
베버는 실제관료제+직업관료제를 기반으로 합니다.
근대관료제의 특징으로
1.고도의 계층화
2.법규에의한 지배 및 관청적 권한
3.문서주의와 공사분리
4.전문지식(관료의 전문적 지식을 강조하며 시험등에 의한 공개채용)===>실적관료제
5.직업의 전업화(전임직)====>직업관료제
6.고용관계의 자유계약성
7.비개인화.몰인간성.비정의성 및 공평성(객관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