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대통령의 게엄령사태로 달러대비 원화환율이 급락하여 여행사, 유학생들이 타격을 입고 있습니다.
여행사는 신규예약이 거의없고 일부 유학생들은 귀국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원화약세로 더 큰 타격이 있는 곳은 원유수입업체 등 수입상품을 재판매하는 곳들입니다.
현대자동차 등 수출업체들은 환차익이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Weakening won hits travel agencies, students studying abroad
원화 약세로 여행사, 유학생들 타격
By Jun Ji-hye 전지혜 기자
Posted : 2024-12-25 08:15 Updated : 2024-12-25 08:15
Korea Times
사진 삭제
Exchange rates are displayed at a money changing booth in Myeong-dong, Seoul, Tuesday. Yonhap
화요일 서울 명동의 한 환전소에 환율이 표시되어 있다. 연합
Individuals holding dollars benefit from rising exchange rate
달러를 보유한 개인은 환율상승 혜택
The weakening Korean won against the U.S. dollar, triggered by President Yoon Suk Yeol’s abrupt martial law declaration, has become a source of concern for various sectors and individuals, including the travel industry and students studying abroad.
윤석열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계엄령 선포로 촉발된 미국 달러 대비 원화 약세는 여행업계와 유학생 등 다양한 분야와 개인들의 우려의 대상이 되고 있다.
Following Yoon’s short-lived martial law declaration on Dec. 3, safety concerns have led to a reduction in the number of inbound foreign tourists. Now, as the won has breached the 1,450 mark against the dollar for the first time since the 2009 global financial crisis, even domestic travelers are canceling overseas trip reservations, presenting a significant setback for travel agencies.
지난 12월 3일 윤 대통령의 단명 계엄령 선포 이후 안전에 대한 우려로 인해 입국 외국인 관광객 수가 감소하고 있다.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원화가 달러 대비 1,450선을 돌파하면서 국내 여행객들조차 해외여행 예약을 취소하고 있어 여행사 입장에서는 상당한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If the won remains weak, there are also concerns that Korean students studying abroad, who rely on remittances in dollars, may be forced to consider taking a leave of absence or returning home.
원화가 약세를 유지하면 달러송금에 의존하는 한국 유학생들이 휴학이나 귀국을 고려해야 할 수도 있다는 우려도 있다.
According to travel industry officials, China’s visa-free entry policy for Koreans, announced in November, had raised expectations of increased demand for package tours. However, the situation has quickly changed, and demand is now rapidly declining.
여행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11월에 발표된 중국의 한국인 무비자 입국정책은 패키지여행에 대한 수요 증가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하지만 상황이 급변하면서 수요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Against this backdrop, some travel agencies are reportedly considering suspending the sale of products through home shopping channels for the time being.
이러한 배경 속에서 일부 여행사들은 당분간 홈쇼핑 채널을 통한 상품판매를 중단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There have been almost no new bookings for products departing after the year-end,” one travel agency official said.
한 여행사 관계자는 "연말 이후 출발하는 상품에 대한 신규예약이 거의 없었다." 라고 말했다.
On online communities like Eurang, popular among individual travelers seeking European trips, and Blind, the anonymous workplace community app, concerns are growing, with users writing things like, “I had planned a trip to the U.S., but with the exchange rate soaring, it’s difficult to decide the right time to exchange money.”
유럽 여행을 찾는 개인 여행객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유랑과 익명의 직장 커뮤니티 앱인 블라인드 같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사용자들이 "미국여행을 계획했는데 환율이 치솟으면서 환전 시기를 결정하기 어렵다"는 등의 글을 남기는 등 우려가 커지고 있다.
Additionally, there are growing indications that the number of Korean students studying abroad who are contemplating returning to Korea will inevitably increase due to the weakening won.
또한 원화약세로 인해 귀국을 고려하는 한국 유학생의 수가 불가피하게 증가할 것이라는 징후도 커지고 있다.
The mother of a student studying at a private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said, “Since my husband and I send a large sum of money to my daughter, even a slight increase in the exchange rate has a significant impact.”
미국 사립대학교에서 공부하는 한 학생의 어머니는 "남편과 제가 딸에게 큰 돈을 보내기 때문에 환율이 조금만 인상되어도 큰 영향을 미친다." 라고 말했다.
Foreign workers in Korea are also concerned as the depreciation of the won reduces the amount of money they can send back home.
원화가치 하락으로 인해 귀국할 수 있는 금액이 줄어들면서 한국의 외국인 근로자들도 우려하고 있다.
Many foreign students, who study in Korea and receive allowances from their home countries, meanwhile, are moving to exchange money in advance to cover tuition and living expenses for the next semester.
한편, 한국에서 공부하고 본국에서 수당을 받는 많은 외국인 학생들이 다음 학기 등록금과 생활비를 마련하기 위해 미리 돈을 환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ndividuals holding dollars are benefiting from the situation.
As these investors have begun to realize profits, the amount of dollars exchanged for won by individual customers at major banks has seen a significant increase this month.
반면에, 달러를 보유한 개인들은 이 상황에서 혜택을 받고 있습니다. 이 투자자들이 이익을 실현하기 시작하면서, 이번 달 주요 은행에서 개인고객들이 원화로 교환한 금액이 크게 증가했다.
According to banking industry officials, the amount of dollars converted to won at the five major banks — KB Kookmin, Shinhan, Hana, Woori, and NH NongHyup — totaled $213 million from Dec. 1 to Dec. 20.
은행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12월 1일부터 20일까지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 등 5대 은행에서 원화로 환산된 금액은 총 2억 1,300만 달러에 달한다.
The average daily exchange amount during this period was $10.7 million, the highest in 1 year and 4 months, when the figure had stood at $18.4 million.
이 기간 동안의 일일 평균 교환금액은 1,070만 달러로, 1,840만 달러였던 1년 4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The daily transaction volume on Dec. 4, the day after the declaration of martial law, surged to $23.85 million, almost doubling from the previous day.
계엄령 선포 다음 날인 12월 4일의 일일 거래량은 전날보다 거의 두 배 가까이 증가한 2,385만 달러로 급증했다.
“The large-scale exchange by customers appears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sharp weakening of the won compared to the dollar following the martial law declaration,” an official at one of the major banks said.
주요 은행 중 한 곳의 관계자는 "고객들의 대규모 환전은 계엄령 선포 이후 달러 대비 원화의 급격한 약세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Weakeningwon원화약세 #Travelindustry여행업계 #Studentsstudyingabroad유학생 #Exchangerate환율 #Martiallawdeclaration계엄령선포