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합장(合掌): 두 손을 마주 합하는 자세로, 양손의 손가락을 모두 붙이고 엄지를 손바닥으로 약간 굽혀서 손바닥이 약간 벌어지게 한다.
이것은 흩어진 마음을 하나로 모으는 것이며, 또한 상대방에 대한 존경과 공경의 표시이다. 한편 오른손은 불계(佛界), 왼손은 중생계(衆生界)를 상징한다. 그래서 합장의 의미에는 ‘부처와 내가 둘이 아니다’라는 의미가 있다.
② 차수(叉手): 두 손을 자연스레 아래위로 교차하여 포갠 손 모양, 경내에서 걸어다닐 때 취하는 자세, 하지만, 현재 선방(禪房)에서 경행시의 차수만 보게 되는 실정이다.
3. 법당예절
(1) 법당 내 예절
법당에 들어갈 때는 중앙의 어간문(御間門)을 피해 양측면의 문을 이용하고, 법당에 들어서기 전 자신의 신발이나 남의 신발을 가지런히 정돈해 놓는다.
법당은 부처님이 계신 곳이니 벽에 신발을 세워 놓거나 우산이나 지팡이를 걸쳐 놓지 않는다.
법당에 들어설 때 부처님을 향해 합장반배하고 상단으로 합장한 채 다가가 반배를 한 후 공양물을 올리고 적당한 자리에서 오체투지(五體投地) 삼배의 예를 올린다.
법회가 시작되면 방해가 되므로 공양물을 올리지 말고 삼배도 하지 않고 조용히 자리를 잡고 앉는다. 법회 후 공양물은 올리면 된다.
(2) 향 꽂는 법
향에 불을 붙여 흔들어 끄거나 입으로 불어 끄면 안 되고 향을 잡고 아래서 위로 올리면서 끈다. 오른손으로 향의 가운데를 잡고 왼손으로 오른 손목을 받쳐 잡는다. 향을 든 손은 이마 높이까지 한 번 들어 올려 경건한 마음으로 향로에 향을 꽂는다. 그리고 합장 자세로 뒤로 물러나 삼배의 예를 올린다.
공양물을 올릴 때 향을 피운다. 향로가 비워있다고 공양물을 올리지 않고 향을 피우면 실례가 된다. 공양물을 올렸을 때 향로에 향이 피워져 있으면 그 향을 뽑아서 향을 피우는 예를 올리고 다시 꽂고 삼배의 예를 올리면 처음 향을 올리는 것과 같다.
향공양은 향로에 향을 한 개 피우는 것으로 아는 법우가 많으나 향을 한 갑을 올리는 것이다.
(3) 절하는 법
절은 기본적으로 '굴복무명 공경진성(屈伏無明 恭敬眞性ㅡ무명을 굴복시키고 참 성품을 공경한다'는 의미가 있다.
① 오체투지(五體投地) : 양 팔꿈치, 양 무릎, 이마 다섯 부분이 바닥에 닿게 하여 절을 하는 것으로 자신을 무한히 낮추면서 상대방에게 최대의 존경을 표하는 가장 경건한 예법.
오체투지(五體投地)는 자신의 아만심과 교만을 물리쳐 자신을 낮추는 하심(下心)과 삼보에게 존경심을 표하는 최고의 공경법이다.
오체투지(五體投地)에 내포된 의미는 찬탄삼보(讚歎三寶), 참회업장(懺悔業障), 권청(勸請), 수희(隨喜), 회향(廻向) 등이다.
② 고두배(叩頭拜) : 또는 고두례(叩頭禮), 유원반배(唯願半拜)라고 함. 마지막 절을 할 때는 고두배를 하게 되는데, 고두배란 삼배에 대한 아쉬움의 표시이며, 지극한 존경심에 대한 표현이다.
고두배는 절 마지막에 이마를 바닥에서 떼고 엎드린 상태에서 잠시 합장하고 다시 이마를 땅에 대고 절을 한다.(고두배를 할 때 소원을 빈다.)
③ 반배(半拜): 삼보께 예경을 올리는 절은 오체투지가 원칙이지만, 다음과 같이 큰 절을 할 수 없는 경우에 '반배'를 한다. 또는 반배를 다른 말로 '저두(低頭)'라고 한다.
반배를 하는 경우: 절의 입구인 일주문, 부도탑, 금강문, 천왕문, 불이문, 해탈문을 지날 때, 절 마당에서 대웅전을 향해, 탑 앞에서, 경내에서 스님이나 도반을 만날 때, 대웅전애서 부처님 앞으로 지나갈 때, 어간문(御間門)을 지날 때, 대웅전 등 전각에서 공양물을 올린 후, 법당 들어가고 나올 때. 야외법회 때나 옥내법회 시 대중이 너무 믾아 오체투지를 할 수 없을 때.
첫댓글 오늘도 무진 전법사님의 가르침을 새겨봅니다.
* 법당은 부처님이 계신 곳이니 벽에 신발을 세워 놓거나 우산이나 지팡이를 걸쳐 놓지 않는다.
* 양 손바닥을 귀까지 올리는 것은 일본식으로 하지 않는다.
* 고두례를 할 때 소원을 빈다.
법당에 관한 예절교육 감사감사감사합니다ㆍ
잘 새겨봅니다
정말잘돼!!!!!
무진전법사님 덕분에
법당에 관한 예절을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
감사합니다 열심히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아미타불 🙏
무진전법사님 감사합니다.
최영근선생님 감사합니다.
법사님 덕분에 차근차근 잘 배움니다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아미타불 ()()()
법당예절 잘 배우고 숙지하여 지킵니다
법보시에 감사드리며
무량대복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